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1학년도 경인교육대학교 신입생의 대학적응 실태

        공윤정,곽소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교육논총 Vol.32 No.1

        이 연구에서는 경인교육대학교의 2011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신입생의 대학생활, 개인생 활 및 가치관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실태조사의 참여자는 1학년 전체 대상자 의 85.5%인 577명이었다. 조사의 내용은 대학선택, 졸업 후 진로, 캠퍼스 이동에 관한 생 각, 대인관계, 가치관과 관련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신입생들은 입학 후 경인교대에 대 해서 매우 자랑스럽거나 자랑스러워하는 경우가 58.7%로 높게 나왔지만, 그저 그렇거나 불만인 경우도 41.3%로 나타나 입학 후 대학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과정 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와 관련해서는 88.5%는 교사가 되기를 희망했지 만, 11.5%는 졸업 후 다른 직업을 택하거나, 타대학 재입학을 고려하고 있다고 하였다. 특 히 1학년을 마친 후 캠퍼스 이동과 관련하여 응답자의 53.1%는 적응이 어렵거나 매우 어 려울 것으로 응답해 캠퍼스 이동전과 후 적응과정에 대한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 다. 실태조사결과에 대한 요약과 정책제언이 이루어졌다.

      • KCI등재

        거주형 치료 기관 실무자의 위기청소년 개입 경험 분석 - 국립중앙청소년디딤센터를 중심으로

        공윤정,신학승,이은주,이혜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3

        Purpose: In Korea, residential treatment programs are attempting to make a difference in lifestyle, career and school achievement and future plans of adolescents with various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in-depth the experiences of residential treatment intervention by youth workers at the National Youth Healing Center. Method: In this study, a focus-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eight staff members of the residential treatment program, the purpose of which was to explore staff perceptions of the intervention as well as change factors in the residency treatment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five males and three females between the age of 20 and 30 years. The FGI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its content was analyzed through the consensual qualitative method, from which 3 upper categories, 11 categories and 25 themes were deduced. Results: The study'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interventions for youth workers were setting intervention goals, individualized intervention, youth workers as a role model, letting them know the consequences and responsibilities of actions, and interventions by process based on understanding the change process. Therapeutic factors perceived by youth workers were cop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youth relationship patterns, enduring difficulties of youth and building receptive relationships, daily stability experience through continued basic life management, and the experiences of positive presence via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difficulties and copings experienced by youth workers included (a)frequent burn-outs and difficulties due to multiple roles and (b)cooperating and coping through trust and communications with other colleague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actual intervention experiences of youth workers at the Youth Healing Center, areas where they focus on for treatment, effective treatment factors, and difficulties and countermeasures of worker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연구목적: 최근 국내에서는 다양한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습관, 학업, 진로, 정서․행동문제 등의 변화를 위한 거주형 치료 프로그램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주형 치료기관인 청소년디딤센터 실무자들의 거주형 치료 개입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거주형 치료재활 프로그램의 실무자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집단면접을 실시하여, 실무자들이 지각한 거주형 치료재활프로그램에서의 개입의 목표 및 변화의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남자 5명, 여자 3명이었고, 나이는 20~30대였다. 포커스집단면접의 전 과정은 녹음한 후 전사하여 내용분석하여, 연구자들의 합의를 통하여 3개의 상위범주, 11개의 범주와 2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디딤센터 실무자들의 입교생들에 대한 중점적 개입영역은 변화를 위한 개입목표 설정, 입교생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 개입, 도움을 주는 역할모델 되어주기, 합의한 규칙에 따라 행동의 결과와 책임을 알게 함, 입교생의 변화과정 이해에 기반한 과정별 개입이었다. 입교생의 변화에 효과적인 치료적 요인으로는 입교생 관계패턴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대처함, 입교생의 어려움을 버텨내며 수용적 관계 형성, 숨쉬는 듯이 하는 지속적인 생활관리로 안정감 경험, 성공경험을 통한 긍정적 존재감 경험의 범주가 나타났다. 거주형치료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처에는 빈번한 소진과 교사의 다중역할로 인한 어려움, 동료들 간의 신뢰와 소통을 통해 협조하고 대처의 범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포커스집단에 참가한 실무자 1인, 질적연구 전문가 1인에게 검토를 받아 분석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거주형 치료기관인 청소년디딤센터 실무자들의 실제 개입 경험과 이들이 중점적으로 개입하는 영역 및 효과적 치료 요인, 실무자들의 어려움과 대처방안 등을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성적,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역할과 직업포부의 관계

        공윤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1

        This article examines (a) the overall development of youth's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b)the role of academic performa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x-roles in shaping occupational aspirations. Occupational aspirations are examined using two dimensions of occupations: prestige level and sex-type. Data were gathered from 177 6th graders, 182 8th graders, and 178 11th grad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Eighth graders and 11th graders showed occupational aspirations with higher prestige level compared to that of 6th graders. There was no occupational sex-type differences found among occupational aspirations of three age groups. Male 11th graders aspired occupations with higher prestige level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whil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found in other age groups. Regarding occupational sex-types, male 8th graders wanted to acquire more masculine occupations compared to their female counterparts. The influences of academic performance, academic self-efficacy, sex-roles on prestig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xplained variance by 3 predictors were significant for 6th- and 8th- graders. In general,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ccupational aspirations, while sex-roles were not significant in predicting occupational aspirations. 이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포부의 성유형의 변화를 탐색하였고, 직업포부가 성적,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역할과 관련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177명, 중 학생 182명, 고등학생 178명으로 총 537명이었다. 연구의 참여자들에게 직업포부 질문지, 성적, 학업적 자기 효능감검사, 성역할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직업포부에서 계산한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포부의 성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초등학생에 비해 직업포부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직업포부의 성 유형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포부수준의 성별차이에서는 고등학생만 남자가 여자에 비해 직업포부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포부의 성유형 에서는 중학생 남자가 여자보다 남성적인 직업을 선호하였으며,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은 직업포부 성유형에 서 성별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성역할 중 여성성은 직업포부의 성유형과 관련되지 않았지만, 남성성은 초 등학생과 중학생 여자의 직업포부의 성유형과 관련되었다. 성적,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역할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직업포부수준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나, 고등학생 남녀의 직업포부수준은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 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른 논의가 기술되었다.

      • KCI등재

        진로장벽 : 이론적 고찰 및 상담 실제에의 적용

        공윤정 한국상담학회 2005 상담학연구 Vol.6 No.3

        진로장벽 연구자들은 최근 사회인지 진로이론(Lent, Brwon, & Hackett, 1994; 2000)에 포함된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요인에 주목하고, 전통적인 진로장벽 개념을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틀 안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런데 전통적인 진로장벽 개념은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개념들 중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대처효능감, 맥락적 요인 모두와 관련되므로, 진로장벽을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맥락적 요인 중 외적 장벽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사회인지 진로이론에서는 진로장벽의 대처와 관련한 심리내적 요인인 자기효능감, 특정 진로에 진입한 이후 얻게 되는 결과기대, 특정 진로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기대하는 사회적인 지지와 외적 장벽을 구분하고, 이 중 진로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에서 경험하는 외적 장벽만을 진로장벽으로 구분한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진로장벽 연구에서의 진로장벽의 개념과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관련 개념들과의 차이를 탐색하고, 진로장벽을 과정결과 중 외적 장벽으로 한정할 때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한 가정과 이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결과들을 요약하였다. 전통적인 진로장벽의 개념을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틀 내에서 자기효능감, 대처효능감, 결과기대와 외적 장벽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때 이러한 개념적 구분이 진로상담의 실제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This article describes the concept of career barriers studied in traditional atheoretical career barriers studies, and compares it with career barriers explained in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Lent, Brown, & Hackett, 1994; 2000). Particularly, the concept of career barriers in the SCCT is described as compared with the concepts of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coping efficacy. The assumptions of the SCCT an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ies are summarized as regards to (a)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goals, and (b)the path through which career barriers influence career goals. Applicable counseling interventions are discussed in applying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ies of career barriers to the counseling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니노 카루소의 건축도자에 관한 연구

        공윤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6

        This study examined the modular structure, a characteristic of the works of Italian Ceramic Artist Nino Caruso (1928~) and their formative background. Dividing Nino Caruso’s works by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rather than by the period, it discussed them. The greatest impacts on Nino Caruso’s Architecture Ceramics were Islamic modules, Greek geometric motifs, the Mediterranean imag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accumulated based on his artistic and visual experiences in his childhood, which have served as the backgrounds of his works. In terms of techniques of the production of works, he has introduced the concept of design in producing modules, created them based on repeatability and continuity, and gave birth to a system that can correspond with architecture.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industrial aspects, he has studied structures that can be mass-produced and combined to urban architecture, so that he produced a chance for Architecture Ceramics to be able to realize ‘publicness.’ He opened a new horizon of Post-modern Ceramics in the mid-20th century beyond the limits of modular works by finding a common ground through a lot of discussion with architects and by creating irregular sculptures with graphical styles, which were almost geometrical shapes. Especially, under the situations of reality in which contemporary ceramics already considered ‘publicness’ and ‘popularization’ in the issue of its ‘artistic value,’ he proposed a direction of Architecture Ceramics, introduced contemporary design concepts to ceramics, and discussed a new concept of ‘The roles of decoration’ through a clear and fundamental form. His efforts like these can be said to have served as the main driving force for drawing out various attempts of the next generation ceramic artists. 본 연구는 이탈리아의 도예가 니노 카루소(Nino Caruso, 1928~)를 대상으로 그의 작품의 특성인 모듈구조와 조형적 배경을 고찰했다. 니노 카루소의 작품을 시기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작품의 특성적 차이를 중심으로 분리하여 논하였다. 니노 카루소의 건축도자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이슬람의 모듈과 그리스의 기하학적 모티브로 어린 시절의 예술적, 시각적 경험을 기반으로 축적된 지중해적 이미지와 조형적 특성으로 그의 작품적 배경으로 작용한다. 작품제작의 기술면에서는 모듈을 제작하는데 있어 디자인적 개념을 도입시켜 반복성과 연속성에 입각하여 창작하고 건축에 부합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탄생시켰다. 특히 산업적 측면에 주목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도시건축과 통합할 수 있는 구조를 연구하여 건축도자가 ‘공공성’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그는 건축가들과의 많은 토론을 통해 그 합의점을 찾아내고 기하형태에 가까운 도식적인 스타일의 불규칙조형을 만들어냄으로써 모듈작품의 한계를 넘어서 20세기 중반, 포스트모더니즘 도예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특히 현대도자가 이미 그 ‘예술성’의 문제에 있어 ‘공공성’과 ‘대중화’를 고려하는 현실적 상황 속에서 건축도자가 나아가야할 길을 제시하고 현대 디자인개념을 도예에 도입하여 명확하고 근원적인 형태를 통해 ‘장식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논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력들은 차세대 도자예술가들의 다양한 시도를 끌어내는데 주요한 견인차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의 진로적응 관련 요인

        공윤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1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career adjustment are investigated for college students who decided on their majors primarily based on extrinsic motivation, such as employability, and their scores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pecifically, the mediation effect of self-determination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was examined in relation of emotional stability with vocational identity. Vocational identity was used as an indicator of career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with extrinsic motivation. Final sample consists of 151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stability, self-determination, and vocational identity were moderately correlated(r=.30~.34). Second, the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determination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stability and the vocational identity. All three subscales of self-determination-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 also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stability and the vocational identit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eem to contribute to facilitate the career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who decided on their majors based on extrinsic motivation. 이 연구에서는 취업 가능성, 주위의 권유와 같은 외적 동기를 우선 고려해 전공을 결정한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진로적응과 관련된 변인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의 진로적응에는 진로정체성의 형성이 중요한 지표가 된다고 간주하고, 정서적 안정성 및 자기결정성이 진로정체성과 관련되는지, 정서적 안정성과 진로정체성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외적 요인을 우선 고려해 진로를 선택한 대학생151명이었다. 연구결과 정서적 안정성, 자기결정성, 진로정체성은 모두 중간 정도의 상관(r=.30~.34)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안정성과 진로정체성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이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자기결정성은 정서적 안정성의 진로정체성에 대한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결정성의 하위요인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도 각각 정서적 안정성과 진로정체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외적 동기에 의해 진로결정을 한 대학생들이 전공선택 이후 진로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관련되는 변인들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아동의 진로발달과 영향 요인

        공윤정,박한샘 한국진로교육학회 2009 진로교육연구 Vol.22 No.2

        In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and relevant factors affecting them.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were described in aspects of (a)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expectations, (b)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interests and abilities, and their awareness of them, (c) children's acquisition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d)their attitudes toward career. Factoring affecting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on the developmental path of children's career aspirations, reasons of occupational circumscription, structures of children's interests and their stability, contents of occupational information they obtain, and career-related parental intervention.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경험적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 문헌 연구를 통해 아동의 진로 발달상의 특징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의 특징은 직업포부와 직업기대의 발달, 흥미와 능력의 발달과 인식, 직업 정보의 이해, 진로태도의 발달의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경험적인 연구들에서 밝혀진 결과를 중심으로 아동의 직업포부, 자기이해, 직업 정보의 발달, 진로태도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과 그 영향을 기술하였다. 문헌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아동의 직업 포부의 발달 과정, 직업포부를 제외하거나 형성할 때의 판단 근거, 아동 흥미의 발달 및 안정성, 아동이 습득하는 직업 정보의 종류와 정확성, 진로와 관련한 구체적인 부모의 개입 및 그 영향 등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