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se of Allograft in Skeletally Immature Patients for Calcaneal Neck Lengthening Osteotomy

        곽윤해,박건보,박희완,김현우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08 Yonsei medical journal Vol.49 No.1

        Purpose: To date, there have been no studies evaluating the usefulness of allograft as a substitute for autograft in calcaneal neck lengthening osteotomy. This retrospective study examined the results of calcaneal neck lengthening osteotomy using allograft for pathologic flatfoot deform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various neuromuscular diseases. Materials and Methods: 118 feet in 79 children treated surgically between Mar 2000 and July 2005 were reviewed. The mean a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as 9 +3 years (range, 3-17 years) and follow-up averaged 15.4 months (range, 13-21 months) postoperatively. Talo-1st metatarsal angle, talo-calcaneal angle, calcaneal pitc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operation and bony union was estimated. Results: Bony union was noted at the latest follow-up and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reduction loss, infection, nonunion, delayed union or graft loss during the follow-up period in all but one foot. All radiographic indices were improved postoperatively in all cases.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use of allograft in calcaneal neck lengthening osteotomy is a useful option for correction of the planovalgus deformity in skeletally immature patients whose enough autobone can not be obtained.

      • KCI등재후보

        소아 주상설상 결합 환자의 수술적 치료(2예 보고)

        곽윤해,신원형,박재용,Kwak, Yoon-Hae,Shin, Won-Hyoung,Park, Jae-Yo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5 No.3

        Naviculocuneiform coalition is one of uncommon tarsal coalitions and especially symptomatic cases which need operative treatment are rare. Authors report 2 cases of pediatric naviculocuneiform patients who showed symptomatic condition as mainly pain. Plain radiographs, computed tomography or magnetic resolution imaging study showed bony bridge in naviculo-medial cuneiform joint. After over six months conservative treatment, excision of coalition and interposition $Tisseel^{(R)}$ was performed for motion preservation and relief of pain.

      • KCI등재후보

        열압력탄 반응성 연료의 초기 분산 원리 분석을 위한 전산해석 모델 연구

        곽윤 한국방위산업학회 2021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8 No.2

        열압력탄을 기폭하여 탄 내부의 반응성 연료가 분사되는데, 연료의 분포에 따라 기폭 성능이 달라지므로 연료의 분산도를 확인하는 것은 연구개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과거의 연구에서는 연료의 분산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광학 계측을 이용하 였다. 하지만, 시제를 제작하여 시험을 하기 이전에는 탄이 연료의 압력에 의해 절개되는 과정과 연료의 분산을 예측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탄체 절개와 연료 분산을 예측하는 모델을 연구하고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구개발 과정에서 열압력탄 설계 안의 연료 분산 패턴을 예측하고 탄의 설계 변수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 으로 보인다. Understanding dispersion mechanism of reactivity fuel is important for quantifying fuel dispersion of thermobaric burster prototyp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In previous studies, dispersion mechanism were assessed by optical measurement which cannot explain notch tearing of warhead and fuel dispersion before technical tesing of prototype in development. In this paper, initial dispersion estimation model was studied including notch tearing of warhead and fuel dispersion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dispersion estimation model of fuel was compared with technical test of fuel-air explosive warhead. This result would help understanding fuel dispersinon mechanism of prototype and design parameters of thermobaric burster development.

      • KCI등재

        소아 상완골 골절 치료기준으로서의 방사선학적 지표의 신뢰성

        곽윤해 ( Yoon Hae Kwak ),신동조 ( Dong Jou Shin ),박건보 ( Kun Bo Park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주관절 신전-회외전 위에서 측정된 방사선 지표와 주관절 굴곡-회내전 위에서 측정된 방사선 지표들을 비교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소아 상완골 골절 치료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과상부 골절로 수술을 받은 환아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전 촬영된 건측 주관절 신전 위 및 굴곡 위 방사선에서 바우만 각, 골간단-골간 각, 내상과-골단 각을 비교하였다. 건측 주관절 신전 위를 기준으로 치료한 제1군 (35예)과 굴곡 위를 기준으로 치료를 한 제2군(36예)의 최종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바우만 각은 신전 위에서 골간단-골간 각은 굴곡 위에서 관찰자 내 재현성 및 관찰자간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다. 신전 위에서는 바우만 각과 골간단-골간 각이 운반각과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굴곡 위에서는 골간단-골간 각만이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바우만 각은 굴곡 위에서 내상과-골단 각은 신전 위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최종 추시에서 제1군과 제2군의 건측과의 비교 시 의미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전완부 회외전-주관절 신전 위에서는 바우만 각의 임상적 효용성이 높으나 전완부 회내전-주관절 굴곡 위에서는 골간단-골간각의 임상적 효용성이 높으며 두 전후면상에서 간접적 운반각의 측정 시 차이가 있으므로 수술 시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 To suggest the most reliable guideline of the treatement for the supracondylar fracture in children by the comparison of the radiographic parameters between forearm supination-elbow extension and forearm pronation-elbow flexion view.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seventy-on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Baumann, metaphyseal diaphyseal and medial epicondylar epiphyseal angle of normal elbow in extension and flexion view were compared. Finally, the results of Group I (operation with elbow extension view) and Group II (operation with elbow flexion view) were compared. Results: Intraobserver reproducibility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ere better in the Baumann angle with extension view and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with flexion view. In extension view, Baumann and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show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rying angle but in flexion view, only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shows negative correlation. Baumann angle were greater in flexion view and medial epicondylar epiphyseal angle were greater in extension view.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inal results of Group I and II. Conclusion: Baumann angle was more effective in forearm supination-elbow extension view and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was more effective in forearm pronation-elbow flexion view. The difference between elbow extension and flexion view should be considered during operation.

      • KCI등재

        동사 ‘commit’ 보충어 구조 패턴 변화 연구

        곽윤아(Kwag, Younah),김종복(Jong-Bok Kim) 언어과학회 2016 언어과학연구 Vol.0 No.77

        The complementation patterns of the verb commit are quite complex, including ‘commit to V-ing’ and `commit to V-inf’ patterns. These two patterns behave differently in terms of syntax and semantics. This paper performs a corpus investigation to look into the authentic uses of these two complementation patterns and understand how they are different. The paper suggests that the verb’s dynamic or stative property plays a key role in choosing one of the two complementation patterns. Our corpus investigation indicates the ‘V-ing’ pattern is predominantly used in a dynamic context rather than in a stative context. We suggest that this difference in frequency has to do with the goal or direction oriented meaning of the preposition ‘to’, whose usages have increased in the present day English, as also suggested by Rudanko (2011).

      • KCI등재

        만 5세 학급 놀이기록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곽윤,김순환 한국육아지원학회 2023 육아지원연구 Vol.18 No.1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ways to solve problems of play documentation in a 5-year-old Nanum Class and examining the changes of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 To this end, ways to improve play documentation were implemented to 20 five-year-olds in a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M city, Jeollanam-Do,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became active agents and the documentation served as the cyclical record that supported the continuity of play as they participated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better ways to document play and share them among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in order to improve play documentation in the 5-year-old class. Second, in terms of the changes of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after improvement of play documentation, the children form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eers, increased their expressive and communicative skills, and became active agents of play who were able to exchange their opinions on play. In addition, the teacher as a researcher was able to have profound understanding on children and play and to increase intimacy with children as well as implementing curriculum that reflected children’s interests and nee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ways to document children’s play were attempted and ways to improve play documentation were suggested which imply the need for finding out various ways to document children’s play. 본 연구는 만 5세 학급 나눔반 놀이기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여 이에따른 유아와 교사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M시에 소재한 단설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놀이기록 개선방안을 실시한 후, 그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만 5세 학급의 놀이기록 개선을 위하여 유아와 교사가 함께 놀이를 기록하고 공유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실행함으로써 유아가 놀이기록의 주체가 되고 놀이의 연속성을 지원하는 순환적기록이 될 수 있었다. 둘째, 놀이기록 개선방안에 따른 유아와 교사의 변화를 알아보면 유아는 또래 간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되고 표현 능력과 소통능력이 증대되었으며 놀이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으며 진정한 놀이 주체자로의 역할을 하였다. 더불어 연구자인 교사는 유아와 놀이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으며유아와 친밀감이 증대되었고 유아의 흥미, 요구를 반영하여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와 함께 놀이를 기록하는 다양한 방안을 시도해보고 놀이기록의 개선방안을제시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다양한 놀이기록 운영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증례: 불용성 골감소증에 속발한 슬개골 상단부 소매형 골절

        곽윤해 ( Yoon Hae Kwak ),손원수 ( Won Su Son ),이기병 ( Kee Byung Lee ),유제현 ( Je Hyun Yoo ) 대한슬관절학회 2011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3 No.2

        소아 환자의 슬개골 골절에서 하단부의 소매형 골절은 비교적 흔한 반면 상단부의 골절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슬관절 주위 골절 이후 보존적 치료로 석고 고정 시행 후 발생한 불용성 골감소증에 속발한 15세 환자의 슬개골 상단부 소매형 골절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Sleeve fracture at the inferior pole of the patella in children is relatively common, yet it is rare for the superior pole to be affected. So, only a few such cases have currently been reported. We experienced a 15 years-old patient with a sleeve fracture at the superior pole of the patella secondary to disuse osteopenia after cast immobilization due to knee trauma. We report on this case and we review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상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

        곽윤해(Yoon Hae Kwak),민슬기(Seul Ki Min),이용범(Yong Beom Lee),박건보(Kun-Bo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4

        목적: 소아 상완골 간부 골절은 일반적으로 비수술적으로 치료한 결과가 좋기 때문에 대부분 보존적 방법으로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도수정복이 적절히 유지되지 않거나 개방성 골절 혹은 동반 골절이 있는 경우 등에 한하여 수술적 치료를 요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상완골 간부의 수술적 적응증이 되는 제한된 환아에 대하여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치료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소아 상완골 간부 골절의 발생 후 연성 골수정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환아 1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수술의 적응증은 개방성 골절, 적절한 정복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 다발성 골절, 재골절 그리고 신경 손상등이었다. 모든 예에서 연성 골수정을 이용하였으며 골절의 발생 부위를 고려하여 전방 혹은 후방에서 2개의 골수정을 삽입하였다. 결과: 평균 15개월 동안 추시하였고 최종 추시까지 모든 환자에서 적절한 골유합을 얻었다. 수술 과정에서 신경 및 혈관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술 후 염증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4명의 환아에서 골수정 삽입부의 자극을 호소하였고 이 중 두 명의 환아에서 통증 및 불편감을 호소하여 수상 후 6주에 내고정물을 제거하였다. 한 명의 환아에서 술 후 약 6개월경 근위 골수정 삽입부를 따라 비전위 골절이 발생하였다. 최종 추시에서 모든 환아에서 적절한 운동 범위를 회복하였고 수상 전 활동으로 복귀하였다. 결론: 소아의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연성 골수정을 이용한 고정법은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수술적 고정을 요하는 환아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Most humeral fractures of children are treated satisfactorily with conservative method, thus surgical treatment is often reserved for limited conditions. In cases of an open fracture, inadequate reduction or multiple traumas, children with humeral shaft fractures require operative treatment. The aim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pediatric humeral shaft fractures that were treated with flexible intramedullary nail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for 12 patients who were treated operatively by flexible intramedullary nails between March 2009 and September 2011. Surgical indications were an open fracture, an inability to maintain an adequate reduction, concomitant fractures, refractures and combined radial nerve injury.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2 titanium flexible intramedullary nails by antegrade or retrograde techniques, according to the site of the fractures.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5 months, and all patients achieved union status without major complications. There were no neurovascular injuries or infection during surgical procedures. However, 4 patients showed irritation at the insertion site of the nail, and 2 of them underwent early removal of nails at about 6 weeks due to skin lesions as well as pain and discomfort. One boy showed a fracture next to the proximal insertion site of the antegrade nail. All patients showed a full range of motion, and went back to daily life by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Flexible intramedullary nails are considered as a good option for the fracture of the pediatric humeral shaft. Surgeons should pay attention and use proper techniques to avoid co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