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울산의 도심과 분리된 생활공간 형성과 사회적 대응 –사택과 공단주변마을을 중심으로

        곽경상 도시사학회 2020 도시연구 Vol.- No.25

        Studies on post-liberation industrial cit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following: 1) the advent and development of industrial cities as means to interrogate the character of South Korean economic growth and policies; and 2) “Korean pattern” of urbanization and urban growth in industrial cities during South Korea’s rapid industrialization. Such studies have illuminated the centrality of industrial cities in the process of socio-economic modernization in Korea. However, they failed to locate the spatial formation and timely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cities within the flow of Korean urban history. Within the scope of Ulsan’s emergence and development as an industrial city, this paper analyzed spatial structure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industrialized urban sites such as company housing, migrant camps, and factory towns. The primary contribution of this study was that it investigated residential and living condition problems created by selective intervention into these spaces caused by state construction bureaus and private construction capital. Company housing projects established alongside large-scale factories were subsidized by the national construction bureau and backed by abundant support from the factory firm. Such financial security ensured that company housing developed into independent town separated from local community. Meanwhile, migrants whose homes had been demolished to make way for factory construction and residents of towns adjacent to factories faced deteriorating housing conditions marked by neglect and indifference from state and corporate entities alike as well as the threat of increasingly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Eventually, erosions in the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around factories led neighborhood residents to rise up in movements against pollution and migrant struggle. Ultimately, the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politicians, corporations, and residents negotiated a sweeping migration bill. However, the bill did not account for economic damages or community impact of continuous, long-term migration. Consequently, the large-scale migration destroyed surround village communities, forcing scattered residents to adapt to new environments. 1962년 울산은 공업센타의 지정과 개발 속에서 철거와 이주, 사택 개발이 논의 되기 시작했다. 울산공업센타의 개발 초기 철거와 이주의 중요성이 지적됐지만, 사업의 추진에서 이 문제는 깊이있게 논의되지 못했다. 이주부지를 둘러싼 논의 에서 경상남도와 울산특별건설국은 입지를 상이하게 제기했다. 당시 이 이주계획이 성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철거계획, 보상계획, 이주계획이 충분하고 합리적으로 세워져야 했다. 그러나 긴박하게 추진된 공장건설은 주택의 철거만을 재촉할뿐 이주에 대한 제대로 된 처리가 없었다. 떠밀리듯 이주한 주민들과 다르게 공장의 사택 개발은 충분한 자금력을 통해서 대규모 타운 개발로 향했다. 사택개발에서 주목되는 것은 울산 도시개발 프로세스가 작동한 것으로 기업의 주택개발이 정부의 뒷받침 속에서 속도를 신속하게 진행한 것이었다. 울산특별건설국, 경상 남도, 울산시, 울산토지대책위원회 등 울산 공업도시를 개발하는 토건행정은 사택과 이주부지를 도시계획에 포함시켰지만 그 추진의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사택이 시차를 두며 생활조건이 향상되어 갔다면, 공단주변마을은 정반대의 경험과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1962년 공업센타 지정과 공장 건설은 이들에게 상당한 자부심을 가져왔다. 국가경제의 심장을 세운다는 자부심은 경제적 피해나 고통을 감내하는 동인이 되었다. 하지만 그와 같은 희생과 배려는 방치된 주거와 심각해지는 공해의 위협 속에서 태도를 변화시켰다. 공해에 따른 소송과 공장건설 반대투쟁, 이주대책 요구로 이어지며 반대운동을 강화시켜갔다. 부곡 천막촌과 공단주변마을은 사택과 다르게 생활환경이 악화되어 갔지만 울산특별건설국 이나 경상남도, 울산시는 현지 조사나 특별한 대책을 세우지 않았다. 그렇게 울산 공업도시의 슬럼이 형성되어 갔다. 그리고 공해에 대한 문제제기와 주거에 대한 시위 속에서 지역의 사회운동이 커져갔고, 그 활동은 여천, 포항, 창원, 구미 등여타의 공업도시에 영향을 주며 확대되어 갔다.

      • KCI등재

        박정희 정부의 등장과 그의 시대 - 5․16군정기와 민정 이양기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

        곽경상 역사실학회 2022 역사와실학 Vol.77 No.-

        The 5.16 Military Government Period Study was conducted with an important perspective on Korean modern histor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erspective of the ruling powers and policy theory of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on the issues of military power, conflict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transfer to the civilian government. During this period, social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ization discourse. The differentiation of society was understood through intellectuals, college students, and workers. In addition, the desires, successes, and self-development of various social actors such as urbanization, the middle class, and individuals show changes in society. The events and history of that time, half a century after the outbreak of the 5.16 military coup, help us to understand the current social contradictions, and remind us of the need for reflection and reform on the problem. 이 논문은 5.16군정기와 민정 이양기에 대한 연구 경향과 과제를 살핀 것이다. 516군사쿠데타의 발발과 함께 시작된 군정기 연구는 한국현대사를 바라보는 중요한 시각이 투영된 가운데 진행되었다. 근대화론, 발전국가론, 신고전파경제, 제3세계 독재정치론 등 제3세계 정치경제의 변화를 해석하는 다양한 이론들이 군부의 등장과 박정희 정권기를 설명하고 있다. 국가론을 통한 군정기 연구와 박정희 정권기 연구는 새로운 자료의 공개와 연구 환경의 변화 속에서 커다란 진전을 보였다. 군부의 집권과 한미 간의 갈등, 민정이양 문제를 두고 박정희 정부의 통치 세력과 정책론을 시야에 두고 그 내용과 성격이 파악된 것이다. 군인 정치세력을 중심에 두고 정치경제적 변화를 설명하는 시각이 변격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이었다. 사회운동과 민주화운동이 득세한 가운데 다양한 이론이 수용되면서 탈정치적 시각과 주체들이 다양하게 연구된 것이다. 군정과 민정이양기 사회에 대한 연구는 권력과 사회의 관계 또는 도시와 개인에 대한 연구로 인식의 지평을 넓혔다. 근대화를 둘러싼 담론 연구는 당시 사회의 권력 동원과 국민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사회의 대항 세력으로서 지식인, 대학생, 노동자의 존재와 사고가 분석되었다. 도시공간에 관한 문제는 자기 개발과 욕망을 희구하는 중산층과 배제된 존재로서의 식모와 빈민, 부랑아 등이 공존하면서 나타났다. 이러한 주체와 운동, 사회변화는 한국현대사의 연구 환경과 연구자의 성장 속에서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

      • KCI등재

        순천시 도시계획의 방법적 전환과 ‘전원적 도시’ 구상 - 1980·90년대 도시계획과 공간 구상 -

        곽경상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2 南道文化硏究 Vol.- No.45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rocess of urban planning and the feature of urban structure in Suncheon City. The great flood in 1962 first conditioned the urban planning of the city. It mostly focused on rebuilding the city. In the 1980s discussions on new urban planning were initiated.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eastern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stimulated the urban development of Suncheon. The city made a new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he establishment of urban planning. The establishment of basic planning was made by the participation of specialists and citizens, and with the activity of the Committee for the Urban Planning of Suncheon City. In the 1990s, modifications to the development plan were made. It is noteworthy that the modification process was done wit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itizens of Suncheon. Such urban planning enabled a transition of the structure of the city, from “the linear city” to “the rural city”. 이 논문은 순천시 도시구조의 ‘현재적 원형’이 되는 1980년대 이후 도시계획의 추진배경과 공간구조의 특징에 대해서 살핀 것이다. 1962년 대홍수를 계기로 순천시는 도시계획의 마련을 시작했다. 당시 도시재건 논의는 도시기반 시설에 대한 긴급 복구와 이재민 주택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도시 재건사업이 도시 개발사업으로 전환된 것은 1970년대였다. 여천이 호남정유를 유치하고, 석유화학단지 개발에 나서면서 이를 시야에 둔 순천의 도시개발 방안이 논의되었다. 하지만 당시까지 도시구조는 동천을 경계로 하는 남북의 도심축에 머물러 있었다. 기존시가지를 중심으로 한 단일축 구조에 균열이 나타난 것은 1980년대였다. 당시 전남동부권은 제2차 국토개발계획으로 새로운 지역의 거점화가 진행되었으며, 광양만권의개발로 지역의 성장 방안이 논의되었다. 1982년 말 시작된 이 도시기본계획의 추진은순천도시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그것은 새로운 전문가 그룹의 등장 속에서 도시의 구조적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국내 도시설계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동명기술공단과 중앙도시계획위원이자, 홍익대 교수인 나상기 그리고 순천시도시계획위원인 황우수 등이 참여하며 새로운 공간 개념과 지역의 여론이 수렴된 계획안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이 도시기본계획은 승주군의 불만과 반발을 불러왔다. 순천시의 도시계획권에편입된 서면과 해룡면 대안리의 계획과 권한 변경을 승주군이 요구했다. 도시계획을 둘러싼 도시 간의 갈등은 광양과 광양만권 개발 속에서 심화됐는데, 광양과 여천이 공업도시로 성장하는 것을 견제하면서 순천의 도시계획 수정이 논의되었다. 이 과정에서 순천시는 설문조사와 공청회를 통해서 ‘밑으로부터의 의견 수렴’과 순천시, 순천시도시계획위원회가 중심이 된 ‘위로부터의 계획 조정’을 통해서 완성되었다. 이로써 신시가지인 연향지구를 중심에 둔 순천의 도시재편 구상이 완성되었다. 또한도심의 녹지와 공원 등을 관리하고, 동천의 하천 및 하류지 정비를 통해서 순천이 ‘전원적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이루었다. 1990년대 말 순천만의 보존과 2000년대후반 국가정원의 개발은 이 도시계획과 도시구조의 개편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오천지구와 신대지구로 향하는 도심의 확대와 주거지 성장 역시 1980·90년대 진행된순천의 개발을 토대로 하고 있다.

      • KCI등재

        해방 이후 도시개발 기구의 재편과 새로운 도시 구조의 모색

        곽경상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동방학지 Vol.203 No.-

        This thesis reveals the reorganization structure of the urban development organization formed after liberation 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space concept built around it in the historical context. Modern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which bega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undergoes important changes after liberation.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the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and the Housing/Urban and Regional Planning Research Office, which appeared for postwar reconstru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nurtured planning models and human resources under state-level control over cities. The concept of a garden city with ‘neighborhood districts’, ‘living zones’ and green spaces was raised based on their efforts and activities, and later generalized to domestic cities. The urban modernization policy presents the logic of urban facility planning, techniques, and development. The urban organization and spatial theory established in the mid-1960s allowed South Korea to create its own urban image amid decolonization. Industrial bases, new town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angnam were built under the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these changed urban planning.

      • KCI등재

        공업단지를 품은 도시, 여천시의 탄생

        곽경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4

        In 1966, the construction of the Honam Refinery was promoted in the hinterland of Samil Port in Yeocheon-gun, Jeollanam-do. The investment and construction of Honam Oil Refinery, whi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2nd oil refinery project, was carried out in the participation and competition of transnational capital. Honam Refinery, promoted in this way, became the basis for developing into the petrochemical industry. However, the spatial limitations of the Yeocheon Industrial District at the time became an obstacle to the expans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A technica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Technology Development Corporation in 1969 suggested a plan to expand industrial sites that led to fertilizer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And with this industrialization as an opportunity,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of a new town in Yeocheon began. Along with the Industrial Base Development Corporation, Jeollanam-do planned a 'garden city' through two rounds of service surveys and design. This urban planning shows a new direction of the urban system, such as housing, space design, and landscaping, but it has unique characteristics of an industrial city, such as the 'hybridity' of space as housing and living areas are layered in the downtown area. 한국 현대 도시의 공간적 특징을 보여주는 산업기지 여천은 한국 도시의 전환점에 진행된 개발 프로젝트로 도시의 구조적 성격과 발전 방향을살피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그 시작점이 된 것은 공업단지의 건설이었다. 1966년 전남 여천군 삼일항의 배후지에는 호남정유 건설이 추진되었다. 제2정유사업을 통해서 진행된 호남정유의 투자와 건설은 초국자본의참여와 경쟁 속에서 진행되었다. 1964년 한미석유협정체제의 종료로 재편된 국내 시장에서 제2정유사업은 초국자본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온 것이었다. 에쏘, 모빌, 칼텍스, 스켈리오일, 썬오일, 그리고 이토추 등 다국적 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럭키가 칼텍스와 협력해 사업권을 획득했다. 그렇게 추진된 호남정유는 이후 석유화학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하지만 당시 여천 공업지구의 공간적 제약이 공업단지 확대의걸림돌이 되었다. 1969년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가 실시한 기술조사는비료와 석유화학으로 이어진 공업부지 확대 방안을 제시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 공업화를 계기로 여천의 신도시 개발 논의가 시작되었다. 산업기지개발공사와 함께 전라남도는 두 차례의 용역 조사와 설계를통해서 ‘전원도시’를 계획했다. 이 도시계획은 주택과 공간설계, 조경 등 도시체계의 새로운 방향성을 보여주지만, 주택과 생활권이 도심 속에서계층화를 이루며 공간의 ‘차등화’를 나타내는 등 공업도시의 독특한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 KCI등재

        1960년대 후반 울산 도시계획의 변경과 ‘차등화’된 공간 개발

        곽경상 ( Kwak¸ Kyeong Sang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1

        1962년 공업센타 지정과 함께 시작된 공업도시 울산 건설은 국내 도시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발전주의 시대 개발의 수해 속에서 성장했지만, 그 변화는 국내 도시사의 거시적 변화를 설명해 주었다. 더불어 도시개발사업의 추진 방법과 결과를 통해 이 개발이 지역사회와 주민들의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이해하게 했다. 이러한 변화를 보여주는 1960년대 후반 울산 도시계획의 수정은 증가하는 공장과 성장하는 인구를 담아내기 위한 공간 변화가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1966년 시작된 이 수정 논의는 1968년과 1969년 두 차례에 걸친 용역 작업의 결과를 통해서 기본 틀이 완성되었다. 국내 전문가와 기술 기관의 참여, 그리고 토지이용계획의 수립을 통해서 기존의 단선적인 도시구조를 변화시킨 것이었다. 특히 1969년 박정희의 지시 속에서 완성된 울산 종합개발계획은 ‘표준 공업도시’를 상정하면서 ‘한국식 전원도시’의 구조를 형성했고, 그 내용은 산업기지개발공사로 연결되었다. 한편, 공간계획과 함께 주목되는 것이 도시개발의 추진 방법과 그 결과 나타난 공간의 변화였다. 태화강을 경계로 남쪽과 북쪽에서 진행된 개발은 시차를 달리했으며, 개발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1960년대 당시 ‘수익자 부담’ 원칙이 강조됐지만 남쪽 신시가지 개발은 ‘공영개발’로 추진되었다. 그것은 개발에 대한 주민들의 반감과 재정이 열악했던 주민들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였다. 그러나 북쪽 구시가지는 남쪽 지역과는 상황이 달랐다. 구시가지 주민들은 ‘균형 개발’을 내세우며 의욕적인 조합 결성과 개발사업을 추진했지만 구시가지의 모습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민간개발로 진행된 이 구시가지 재개발은 수익성을 보장할 수 없었고, 공영주택 추진 역시 실패하면서 부진한 성과에 머물렀다. 이처럼 태화강을 경계로 나타난 상이한 개발은 울산의 도심을 ‘차등화’된 공간으로 분절시켰다. 이러한 공간의 분화는 이후 울산의 발전에서도 해결되지 못한 채 유지되면서 지역의 분열과 주민들의 대립을 키웠다. Ulsan’s designation as an industrial center in 1962 and its subsequent development as an industrial city is in important milestone in South Korean urban history. Although Ulsan grew in a larger era of developmentalism, its specific transformation helps explain broader changes in South Korea’s urban history. Furthermore, by looking at the methods and results of Ulsan’s urban development projects, we can understand how such development effects local communities and residents. In the late 1960’s, modifications were made to Ulsan’s urban planning due to increasing numbers of factories and a rising population. These modifications were first discussed in 1966, and a basic framework was created from the results of two service operations in 1968 and 1969. The existing single-line urban structure was changed with the input of domestic experts and technical institu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land use plan. Of particular importance was the Ulsan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completed under the direction of Park Chung Hee in 1969, which presented Ulsan as an “international industrial city” (kukche kongŏp tosi) and a “standard industrial city” (p’yojun kongŏp tosi), but the city was actually formed as a “Korean provincial city” (han’guk sik chŏnwŏn tosi). The plan’s wording connected it to the Industrial Base Development Corporation (Sanŏp kiji kaebal kongsa). What is noteworthy, along with spatial planning, were new methods of promoting urban development and the resulting spatial changes. The development conducted in the north and south along the T’aehwa River came at different times using different methods. In the 1960’s, the principle of “beneficiary’s burden” (suikcha pudam) was emphasized, but development of the new southern city showed a “public development character” (kong’yŏng kaebal jŏk sŏnggyŏk). This change reflected the reality of poor residents who had antipathy toward development. However, the situation in the old northern city was different. Residents ambitiously formed unions and carried out development projects by advocating “balanced development” (kyunhyŏng kaebal), while the appearance of the c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Private redevelopment of the old city could not guarantee profitability, and the promotion of public housing failed as profits remained sluggish. As such, differing development along the T’aehwa River divided Ulsan into “differentiated” (ch’adŭnghwa) spaces. This division of space remained unresolved in further development of Ulsan, causing regional schisms and confrontations among residents.

      • KCI등재

        해방 후 남한 석유시장의 재편과 울산 정유공장 건설계획

        곽경상 ( Kwak Kyeongsa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6 No.-

        해방 이후 남한의 석유시장은 한미석유협정체제를 통해 미국계 석유회사의 유통구조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 이후 한국전쟁의 발발과 함께 시작된 미군의 개입은 석유를 단순한 경제적 상품이 아닌, 미국의 대한정책 개입의 도구로 활용하게 만들었다. 한ㆍ미 사이에 불거진 UN군 대여금 지불 문제는 1954년 10월 ‘석유파동’을 가져왔고, 그 피해 결과 한국정부는 ‘유류행정의 자주권 확보’를 강구하며, 그 대책 가운데 하나로 국내 석유의 자체생산 방안을 추진해 갔다. 하지만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장치산업인 정유공장이 건설되기 위해서는 대규모 자본과 함께 기술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한국 정부로서는 자체적인 해결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이승만 정부는 그 타개의 방법으로 미국계 석유회사를 통한 투자유치를 모색하는 한편, 국내 기술자를 통해 울산 정유공장의 재건계획을 수립해 갔다. 1954년을 기점으로 본격화된 이러한 움직임은 세계 석유기업 내부의 경쟁 확대와 동북아시아 석유시장의 재편과 맞물리면서 차츰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갈 수 있었다. 대만 석유공사를 매개로 한국을 방문한 걸프는 스탠다드와 칼텍스, 쉘이 장악한 한국 시장에 대해 관심과 함께 진출의지를 보였다. 걸프의 이러한 관심은 외국 투자자 유치에 나섰던 밴플리트를 통해 정부에 전달되었고, 걸프는 투자의 조건으로 파슨스가 정유공장을 설계하고 시공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쳐 경제조정관 원과 전민제 등의 반발을 샀다. 한편, 1954년 상공부장관 안동혁의 추천으로 등용된 전민제는 울산 정유공장 관리인으로서 공장 재건계획을 지속적으로 수립해 갔다. 그는 포스터 휠러의 설리반과 웨스트의 도움을 통해 국제 석유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고, 국내 정유공장 건설에 나설 수 있었다. 당시 전민제는 정부보유불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외화 문제를 해결하는 ‘내자 중심의 건설방안’을 세워갔다. 정부는 상공부 내에 정유공장건설추진위원회를 설치해 당시까지 진행된 여러 노력과 대책 등을 종합해 정유공장의 입지와 건설 방향을 잡아 갔다. 하지만 4ㆍ19혁명의 발발로 정권이 붕괴되면서, 이 사업 역시 중단되고 말았다. 이후 등장한 군사정부는 전민제와 나윤호 등 1950년대 정유사업을 주도한 인물들을 등용해 성공을 이루었다. After the liberation of the country, the South Korean oil market became dependent on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American oil companies under the Korea-U.S. Petroleum Agreement. As the construction of oil refineries required a massive capital and high technology, Syngman Rhee’s government sought investments from American oil companies. Meanwhile, the government made a plan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Ulsan refinery under the direction of domestic technicians. As it was intertwined with circumstances such as the higher global competition between oil companies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oil market in Northeast Asia, this movement initiated in 1954 gradually made a new breakthrough. As a latecomer in the Northeast Asian market, the Gulf expressed interest in the refinery construction plan. Van Fleet volunteered as an arbitrator for the business, and the construction was eventually led by the U.S. However, there were voices of concern as the plan would require excessive funds, cause related problems, and lead to complete foreign dependency. Chon Min-che(전민제), who led the project, for instance suggested a “domestic-capital-centered construction plan” through the mobilization of the government’s dollar-holdings. However, the construction was interrupted by the collapse of Rhee’s government, and the project was completed by the following military government.

      • KCI등재

        근현대 시기 순천의 성장과 도시계획의 전환

        곽경상 ( Kwak¸ Kyeong Sang ) 연세사학연구회 2021 學林 Vol.48 No.-

        이 논문은 근현대사에서 전개된 순천의 도시 성장과 개발계획에 대해서 살핀 것이다. 순천의 도심이 근대적 도시공간으로 전환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시기였다. 당시 순천은 식민권력과 기독교 권력이 공간적 근대화를 두고 경합했는데, 그들의 경쟁 속에서 근대적 공간 개발이 추진되었다. 하지만 해방 이후 발생한 여순사건과 재해는 순천의 성장을 중단시켰다. 이 사건들로 인해 순천의 도시 기능은 오랜 기간 위축되었다. 먼저 여순사건이 몰고온 인적·물적 피해가 도시의 기반을 흔든 가운데, 1962년 발생한 수해는 도시를 붕괴시켰다. 하지만, 이를 계기로 본격적인 도시계획과 개발 논의가 시작되었다. 수해에 대한 피해 복구와 재건 과정에서 시작된 개발사업은 1960년대 중반 철도의 연결과 호남정유의 유치 소식이 알려지면서 장기적인 개발계획으로 성장했다. 당시 이 논의는 정부가 추진한 도시 성장을 위한 ‘도시근대화시책’이 영향을 미친 가운데, 도시계획에 대한 전문 교육과 인력의 양성이 추진되면서 작성되었다. 순천시 건설계장 신세식은 건설부 주택도시 및 지역계획연구실이 진행한 도시계획 연수에 참여했고, 그 경험과 지식을 발판으로 장기적인 도시계획 작성을 시작했다. 그렇게 1968년 완성된 「도시 기본계획」은 일제시기 계획된 순천의 시가지계획을 대체하는 장기적인 성장 계획이었지만, 그 내용적 한계 역시 컸다. 그 내용상의 한계를 수정하기 위한 노력이 1969년 시작되었고, 그 작업을 맡은 곳이 우일종합건설이었다. 당시 도시 재정비계획의 특징은 동천과 죽도봉을 중심으로 도심의 경관을 살리는 ‘전원도시’를 지향했다. 또한 동천을 따라서 분절된 도심을 하나로 연결하는 ‘선형도시’로 구조화되었다. 마지막으로 도시 성장의 경제적 동력을 여천공단과의 연결 속에서 찾는 등 도시 성장을 위한 기본적인 틀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도시 성장의 방향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는데, 현재의 ‘생태도시’라는 구호가 등장하고 도시가 환경과의 친연성을 갖게 된 배경은 이 재정비계획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rban growth and development plan of Sunche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cal trajec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uncheon’s feudally controlled space began to be transformed into a modern urban space. At this time, the competition between the colonial powers and the Protestant church for leading Suncheon’s spatial modernization propelled the city’s urbanization. However, the calamity of the Yeo-Sun Incident in 1948 and the flood of 1962 halted the growth of Suncheon. The incidents contracted the city’s urban functions for an extended time period. First, the incident brought about an enormous loss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this shook up the city’s fundamental structure. Second, during the flood of 1962, the “water bomb” swallowed downtown Suncheon (which came to be known as “the submerged city”) destroying houses and roads and paralyzing the city’s crucial functions, leading to the collapse of the city. However, quite the reverse, the catastrophic damages of the flood engendered the in-depth discussion of the city’s urban planning and reconstruction plan. The redevelopment project originally aimed for the Suncheon flood recovery and reconstruction;but it grew into a long-term development plan as news of the connection of railway and the attraction of the Honam Refinery was released in the mid-1960s. The government’s modernization policy impacted the direction of urban development :the government fostered the training of experts and the building up of educational curricula for the specialization of urban planning. For instance, Shin Se-sik, Chief of city, participated in the urban planning training led by Heo Pi, and started to carry out a long-term urban planning based on his experience and knowledge earned from the training. Although the 1968 completion of “Basic Urban Plan” was a long-term city development blueprint that replaced the colonial Suncheon downtown development project, the depth of the plan was limited. In 1969, Wooil Construction oversaw making amends in urban planning. The redevelopment project highlighted the building of the ‘garden city’ that revitalized the downtown landscapes centered on the Dong stream and Jukdobong. The city was also structured as a ‘linear city’ that connects the divided downtown along the Dong stream. Lastly, the basic framework for urban growth was completed by securing the growth engine in connection with the Yeocheon Industrial Complex. Since then, this direction of urban development has continuously improved. This reorganization pla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ringing out the slogan of ‘ecocity’ that integrates urban planning with the benefits of a natural ecosystem.

      • KCI등재

        해방 이후 울산 공업항 건설을 둘러싼 논의와 추진과정

        곽경상(Kwak, Kyeong-Sang)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20 No.-

        이 논문은 한국현대사의 핵심 생산입지인 울산 공업항 건설이 추진된 배경과 개발 과정에 대해서 살폈다. 1930년대 후반 전시총력전체제에서 시작된 울산에 대한 공업화 논의와 공업항 건설이 본격화된 것은 해방 이후였다. 1950년대 장생포에 방치된 정유시설을 복구하기 위한 활동 속에서 공업항 개발이 모색되었다. 국내 정유생산의 자립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울산에 배치된 시설과 이를 활용한 공업화 계획이 논의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이 계획을 주도했던 전민제와 남궁연은 생산입지로서 울산이 가지는 이점과 향후 성장 전망을 제시했는데, 그들의 주장과 계획 등이 군사정부 시기 실현된 것이었다. 1961년 군사정부가 자본가와의 협력 속에서 추진한 공업센타의 입지를 울산으로 선택한 배경에는 남궁연과 전민제의 막후 역할이 중요했다. 그렇게 울산이 공업센타로 지정되면서 정유, 비료, 석유화학, 조선으로 이어지는 공장 건설과 공업항 개발이 진행되었다. 이 공업항 개발에 있어서 주목되는 것은 ‘단지식 전략’이었다. 국가가 생산공장유치를 위해 부지는 물론, 항만과 공업 인프라를 건설하는 대규모 개발프로젝트는 새로운 토건기구의 등장과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접근 속에서 진행되었다. 울산개발계획본부와 울산특별건설국 등 강력한 토건기구의 활동은 1970년대 중화학공업단지를 개발했던 산업기지개발공사의 모티브가 되었다. 또한 주목할 점은 공업단지 개발에서 나타난 국가와 기업의 활동이다. 기본적으로 공업단지 개발은 국가가 진행했지만, 기업 역시 자신들의 이익과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노력했다. 이들은 공장의 부지 매입은 물론, 공장의 전용부두도 지원받았다. 기업의 활동은 입지를 변경하기 위한 노력으로도 나타났는데, 조선소 추진의 주체였던 현대건설은 정부가 선호했던 염포지구가 아닌, 미포지구를 조선소 입지로 요청해서 관철하였다. 이로써 울산은 장생포에서 시작해 개운포까지 연결되는 매암지구와 염포지구 그리고 미포 일대까지 항만 전체가 공업항으로 개발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developing Ulsan’s industrial port, a major production center in Korea’s modern history. Though initial discussions began in the 1940’s under imperial Japan’s total war system, it was not until after liberation that the port’s development was highly promoted. In the 1950’s, its development was sought amid activities to restore oil refineries in Changsaengp’o. The neglected refineries in Ulsan were discussed in plans to achieve domestic oil independence. Chŏn Min-che and Nam Kung-yŏn, who led the plans at the time, presented the advantages and future growth prospects for Ulsan as a production location. Their plans were then realized under the military government of Park Chung Hee. In 1961, the government, in cooperation with capital investors, designated Ulsan as the location of an industrial center. Chŏn and Nam played a significant, behind-the-scenes role in this selection. Thus, factory construction and industrial port development facilitated oil refining, fertilizer and petrochemical production, and shipbuilding.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each industrial port is noteworthy. In a new approach to developing new construction organizations, the state carried out a large-scale project to build not only sites, but actual ports and industrial infrastructure that would attract companies to build manufacturing plants. The activities of powerful construction organizations such as the Ulsan Development Planning Headquarters (Ulsan kaebal kyehoek ponbu) and the Ulsan Special Construction Bureau (Ulsan t’ŭkbyŏl kŏnsŏlguk) motivated the Industrial Base Development Corporation (Sanŏp kiji kaebal kongsa) to similarly develop a heavy and chemical industry complex in the 1970’s. Also noteworthy is the relationship that developed between the state and companies in building the industrial complex. In short, the state led the complex’s development, but companies also attempted to fulfill their own interests in working with the state. They received state support not only for the purchase of a factory’s site, but also for a factory’s exclusive port. The influence of companies can be seen in efforts to change locations for development. In promoting shipyards,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requested Mip’o district as the location of its shipyard rather than Yŏmp’o district, which was favored by the government. As a result, the entire area in Ulsan’s Maeam district, from Changsaengp’o to Kaeunp’o, as well as Yŏmp’o district and Mip’o district, were developed as an industrial port.

      • KCI등재

        5·16 군정기 군사정부의 지방정책과 정치·행정구조 개편

        곽경상(Kwak, Kyeong-sang) 한국역사연구회 2014 역사와 현실 Vol.- No.92

        With the emergence of a military government, the regional system was changed to fit the new order. The existing resident representative system based on eup(邑) and myeon(面) units was abolished, and appointment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focusing on gun(郡) units were enforced. This direction for reorganization of the regional system set by the military government was suggested by the Reg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Group within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It was intended to create efficiency and a systematic structure, to discontinue the regional election system, and to organiz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integrate regional syndicates into them. However, intellectuals expressed their concerns that such a new regional system would shut down opportunities for region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politics. The conflict set in motion by the initial systemization process of the military government became much more pronounced when a discussion was initiated regarding the appropriate regional system for a democratic government. The debate started in early 1962, and focused on whether the central government and regional authorities should continue to operate in a system of unified administrative integration, or to implement decentralization. Intellectuals who emphasized the independent role of the region itself argued for a resident self-governing system as they believed that regional elections would refresh the democratic consciousness of regional residents and prevent dictatorship of the central government from being imposed upon them. However, other intellectuals pointed out that such estimate was overlooking the socio-political inconsistency of the Korean society, and that a public administration governing system should be maintained until the national goals of modernization and unification had been achieved. In the midst of such conflict, the military government did not participate in drafting the new regional governing law of the democratic government, and the Temporary legislation for regional government policy was continued as it had been. The military government also filled the gap in regional politics caused by the discontinuation of regional elections and the abolishment of the regional council by strengthening the administrative management over regions. To this end, it introduced a planning system in regional administration, and implemented the unification of a supervision system for agricultural regions, so as to weaken regional politics and to establish the superiority of public admini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