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델 불확실성에 강인한 유연구조물의 입력설계

        황재혁,공병식 한국 항공대학교 항공산업기술연구소 1997 航空宇宙産業技術硏究所 硏究誌 Vol.7 No.-

        This paper compares input shaping techniques for controlling residual vibration of flexible structures. Input shaper generates vibration-reducing shaped commands through convolution of an impulse sequence with the desired command. Both feed forward and feedback control approaches with/without input shaper for uncertain dynamical systems a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control performances. The control objective is to achieve a fast settling time and robustness to plant uncertainty, to eliminate residual vibrations. It is shown by a series of simulation that a properly designed feedback controller with input shaper performs well, as compared with open-loop controller with input shaper.

      • KCI등재

        경추부 골절에서 척추 동맥 손상의 방사선학적 특징

        안면환,공병식,김정래,신지훈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3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연구목적: 경추부 손상 시에 척추동맥 손상의 발생 빈도와 그 방사선학적 특징을 확인하고, 척추동맥 손상의 자기공명영상 분석과 그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척추동맥 손상은 경추부 골절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6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정형외과에 입원한 자로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확인할 수 있었던 경추부 골절 5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추부 골절의 양상은 단순방사선,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판정하였고 척추동맥 손상은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신호 소실을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결과: 자기공명영상 검사 상 총 57예 중에 12예(21.1%)에서 편측의 척추동맥의 손상이 확인되었다. 뇌 혈류 장애를 초래한 증례는 없었다. 통계학적으로, 척수 손상 여부와 척추동맥 손상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424). 횡돌기 골절 7예 중에서 6예에서 척추동맥 손상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0). 골절의 위치(p=0.416), 골절의 양상(p=0.723) 그리고 연부조직의 손상(p=0.195)은 척추동맥 손상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척추동맥 손상은 경추부 골절 환자에서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척추동맥 손상과 관련된 방사선학적 인자 중 횡돌기 골절의 유무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추부 골절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연속된 단면의 신호 소실 결여는 척추동맥 손상을 의심하고 추가적인혈관 조영 검사가 필요한 지침으로 유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색인 단어: 척추동맥 손상, 경추 골절, 자기공명영상 검사약칭 제목: 경추부 골절에서의 척추동맥 손상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by probing vertebral artery injuries and their radiologic characteristics in cervical spine fractures,and analyzing MRI findings of vascular injuri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Vertebral artery injuries are found relatively often in cervical spin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57 cases of cervical spine fractures that occurred beginning in June 2011 and ending in February 2003.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racture were evaluated using conventional radiographs, CT, and MRI. The presence of a vertebral artery injury was based on the absence of signal void in multilevel transverse foramens. Results: Twelve out of the 57 cases (21.1%) were found to have unilateral vertebral artery injuries. Clinically, impairment in cerebral circulation was not found. We found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signal change in the spinal cord and in the vertebral artery injury (P=0.424). We noted fractures of transverse processes in 7 cases, 6 of which showed vertebral artery injuries. Thus, the transverse process facture was associated with t vertebral artery injury (P=0.000). There seemed to be no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ebral artery injury and each of following: fracture level (P=0.416), fracture type (P=0.723) and severity of soft tissue injury (P=0.195). Conclusions: Unilateral vertebral artery injuries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cervical spine fractures. And of all radi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vertebral artery injury, only the presence of transverse process fract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bsence of signal void at multi-section MR images is considered to be a useful guide to commence additional vascular evaluation. Key Words: Vertebral artery injury, Cervical spine fracture, MRI

      • 50세 이상에서 발생된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예후 인자

        이동철,손욱진,공병식,Lee, Dong-Chul,Shon, Oog-Jin,Kong, Byung-Sic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2

        목적: 50세 이상에서 발생된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의 관절경적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후 치료 결과를 평가하고 결과에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본원에서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로 관절경 치료를 시행한 총 52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64세(50~79)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평균 27.5개월(12~49)이었다. 수술 전과 후의 기능 평가는 Lysholm knee score와 C-반응성 단백 수치의 정상화 되는 기간을 통해 그 치유 효과를 판정하였다. 연령, 감염전 관절염 정도(Kellgren stage), 기저 질환, 원인균과 치료 시기 등이 술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일차 수술후 감염의 완치는 94%였으며, 재수술은 2예에서 실시되었다. 원인은 15예에서 관절내 주사, 2예에서 외상에 의해 발병하였으며 그 외에는 원인 미상이었다. 발생 원인균으로는 13예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가장 많았고, 27예에서는 균이 동정되지 않았다. 술후 기능의 호전 정도는 관절염의 정도가 낮고, 연령이 적을수록, 그리고 조기에 치료할수록 좋았다. 하지만, 동반질환에 의해서는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추시시 52예 중 4예에서 관절운동의 제한을 보이는 합병증이 있었으며 그 외에는 동통이 없는 관절 운동으로 발병전 상태로 복귀하였다. 결론: 고령의 급성 화농성 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은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료되며 술후 기능은 환자의 연령이 60세 미만이고, 감염전 관절염 정도가 낮으며, 조기에 치료를 시행할수록 좋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sult of arthroscopic treatment in septic knee arthritis and evaluate the prognostic factor over 50 years old. Materials and Methods: Fifty-two patients were treated by arthroscope for septic knee arthritis from January, 2002 to August, 2005.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7.5months. We assessed Lysholm score as functional result, CRP normalized period as laboratory result, and knee range of motion as clinical result. We evaluated patient's age, underlying disease, causative organism, previous knee status (Kellgren stage), clinical status of septic arthritis (G$\ddot{a}$chter stage) and history of intra-articular injection as prognostic factor. Results: Mean Lysholm score was improved from 40.7 to 67.1. And the mean CRP normalized period was 38.7days. At last follow-up, almost patient (92%) were recovered to prior knee full range of motion and 45 patient (74%) were completely cured by one stage operation. The microorganism isolated were MSSA (n=13), MSSE (n=3), MRSA/MRSE (n=4),no microorganism (n=27) and others (n=5). In Lysholm score, young age (42.8(preop.)$\rightarrow$83.5(postop.)), Kellgren stage 0 ($45.5{\rightarrow}84.2$), G$\ddot{a}$chter stage I ($39.3{\rightarrow}73.1$) and no microorganism (442.1{\rightarrow}72.6$) were more increased than old age (439.3{\rightarrow}61.7$), Kellgren IV ($28.3{\rightarrow}43.7$), G$\ddot{a}$chter stage IV ($40.2{\rightarrow}67.1$) and MRSA/MRSE ($40{\rightarrow}58.75$). In case of old age (42.3days), G$\ddot{a}$chter stage IV (55.5), Kellgren stage IV(43.7), DM patient (42.1) and intra-articular injection history (52.1), the CRP titer normalized period was longer than mean period. MRSA/MRSE(n=3,75%) were not normalized in CRP titer at last follow-up. Conclusion: Arthroscopic treatment of septic knee would be an effective and satisfactory procedure. Age, previous knee status (Kellgren stage), underlying disease (DM), intra-articular injection history, microorganism and Ga¨chter stage effect end result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