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정치관심도, 정치 효능감 및 매체 이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전소연(So Yeun Jun),고일선(Li Sun Ko),배가령(Ka Ryeong Bae) 한국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정치참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로써 병원 간호사의 정치참여 정도, 정치 관심도, 정치효능감 및 매체 이용현황과 정치참여에 대한 정치 관심도, 정치효능감 및 매체 이용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본 연구대상자인 간호사의 정치참여도는 50점 만점에 23.44점(평균평점 5점 만점에 2.34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위스콘신의 4개 의료시설과 4개 교육기관의 간호사의 정치참여[12] 정도(평균평점 2.36점)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 Shin[18]의 연구에서 대학생의 정치참여 정도(평균평점 1.98점)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Shin[18]의 대상자는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는 대학 1학년이 50% 이상을 차지하여 정치 참여가 낮게 나타난 반면에 본 연구대상자는 21세 이상의 투표권이 있는 간호사로서 70.3%가 다가올 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선의 투표에 참여할 의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정치참여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Kim의 연구[23]에서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정치참여 정도(평균평점 2.76점)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복지정책은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더라도 실질적인 사회적 요구로 표출되지 않으면 정책 쟁점화가 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사회복지사의 정치참여를 높이려고 노력한다고 지적한 것[23]처럼 간호사보다 정치에 민감하여 정치참여 정도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상자들의 정치참여 정도는 학력이 석사이거나 박사인 대상자가 3년제 졸업인 대상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학력이 대학원인 대상자가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인 대상자보다 정치참여 정도가 높게 나타난 Kim의 연구[23]결과와 유사하였다. 반면, 사회복 지사의 최종학력에 따라 정치참여 정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Hwang의 연구[24]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본 연구대상자 중 15년 이상 경력의 간호사가 5년 미만 경력의 간호사보다, 수간호사가 평간호사보다 정치참여 정도가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Vandenhouten 등의 연구[8]에서 간호사 경력이 15년 이상인 경우가 15년 미만인 경우보다 정치참여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는 15년 이상 경력 간호사의 연령이 40세 정도로, 중간 관리자인 리더로써 정치적 안목과 관심이 생기는 시기로 보건의료 정책에 대한 관심이 다른 간호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또한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정치참여 영향요인 연구[14]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정치 참여수준이 증가하고 중년층인 40대와 50대의 사회복지사 정치참여가 최고에 이르는 것과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시민자발성 모델에서 강조하고 있는 정치참여를 결정하는 심리적 요인인 정치관심도와 정치효능감 중 정치관심도의 경우 본 연구대상자의 정치관심도는 15점 만점에 8.32점(평균평점 5점 만점에 2.77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단체에 가입한 미국 중서부 간호사의 정치참여도(평균평점 3.71점)[10]보다 낮았고, 우리나라 여성의 정치관심도(평균평점3.61점)[25]보다도 낮게 나타났으나, 우리나라 대학생의 정치관심도(평균평점 2.14점)[18]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미국 중서부간호사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대상자도 대한간호협회 회원으로 간호단체에 가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관심도가 낮은 이유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정치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대상자의 정치효능감은 55점 만점에 33.79점(평균평점 5점 만점에 3.07점)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정치효능감(평균평점 3.57점)[23, 26]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사가 수행하는 업무가 정책 결정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아 민감한 복지정책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치효능감이 높다고 지적한 것처럼[23] 사회복지사가 병원간호사보다 정책에 관심이 많아 정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므로, 간호사의 정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보건정책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반면에 Cramer[10]가 제시한 미국 중서부 간호사의 정치효능감(평균평점 2.99점)과 Vandenhouten등의연구[8]에서 제시된 미국 간호사의 정치효능감(평균평점 2.44점)보다는 본 연구대상자의 정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정부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관적으로 믿는 신념인 정치효능감이 우리나라 간호사가 미국의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우리나라 대선과 총선을 앞두고 있는 시기에 본조사를 실시한 점과 최근 간호계의 쟁점화된 이슈 때문에 우리나라 간호사의 보건의료정책결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본다. 따라서 간호사가 정치에 영향 을 줄 수 있다는 신념인 정치효능감을 높이도록 보건의료정책 결정에 대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정치활동을 위한 노력과 활동을 적극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본 연구대상자인 병원간호사의 외재적 효능감(25점 만점에 18.56점으로 평균 평점 3.71점)이 내재적 효능감(30점 만점에 15.22점으로 평균 평점 2.5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도구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치효능감을 측정한 연구결과[18]에서 외재적 효능감(평균 평점 3.58점)이 내재적 효능감(평균 평점2.48점)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병원간호사들이 정치체제에 대해 반응하는 외재적 정치효능감은 높지만 자신이 정치에 효과성을 낸다고 생각하는 내재적 정치효능감은 낮기 때문에 간호사 스스로 정치에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보건의료정책 변화에 대응, 전문직 의료인으로서 정치 참여, 정치적 리더쉽 고양 등에 대해 개개인의 지속적인 관심과 의견정립, 프로그램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본 연구의 대상자인 병원간호사가 정치 및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 매체 이용은 TV 뉴스가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 인터넷, SNS, 인쇄신문, 팟캐스트 순으로 이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치참여의 수준을 조사한 연구[9]에서 간호사의 90.4%가 TV나 신문, 라디오로 매일 정치 관련 뉴스를 듣거나 보며, 간호사의 88.1%가 친구나, 동료, 가족들과 현재의 정치 관련 뉴스나 사건에 대해서 토론을 하는 정치적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Shin[18]의 연구에서 대학생이 정치 및 사회적 이슈 관련해 매체를 이용할때 인터넷 이용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TV뉴스, SNS, 인쇄신문, 팟캐스트 순으로 나타나 본 연구대상자들은 대학생들과는달리 TV를 인터넷보다 우선적으로 이용하였지만 정치 및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 매체 이용 자원은 동일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매체 신뢰도가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7]에서 대학생들은 TV나 신문보다는 인터넷과 케이블TV을 가장 많이 신뢰하고, TV전문성과 인터넷 전문성만이 정치효능감과 투표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 결과 와도 유사하였다. 또한 여성의 정치의식에 관한 연구[25]에서 대다수 여성들이 TV 뉴스와 신문을 통해 정치 관련 정보를 접하였다는 결과와 SNS이용이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20]의 연구에서 SNS이용이 내재적 정치효능감과 오프라인 정치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도 유사하였다. 따라서 간호사의 정치 관련 지식을 높이고 정보 수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매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TV 뉴스이외에도 인터넷이나 SNS 등의 매체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본 연구의 대상자인 병원간호사의 정치관심도가 높을수록 정치참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Kim의 연구 [23]에서 사회복지사의 정치적 흥미가 높을수록 정치참여도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젊은 세대의 정치참여 교육 활성화에 대한 연구[14]에서도 정치관심도와 투표와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치에 관심을 많이 가진 사람일수록 투표참여율이 높고 정치적 사건이나 선거에 관심이있는 사람일수록 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