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시대의 북한 고고학 비교: 『조선고고연구』 ‘멀리서 읽기’

        고일홍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3 통일과 평화 Vol.15 No.1

        『조선고고연구』는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에서 1986년부터 계간으로 발행해 온 북한고고학의 대표 학술지로, 북한 고고학의 역사를 추적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차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조선고고연구』에 수록된 글들을 분석하여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체제의 북한 고고학 활용 전략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추적하였다. 분석 대상 텍스트가 방대한 관계로, 이번 분석을 위해 ‘디지털 인문학’의 ‘멀리서 읽기’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본 분석에서 사용된 ‘멀리서 읽기’ 기법은 총 3가지였다. 우선,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시대에 게재된 모든 논문의 제목으로 구성된 말뭉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 시대의 주요어를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하였고, 토픽 모델링을 통해 대표 주제 5개 및 연관 주요어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김일성·김정일 시대를 거치면서 ‘발전’의 중요도가 낮아지고, ‘평양’의 중요도가 높아졌음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김정일 시대 ‘조선민족제일주의’의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서는 ‘왕릉’, ‘개성’, ‘문화유산’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만월대’가 새롭게 주요어로 등장하였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문화유산보호법’의 채택 및 ‘사회주의기업 책임관리제’의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판단하였다. 한편, 『조선고고연구』 수록된 ‘교시적’ 글의 제목과 가장 먼저 등장하는 교시의 내용에 대해 주요어 분석과 시맨택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김정일·김정은 시대의 교시 중 가장 중요한 주요어가 ‘력사’에서 ‘민족’으로 전환되었고, 또한 김정은 시대 교시의 시맨틱 네트워크에서 ‘문화유산’의 중심성이 ‘민족’ 다음으로 높게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김정은 시대 ‘민족’ 담론의 변화, 그리고 북한 정권이 고고학 성과를 바탕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의 변화를 반영한 결과라고 판단하였다.

      • KCI등재

        네트워크 시각화와 고고학 자료의 활용 낙랑고분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일홍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1

        The amount of archaeological data on Nangnang (Lelang) Tombs published since the 1990s has come to exceed the amount of data previously accumulated as a result of large-scale rescue excavations undertaken in Pyeongyang.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of utilizing that data, which is of low resolution. This paper adopts a network approach, which can be useful in dealing with large amounts of low resolution data, to undertake an analysis of the data retrieved from finds lists found in North Korean publications. A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lluminate the usefulness of network vitalization, tombs yielding Chinese Han mirro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s they were deemed suitable for the purpose at hand, as well as being a key topic of research in Nangnang studies. The results of analysis undertaken on the Nangnang tombs revealed that the clustering of tombs did not coincide with pre-established temporal phases, indicating that a rough study of mortuary practices at the tombs c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omb type, without putting too much weight on temporal elements, which could not be ascertained for many of the tombs published from the 1990s. In addition, it was illustrated how the lower resolution nodes could be more useful that higher resolution node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indicating that low resolution data could indeed be useful. 록 평양에서 진행된 대규모 구제발굴로 인해 1990년 이후 북한에서 조사·보고된낙랑고분 자료의 양은 어느덧 그 이전까지 조사되었던 자료의 양을 능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그 정보가 정치하거나 완전하지 않을지라도, 적절히 활용하여 낙랑고분 연구를 진전시킬 방법을 모색할 때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다량의 거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에 기반하여, 1990년 이후 북한에서 출간된자료에 수록된 ‘고분 출토유물 목록’의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 시각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 낙랑고분의 사례를 통한 ‘네트워크 시각화의 유용성 제시’인 관계로, 모든 낙랑고분에서 출토된 유물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지는 않았다. 그 대신 네트워크 시각화의 효용성을 평가하기에 적절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낙랑 고고학의 핵심 연구 주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자료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자 했다. 이에 ‘한경’이 출토되는 낙랑고분들에 주목하였다. 즉, 본고에서는 한경이 부장된 낙랑고분의 출토유물을 분석하여 목곽묘, 귀틀묘, 전실묘 부장품의 공반관계를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였다. 한경이 부장된 낙랑고분의 공반출토유물을 시각화를 한 결과, 시간적 차이 따른 고분 노드의 군집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로써 시간적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목곽묘, 귀틀묘, 전실묘 단위로만 매장행위나 장례의식을 연구하는 다소 거친 접근도 충분히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연구 주제에 따라서는 ‘높은 해상도의 노드’가 아닌 ‘낮은 해상도의 노드’를 설정하는 것이 더 적절한 네트워크 분석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로써 ‘해상도 낮은 다량의 데이터’도 충분히 활용 가치가 있음을 환기시켰다. 낙랑고분의 경향성을 네트워크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낸 본 연구의 시도는 고고학에서 있어서 ‘네트워크 시각화’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낙랑고분에 대한 다양한 정보의 효율적 전달 방법을 소개하였다. 후자는 낙랑 고고학에 입문하는 문턱을 낮추어, 연구 저변의 확대, 새로운 연구 주제의 개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의 도입 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인류사 전개 과정에 대한 고고학자 차일드의 역사관 재조명

        고일홍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人文論叢 Vol.65 No.-

        V. Gordon Childe’s understanding of how human history unfolded was based on certain ideas regarding the historical process. However, the dissemination of these ideas amongst the wider public has been accompanied by a mis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intentions and messages contained within. The aim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rectify this unfortunate situation by providing a detailed discussion on Childe’s perception of the historical process. In order to do so, a brief examination of his two revolutions - the Neolithic and Urban - is first carried out since an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se two concepts is thought to have contributed to the inaccurate interpretation of Childe’s original ideas on human history. These ideas are then considered in the following section and three key points are noted. First, Childe's interpretation of human history was based, above all, on a socio-economic perspective. Second,Childe had belief in the progress of humankind, but progress was not taken to mean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social evolutionary sense. Third, the process of social and economic change, which determined the outcome of human history, was dialectical rather than directional.

      • KCI등재

        北韓 考古學界 最近 現況 檢討-『 조선고고연구』에 대 한內容分析을 中心으로-

        고일홍 호서고고학회 2018 호서고고학 Vol.0 No.41

        Recent political developments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e possibility of academic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archaeologists. In order to ensure that such exchanges are successful, we must first try to see if a common grounds for research exis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such a common grounds by undertaking a content analysis approach to North Korea’s representative archaeological journal, Joseon Gogo Yeongu.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 culture historical approach is widely used in North Korean archaeology but interpretations of social development are constrained due to the Juche ideology. It was also noted that North Korean archaeologists may not be entirely ignorant of recent theoretical trends in archaeology. North Korean archaeologists were also found to be knowledgable about various scientific analytical approaches, which they obtained information of through recent English publications. It was also confirmed that North Korean archaeologists were well aware of developments in South Korean archaeology. Interestingly enough, the possibility that geoarcheological research may be seen to not belong to the discipline of archaeology was note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Juche ideology had less of an influence on North Korean archaeology than may have been previously believed. 최근 한반도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제적 정세변화로 인해 남북한 고고학계의학술교류의 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이에 남한과 북한의 고고학자 모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학술교류의 형태와 방법에 대해 고민할 시점에왔다고 할 수 있다. 그간 남한 고고학계 내에서 북한 고고학의 연구사적 경향과최근 연구 성과를 파악하는 시도들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 검토되지 않았던 부분을 중심으로 북한 고고학계의 최근 현황을 살펴보았다. 즉, 북한 고고학의 대표적 학술지인『조선고고연구』를‘북한 고고학의 현주소’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하나의‘텍스트’로 삼고, 그것을 대상으로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진행하였다. 이때 특히 초점을 맞춘 것은 고고학적 연구가‘실천’되고 있는 양상, 다시 말해 북한 고고학의 학문적 환경에 대한파악이었다. 『조선고고연구』에 대한 본고의 내용분석은 성공적인 학술교류의 가능성을 진단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1) 현대고고학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북한 고고학자들의 인식 및 활용의 정도, 2) 남한고고학의 발굴 및 연구 성과에 대한 북한 고고학자들의 인지 정도, 3) 북한 내에서 고고학의 학문적 범위, 4) 북한 고고학이 주체사상에 경도된 정도. 이상과 같은 내용분석을 진행한 결과, 우선 이론적 측면에서는 문화사적 접근이 북한 고고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주체사상의 영향으로 사회 발전 단계에 대한 실증적연구가 위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대 고고학의 최신 이론적 경향들에대해 북한의 고고학자들이 완전히 무지한 것은 결코 아님을 보여주는 단서를 포착하였다. 방법론의 측면에서는 북한의 고고학자들이 현대 고고학의 다양한 분석방법들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특히 연대측정 다음으로 토기 자료에 대한 자연과학적 분석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자연과학적 분석 방법에 대한 정보를 영미권의 최신 출판물로부터 얻고 있다는 정황을포착하였다. 이처럼 북한의 고고학자들이 예상보다 넓은 고고학적 시야를 가지고있음을 알게 되었는데, 이는 남한의 고고학 자료에 대해서도 그러했다. 즉, 『조선고고연구』에는 남한의 고고학적 발견 및 성과를 다루고 있는 글들이 꽤 많이 수록되어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남한 출판물을 참고문헌으로 명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북한 학계 내에서‘지질고고학’의 범주에 포함되는 연구나 고고학과 지리정보체계를 접목시킨 연구가 고고학의 학문적 범위 밖에서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북한에서 고고학적 해석이주체사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 현실이지만, 주체사상이『조선고고연구』에서 노골적으로 재생산되는 경우는 의외로 많지 않으며, 그러한 작업에 동참했던 연구자도『조선고고연구』에 글을 수록한 고고학자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역사적 관점이 결부된 장소성 연구의 필요성: ‘타자’의 역사성 회복을 위하여

        고일홍 한국공간환경학회 2022 공간과 사회 Vol.32 No.2

        This paper argues for the need to adopt a historical point of view in studies on place and placeness. In particular, the need to trace the historicity of place asset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temporal frame and by reconciling the historicity of ‘The Other’ was maintained, and related case studies were presented. In the first case study, by comparing the past and present of the ‘educational migration’ phenomenon at Daejeong, in Jeju Island, the necessity of tracing the historicity of place assests and the need to imbue the perspective of The Other of a specific place with historicity was presented. In the second case study, by tracing the events of foreign exchange and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of foreigners in the Ulsan region, spanning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present, it was proposed that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this place could be defined as ‘the hub of international exchange’. Through this, the author argues that adopting the lens of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study of placeness could be intensified and new types of placeness could be discovered. However, in this paper, rather than using a historical sense of ‘placeness’ as a tool to explain present-day phenomena, it was regarded as a resource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uture visions. 본고는 역사적 관점이 가미된 장소성 연구를 위한 제언을 담고 있다. 특히 시간관의 확대를 통한 장소자산의 역사성 추적, 그리고 장소 속 타자의 역사성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이와 관련된 사례연구들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사례연구에서는 제주도 대정을 배경으로 진행된 ‘교육 이주’ 현상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함으로써, 장소자본의 역사성을 추적해야 하는 필요성과 특정 장소 속에서의 타자를 바라보는 관점에 역사성을 가미해야 하는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두 번째 사례연구에서는 울산지역을 배경으로 일어났던 대외 교류나 이방인의 이주 및 정착의 사건들을 선사시대부터 조망함으로써 이곳이 지니는 ‘국제 교류의 거점’으로서의 장소적 특징을 드러냈다. 이를 통해 필자는 ‘역사적 관점’이라는 렌즈를 추가할 경우, 장소성 연구의 심화뿐만 아니라 새로운 장소성의 발견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다만 본고에서는 이처럼 역사성이 가미된 ‘장소성’을 오늘날의 현상을 설명하는 도구로 인식하기보다는 미래의 비전 구상 및 추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원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무덤 연구의 다각화를 위한 노력: 네트워크 시각화와 ‘배치’ 개념의 적용

        고일홍 한국상고사학회 2023 한국상고사학보 Vol.120 No.120

        Research on burials in archaeology has mainly involved the identification of tomb type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material. Although such an arrangement of the data is necessary prior to analysis, the method of ‘grouping based on similarities or differences’, which has been commonly used to organize archaeological data, is not without its problems. This is because the existing method of classification cannot handle ‘outlier’ tombs that deviate from the general trend; it is also difficult to highlight the differences that exist between tombs grouped together based on similarity, or, conversely,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ombs divided into different groups. In this paper, ‘network visualization’ was presented a san alternative method of organizing data to compensate for such problems. First of all, a theoretical review of ‘categorization’ and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suggest how ‘network visualization’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method of categorization. This possibility was demonstrated using the case study of the burials of the Sangwoon-ri site, in Wanju. In addition,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Assemblage was introduced, as a means of supporting a break away from essentialism in categorization. As a result, a new perspective on archaeological style, form, and type was proposed and it was argued, using the example of the Nangnang (Lelang) tombs, that the ‘sub-types’ of the tombs could be viewed as ‘events’ that appear in the ‘creation process of types’, rather than as fixed entities. Finally, visualization methods of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were also examined to confirm whether the methodological and epistemological possibilities of network visualization presented in this paper are unique to it. By presenting the archaeological usefulness of the concept of network visualization and Assemblage, the paper aims to stimulate further critical thought on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methods of categorization that can consid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ogether, or indeed the fluidity of styles, forms, and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