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수원 거북시장 경관협정에서 나타난 참여자 역할에 대한 연구

        고하정,정수진,손용훈,Ko, Ha-Jung,Chung, Soo-Jin,Son, Yong-Hoo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6

        최근 지역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협약 및 협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경관협정에 대한 관심 또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민주도로 경관협정이 체결된 수원시 거북시장 경관협정 사례를 중심으로 협정체결과정에서의 의사소통기법과 역할을 살펴보고, 경관협정에 대한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함께 참여자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문헌자료에서 알기 어려운 협정과정에 대한 정보와 의견을 수집하였으며, 체결과정에서 각 주체의 참여정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협정체결과정에서 교육, 설명회, 세미나 등 다양한 의사소통기법이 활용하였으며, 참여주체별로 역할을 수행과 동시에 주체 간의 관계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관협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현 시점에서 주민이 중심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가 역할이 중요하며, 주민역량과 주민주도성이 높아짐에 따라 참여자의 역할이 단계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이러한 변화과정에 적합한 단계별 제도적 지원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단일사례 연구로 일반화되기에는 어렵지만, 경관협정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경관협정체결에 필요한 사항을 검토하고, 주체별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추후 지속적인 협정사례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비교 연구함으로써 경관협정제도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growing concern about landscape agreement with regard to a variety of activities within resident-based agreement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greement contacting process and its essential role as a bottom-up resident-based process. The study site is Gobuk Market in Suwon city, where a resident-based landscape agreement was successfully made. In this study, the author implemented in-depth interviews and a literature review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agreement contracting process and participants' opinions regarding the Gobuk Market case. During the landscape contracting process,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residents, experts and the government changed. The study found that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training, agreement information sessions and seminars were conducted during the process of the resident-based landscape agreement and it is crucial to construct healthy relationship among stakeholders. Furthermore, the experts' role is crucial in establishing agreement among residents initially. However, as local empowerment and the willingness of local people grow, each stakeholder's role is changed by stage. Therefore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have the necessary task of providing institutional strategy. This study has offered practical information on how each stakeholder played their individual role within the landscape agreement.

      • KCI우수등재

        공원 이슈에 대한 주요 언론의 담론변화분석 -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

        고하정,Ko, Ha-jung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5

        Parks became essential to people after the introduction of modern parks in Korea. Following mayoral elections by popular vote, issues surrounding parks, such as the creation of parks, have arisen and have been publicized by the media, allowing for the formation of discourse.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topic analysis by collecting news articles from major media outlets in Korea that addressed issues related to parks since 1995, after the introduction of mayoral elections by popular vote, and analyzed changes over time in the discourse on park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analysis, the following five topics were classified: urban park expansion (Topic 1), historical and cultural parks (Topic 2), use programs (Topic 3), zoo event (Topic 4), and conflicts in the park creation process (Topic 5). The park-related discourse addressed by the media is as follows. First, the creation process and conflicts regarding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parks are treated as the central discourse. Second, the names of parks appear as keywords every time a new park is created, and they are mentioned continuously from then on, thereby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discourse. Third, 'residents' form discourse about the public nature of the park as the principal agent in park-related media.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how parks are interpreted and how discourse is formed and changed by the media. It is expected that discourse on parks will be addre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further research focusing on other media, such as regional and specialized magazines. 국내에 근대식 공원이 도입된 이후, 공원은 우리에게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 민선시기 이후, 공원조성 등 공원을 둘러싼 이슈가 생산되고 언론을 통해 확산되어 담론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에 본 연구는 민선시장 체제인 1995년 이후의 '공원' 관련 이슈를 다룬 국내 중앙지의 보도기사를 수집하여 토픽분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공원에 대한 시계열적 담론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LDA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5개의 토픽-도시공원확충(토픽1), 역사문화공원(토픽2), 이용프로그램(토픽3), 동물원 사건사고(토픽4), 공원조성과정갈등(토픽5)-으로 분류되었다. 언론에서 다룬 주요 공원담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의 양적 확장에 대한 조성과정과 갈등이 주요 담론으로 다뤄지고 있다. 둘째, 신규 공원 조성시마다 공원명이 신규 단어로 출현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언급되면서 담론형성에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셋째, 민선시대 공원 관련 언론에서 '주민'은 주요 주체로 '도시', '환경'과 함께 언급되며, 공원의 공공성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원이 언론을 통해 어떻게 해석되는지 담론변화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추후 본 연구에서 다룬 중앙지 외에 지역지, 전문지 등 다른 매체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담론이 다뤄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경관협정 체결에 기반한 경관사업 후 거주상인의 인식 및 평가 - 수원 거북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

        고하정 ( Ko Ha-jung ),손용훈 ( Son Yong-hoon ) 한국경관학회 2016 한국경관학회지 Vol.8 No.2

        최근 주민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경관사업은 기존의 공공주도에서 벗어나 주민주도 사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 과도기적 상황에서 주민주도적 경관사업이 잘 정착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경관협정 중 유일하게 주민주도로 경관협정을 체결하고 사업을 진행한 수원시 거북시장 길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공사 전부터 현재까지 영업을 하고 있는 거주상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의미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협정부터 출발한 사업이니 만큼 상인들의 만족도가 높아야함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둘째, 긍정적인 부분은 가로의 깨끗함 외에는 개선 의지나 장기적인 기대에 관한 것을 포함한 것에 불과하며, 셋째, 상인들은 가로활성화를 목적에 두었으나 경관사업은 물리적인 가로경관 개선에 치중되어 있어 경관사업 후 내부적인 갈등이 심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업자로의 단일 사례 연구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연구대상지가 주민주도적인 경관협정에 기반 하여 경관사업이 이루어진 점을 감안하면 개선사업의 과정과 개선 후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부분은 향후 상업가로 개선사업 진행시 고려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With a growing interest in resident participation, the landscape business has transformed from the existing government-driven to the resident-led project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how well resident-led landscape projects have taken root under such transformative circumstances, the Gobuk market road in Suwon, on which a project had been implemented as the only resident-led agreement among landscape agreements, was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the resident merchants having done business before the project started till now.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interviews with the use of a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showed first, there were quite a number of negative opinions even though the merchants' satisfaction level should have been higher given that this had kicked off from an agreement. Second, positive views were no more than things that were inclusive of their willingness for improvement or long-term expectations, except for the cleanliness of the streets. Third, it was able to be confirmed that internal conflicts got worsened because as opposed to the merchants' aim to revitalize their streets, the landscape project had mainly revolved around improving physical landscapes. Although it might be difficult for this study to elicit generalization from a single case of commercial road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process of the enhancement project was differently conducted from what the merchants had in mind, even after the landscape enhancement project was carried out based upon the resident-led landscape agreement, and such a poi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commercial road improvement projects are to be conducted down the road.

      • KCI등재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을 위한 생태계 건강성 지수 적용 및 평가

        김정인 ( Kim Jung-in ),고하정 ( Ko Ha-jung ),권혁수 ( Kwon Hyuk-soo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3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6 No.6

        This study assessed the ecological health of border areas using the ecological health index and suggested Indicators for maintaining and promoting ecological values. We analyzed the change trends, pressures, and resilience of ecosystems and services in border areas, and identified their current status and sustainability. The main findings were: (1) ecological assets and ecosystem services in border areas could be compared through ecosystem health assessment; (2) it can be used to set priorities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by identifying the relative importance and vulnerability of ecosystems and ecosystem services in each border area; and (3) the index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judged to have explanatory power for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 areas and ecosystem health whe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lack of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the resulting limited application of evaluation methods, which limited direct regional comparisons. To overcome the research limitatio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such as establishing ecological information in border areas, mapping and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and developing and applying assessments that reflect the opinions and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This study was the first attempt to assess the health of ecosystems and ecosystem services in border areas and provided an important baseline for future changes in border areas. In the future, it will be helpful i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policies and ecological assetecosystem management by supplementing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presenting clear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