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곽영순,Kwak, Youngsun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앞두고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의 재구조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경우 비(非)이공계열 진로적성을 지닌 소위 문과계열의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비이공계열 진로적성을 지닌 학생들을 위한 과학과 선택과목이었던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을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실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교사 12명과의 면담을 통해 이들 선택과목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 과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으로 분류, 개정될 예정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등학생들은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을 교양 과학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흥미와 노력 부족, 학습내용 자체의 어려움 등으로 이들 과목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 과목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주로 생활과과학을 선택하며, 과학사 과목의 경우 내용이 어려워서 교사도 학생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융합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을 간학문적인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내용접근성이 높은 융합선택과목 개발, 인공지능(AI)이나 첨단과학 관련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융합선택과목 개발, 모듈단위로 구성된 융합선택과목 개발, 간학문적 융합선택과목을 지도할 수 있는 과학교사 전문성 개발지원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restructure Convergence Elective Courses in science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head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 that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has not guaranteed science subject choice for students with non-science/engineering career aptitud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by randomly sampling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A total of 1,738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f 3 science elective courses such as Science History, Life & Science, Convergence Science.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ith 12 science teacher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field operation of these three courses, which will be classified and revised as Convergence Elective subject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these three courses as science literacy courses, and find these difficult to learn due to lack of personal interest, and difficulties in content itself. The reason students choose these three courses is mainly because they have aptitude for science, or these courses have connection with their desired career path. Teachers explained that students mainly choose Life & Science, and both teachers and students avoid Science History because the course content is difficul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suggested ways to restructure Convergence Electiv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developing convergence electives composed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core concepts with high content accessibility, developing convergence electives with core concepts related to AI or advanced science, developing module-based courses, and suppor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who will teach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electives.

      • KCI등재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TIMSS 과학 내용영역별 성취 특성 분석

        곽영순,Kwak, Youngsun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2011과 TIMSS 2015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성취 특성 추이변화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현장교사 네 명과 과학교육을 전공한 연구자 세 명이 참여하여 TIMSS 2015의 초등학교 과학과 내용영역별 평가주제와 문항에 대해 교육과정 일치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생명과학, 물상과학 그리고 지구과학의 영역을 막론하고 초등학교 3-4학년군 교육과정에서 다룬 내용일수록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5-6학년군에서 다루는 열전달, 전기의 작용, 지구와 달의 운동 등과 관련된 문항에서는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과학 인지영역별로는 TIMSS 2015에서 우리나라 초4 학생들은 TIMSS 2011에 비해 추론하기 영역의 점수가 많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시사점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rend of Korean fourth grade students' achievement in TIMSS 2011 and TIMSS 2015 science content domain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science curriculum and teaching & learning improvement. With four elementary science teachers and three science educators, we analyzed Korean fourth grade students' percentage of correct responses in TIMSS 2015 science content and cognitive domains, and conducted item-curriculum matching analysis for test items. According to the results, Korean students performed relatively better in test topics covered in the science curriculum for 3-4 grades regardless of the science content domain (i.e., Life science, Physical science, or Earth science). Korean students showed low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items related to such topics as heat conduction, the action of electricity, the motion of the earth and the moon, etc., which were covered in the 5th-6th grade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science cognitive domains, Korean students' achievement dropped significantly in reasoning between TIMSS 2011 and TIMSS 2015.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re implications to reconstruct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교사 교육에서 접근한 중등 과학 수업 실태 분석 연구

        곽영순(Kwak Youngs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수업 관련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미국에서 과학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과학 교육에 대한 국가 수준의 조사’에 쓰이고 있는 질문지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번안하여 활용하였다. 413명의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응답 결과를 토대로 (1)교사들의 배경 변인 및 교사로서의 준비 수준에 대한 인식, (2) 수업 목표 및 활동, (3)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중등 과학 교사들은 약 40%가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중등 과학 교사들은 과학 전공 영역을 가르치기 위한 준비도를 비교적 높게 자평한 반면에, 기술이나 공학 활용에 대한 준비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지난 3년간 중등 과학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했던 연수는 과학(학습)에 대한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 익히기였다. 수업 측면에서는 우리나라는 물론 미국의 중등 과학 교사들의 경우에도 전반적으로 과학의 본성과 관련된 목표보다는 과학 내용과 관련된 목표를 더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과학 수업의 가장 심각한 장애 요인은 교사의 수업 준비 시간 부족,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시간 부족 등 시간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된 실태를 바탕으로 중등학교 현장의 과학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개선안을 교사 교육과 교사 재교육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le improvement and support plans for a better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teacher (re)education based on the diagnosis of the current science teaching status in the secondary school. For this purpose, teacher preparation, teacher perceptions of their preparation, teachers" perceived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science teaching practices, and problems affecting science instruc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with 413 secondary science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 about 40 percent of the science teachers have earned a degree beyond the Bachelor"s. Most of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were adequately qualified to teach their own content area but they did not feel well prepared to use technology in their teaching.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perceived a substantial ne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learning how to raise students" interest and enjoyment in science over the last 3 years. Regarding science instruction, not only Korean but also American teachers tend to emphasize more frequently science content objectives than nature of science objectives, and commonly use traditional teaching practices(e.g., students listening and taking notes during a lecture, doing textbook or worksheet questions, reviewing homework). The teachers reported that time constraints(lack of time to plan lessons and participat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etc.) were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science instruction. Som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eacher (re)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how to improve science teaching practic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과학 교사 학습공동체 특성에 대한 질적 탐구 -학교안과 학교밖 공동체 사례-

        곽영순 ( Youngsun Kwak ),이기영 ( Ki-young Lee ),정은영 ( Eunyoung Je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4

        이 연구에서는 교과교육전문성 함양을 목적으로 모인 과학교사 PLC를 학교안 PLC와 학교밖 PLC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중점학교 7개교에 속한 과학교사 PLC와 학교밖 과학교사 PLC 3개 단체에 속한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습공동체로서의 정체성과 동인, 활동 내용, 운영 성과, 부족하거나 지원이 필요한 부분 등에 대하여 초점집단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학교안 과학과 PLC와 학교밖 과학과 PLC 모두 교수·학습과 관련된 전문성 개발을 위해 학습공동체를 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학교안과 학교밖의 과학교사 학습공동체들은 모두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경험하는 쟁점 문제들을 중심으로, 호혜적 참여를 통해 협력관계를 형성하는 ‘실천공동체’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한편, 쟁점 문제에서 학교안의 경우는 과학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과 같은 미시적인 문제에, 학교밖의 경우는 교사로서의 전문성 향상과 같은 거시적인 문제에 천착하는 차이점을 나타내었다. 학습공동체로서의 활동과 역할의 경우 학교안과 밖의 과학교사 학습공동체들은 협업적 전문성 개발, 초임교사 멘토링과 같은 상호교학 등의 공통점을 나타내었다. 학습공동체의 영향력과 운영 성과의 경우, 학습공동체는 교사 자신뿐만 아니라, 학생과 학교문화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공동체 지원과 관련하여 공동체 운영을 위한 물리적 여건 개선과 함께 PLC 운영을 위한 프로토콜 제공, 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공동 연구나 재교육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과 PLC의 공동연구는 ‘탐구 공동체’로서 교사 학습공동체가 추구해야 할 미래지향적인 방향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PLC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의 필요성, 과학과 PLC와 대학과의 협력 체제 구상의 필요성, 과학중점학교의 과학과 PLC의 운영 성과를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PLC에 확산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within-school and across-school science teache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hereafter, PLC) qualitatively.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cience teachers belonging to seven PLCs within the science core school and three PLCs across schools. Interview questions include identity and motivation, major activities, and outcomes of PLC, as well as shortcomings and support plans for PLC. The results include both within-school and across-school science teacher PLCs form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related to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Both science PLCs participated in the stud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 ‘practice community’ that developed a cooperative relationship through reciprocal participation, focusing on shared issues among members. Regarding issues, within-school PLCs focused on microscopic problems such as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subject-matter, while across-school PLCs focused on macro problems such a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Regarding activities and roles as PLC, within-school and across-school science PLCs shared such features as collabora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nterpersonal education such as mentoring for novice teachers. In terms of PLC’s influence and outcomes, science teacher PLCs has a positive effect not only on the teachers themselves, but also on the students and the teacher culture in the school. In addition, science teacher PLCs need improvement of the physical conditions for community operation, and software support such as protocol provision for PLC operation and joint research or re-education with universities. In particular, joint research between universities and science teacher PLCs shows the future orientation of the PLC as an ‘inquiry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the necessity of active support for science PLC,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science teacher PLC and universities, and ways to spread the PLC of science core schools to that of general schools were proposed.

      • KCI등재

        고등학교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적절성 평가 및 과학과 고등학교 공통과목 교육과정 개선 방안 도출

        곽영순 ( Youngsun Kwak ),신영준 ( Youngjoon Shin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1 생물교육 Vol.49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courses, their effectiveness and adequacy as common cours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well as ways to maintain these subjects as common subjects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A survey with 157 general high schools and focus-group interviews with 10 science teacher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se two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of the Integrated Sciences courses were implemented in 6-8 units over two semesters, and 2 units over two semesters for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courses, which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eachers for each subjects and their majors. Regarding appropriateness as a common subject, 66.9% of teachers for Integrated Science and 57.9% for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said it was appropriate as a common subject. For the need to designate common subjects in the next curriculum, 76.5% of teachers for Integrated Science and 52.9% for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said these two subjects are necessary to be designated as common subjec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necessity to maintain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as common compulsory subjects for all student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trengthening the nature of Integrated Science focusing on competency education, career guiding through Integrated Science classes, realizing science literacy education through standards-based assessment, and widening of teacher certification areas were suggested.

      • KCI등재

        중등 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교과교육학 시험 개선 방안 탐색

        곽영순 ( Youngsun Kwa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에서는 현행 중등 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2차 교과교육학 시험의 특징과 개선 방안을 탐구하였다. 임용시험 2차 교과교육학 시험인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평가, 수업실연 평가, 교직적성 심층면접 평가, 과학실험시험 등을 중심으로 1차 지필시험과 차별화하면서 2차 실습형 과학교육학 시험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교수학습지도안 평가의 경우 1차 지필시험과는 평가초점이 달라서 2차 교수학습지도안 시험을 유지하되,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의 배점을 줄이고 수업실연의 비중을 높이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수업실연 평가의 경우 교사양성과정에서 수업실연을 학점화하여 임용시험에 반영하는 방안, 교육실습이나 실제 수업 상황에서 평가하는 방안, 교과 수업전문성에 초점을 두고 수업실연을 평가할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과학실험시험의 경우 모든 시ㆍ도교육청에서 과학실험시험을 필수화하고, 실험설계 능력과 실험기반 과학탐구 지도 능력등을 평가할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업실연이나 심층면접 등을 시ㆍ도교육청에서 자체 출제하는 방안, 수습교사제도 도입의 필요성,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ways to improve the area of science education in secondary teacher employment test (hereafter, TET). We investigated ways to differentiate second-phase science education tests from those of the first phase in the TET, and ways to improve practical tests such as designing instructional plans, teaching demonstr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science experiment test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include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eaching demonstration while maintaining the test of designing instructional plans, which have a different focus from the paper-based exam in the first phase of the TET. Teaching demonstration tests, applying the credit of student-teaching to the TET, assessing teaching expertise in real classroom contexts focusing on subject teaching expertise, etc. along with science experiment tests, making the science experiment test compulsory for all municipal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evaluating the experimental design and teaching of scientific inquiry. Based on these result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ests such as teaching demonstrations, in-depth interviews, etc. at the local municipal education offices, introducing the apprentice teacher system, and introducing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2015개정 과학과 선택과목 수업 및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곽영순 ( Youngsun Kwak ),이일 ( Il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년차를 맞이하여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의 수업과 평가 구현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과학과 교육과정의 안착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44명의 고등학교 과학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9명의 과학 교사들과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심층적인 답변을 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과학 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역량 신장과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수업을 고민하고 있지만, 여전히 강의 위주 수업을 가장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측면에서는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문항들에서 교사들은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과학과 선택과목 운영의 어려움으로 교사들은 ‘담당해야 하는 과목의 수 증가’, ‘업무 과다’, ‘다양한 교수학습 및 평가 등을 고려한 수업의 재구조화에 대한 부담’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교사들은 통합과학에 비해 과학Ⅰ 선택과목에서는 탐구실험 등과 같은 학생참여형 수업을 덜 강조하며, 과학Ⅱ 과목의 경우 주로 3학년때 하므로 학생참여형으로 진행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를 하려면 시간 확보가 필요하며, 수능에 실험이 안 나와서 실험에 대한 과정중심평가도 할 필요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 안착을 위한 지원방안, 학교현장의 학생참여형 수업이나 과정중심평가의 방향성과 원인에 대한 심층 분석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As part of the second-year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realiza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of elective courses to derive measures to settle and improve the science curriculum. A total of 244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9 teachers participated in interviews. In survey results, science teachers are contemplating ways to increase students’ science competencies and their participation in classes, but still, lecture-oriented classes are most often used in their teaching. Regarding assessment, teachers respond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all of the questions related to process-based assessment (PBA). Regarding the difficulty of managing science elective courses, teachers most often selected increased numbers of subjects being covered, overload of work, and the burden of restructuring classes considering various ways of teaching and assessm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teachers argued the difficulty for Science I courses to emphasize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compared to integrated science, and the difficulty to implement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for Science Ⅱ courses, which are mainly placed in the third grade. Teachers also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time to implement PBA in science elective courses, and that there is no need to implement PBA for the science experiment since there are no tests on the SA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re support plans for the settlement of PBA in elective courses, and the need for in-depth analysis of the direction and cause of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and PBA at the school.

      • KCI등재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에 대한 개선 방안 탐색

        곽영순 ( Youngsun Kwa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 등과 같은 교육환경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사역량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현행 중등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 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임용시험 출제경험이 있는 과학교육학 교수 18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사역량으로는 교수활동, 학생이해지도, 인공지능 등과 같은 지능정보활용, 공동체 전문성 등이 제안되었다.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 1차 과학내용학 시험 개선 방안으로는 문항수 증가를 통한 실질적 공정성과 타당도 제고, 중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제고, 10년 정도 주기로 표시과목 업데이트 등이 제안되었다. 중등교사임용시험 1차 과학교육학 시험 개선 방안으로는 과학교육학 문항 유형에 대한 연구·개발, 교과교육학을 논술형으로 출제, 과학교육학에 대한 표준화된 커리큘럼 개발 등이 제안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양성대학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과학과의 경우 사범대학과 자연대학의 커리큘럼 차별화의 필요성, 교육전문대학원 도입과 같은 교사양성체제 개혁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er expertise to be evaluated in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 employment test (TET, hereafter)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the transition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ways to improve the first exam in major areas in the current TET. For this purpose, Delphi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professors of science education who have experience in the TE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eacher expertise such as subject teaching, student understanding, intelligence information utilization, community competencies, and so on were suggested. Ways to improve science content exam in the TET include securing fairness and validit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questions,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updating assessment areas for certificate subjects periodically, etc. Ways to improve science education exam in the TET includ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types of science education questions, introducing essay test to science education exam,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curriculum on science education, etc.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necessity of revising the curriculum for teacher training colleges, differentiating curriculum between teachers’ colleges and natural science colleges, and reforming the teacher training system by introduc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곽영순 ( Youngsun Kwak ),신영준 ( Youngjoon Shi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도부터 적용된 2015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지난 3년간의 현장적용 실태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두 과목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한 고등학교들이 고르게 포함되도록 지역별로 분배,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92개 학교의 과학교사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 재구조화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12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통합과학의 경우 현장적용 3년차를 맞이하여 대부분의 학교에서 6~8단위로 편성·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급당 통합과학 담당 교사는 3개년도 평균 2~3명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실험의 경우 학기당 1단위씩 총2개 학기로 편성·운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부족한 시수를 채우기 위해 여러 명의 과학교사가 과학탐구실험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담에서 과학교사들은 향후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학기단위 집중이수가 가능한 규모로 통합과학을 축소하고, 핵심역량을 강화하여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공통과목 재구조화에 주는 시사점을 학기단위 집중이수가 가능하도록 통합과학을 빅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 선택과목 수강을 안내할 수 있는 기본 과학개념을 중심으로 과학과 공통과목을 구성하는 방안, 고등학교 1학년 과학과 공통과목을 통한 선택과목 안내 및 진로지도의 필요성, 과학영역간 간학문적, 다학문적 통합·융합 과목을 지도를 위한 교사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pplied since 2018,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se two subjects in preparatio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 survey was conducted by randomly sampling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with a total of 192 science teachers participating. In addition, 12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were selected as focus group,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ays to restructure common science courses for the next curriculum. Main research results include that most schools were operated in 6~8 units for Integrated Science, and the teachers in charge of Integrated Science per class averaged 2~3 over the three years. For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it has operated for a total of two semesters, one unit per semester, and it was found that several science teachers are in charge of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to fill the insufficient number of hours regardless of major. In the in-depth interview, science teachers argued that Integrated Science should be reduced and restructured by strengthening key competencies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ys to reorganize Integrated Science focused on big ideas, ways to construct common science courses based on fundamental science concepts that can guide elective courses, the necessity of career guidance through common science courses, and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eacher professionalism for teaching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subjects were suggest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일반선택과목 교과서에 구현된 탐구실행요소 및 기능 분석

        곽영순 ( Youngsun Kwak ),신영준 ( Youngjoon Shin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1 생물교육 Vol.49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construction statu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mplemented in the textbook by analyzing the inquiry practice elements and skills of science general elective textbooks. Textbooks from three publishers with a high selection rate among textbooks in Physics I, Chemistry I, Life Science I, and Earth Science I were analyzed using the textbook analysis framework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y. Main results include the total frequency of inquiry practice elements was Physics I 67∼89, Chemistry I 35∼72, Life Science I 35∼70, Earth Science I 34∼49, and the subject with the most inquiry-related activities in the textbook was Physics I, and the subject with the least amount of inquiry-related activities was Earth Science I.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inquiry practice elements and skills presented by subjects, textbooks, and core concepts. The ratio of skills presented in the inquiry practice element showed a similar trend irrespective of subjects and textbooks.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conclusion and evaluation’, which are traditional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ratio. On the other hand, recently emphasized inquiry activities such as ‘mathematical thinking and computer use’, ‘development and use of models’, ‘evidence-based discussion and argumentation’, and ‘problem recognition’ all showed a low rate of less than 10%. In the analysis of sub-elements of skill, sub-elements related to traditional inquiry activities were predominant. ‘Creative design’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ubje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ys to reconstruct inquiry practice and skills were suggested for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