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ALT 기반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

        고유정(Youjung Ko),김윤중(Yoonjoo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3

        음성 브라우저가 등장함에 따라, 음성 대화 어플리케이션이 웹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음성 대화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웹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음성 웹 페이지의 대화 스크립트는 SALT(Speech Application Language Tags) 언어 등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기존 웹 페이지들은 음성 대화를 고려하지 않고 시각용(visual)용으로 제작되었지만, 이들 웹 페이지에도 음성 대화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요소들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각용으로 제작된 HTML 웹 페이지로부터 대화처리가 가능한 요소들을 추출하고 해당대화를 SALT로 생성해내는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음성 웹 페이지의 자동 생성기는 어휘 분석기와 구문 분석기로 구성된 번역기로, HTML로 기술된 웹 페이지를 HTML+SALT로 기술된 음성 웹 페이지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 웹 페이지는 기존의 마우스, 키보드를 이용한 처리도 가능하고 음성 대화 처리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As a voice browser is introduced, voice dialog application becomes available on the Web environment. The voice dialog application consists of voice Web pages that need to translate the dialog scripts into SALT(Speech Application Language Tags). The current Web pages have been designed for visual. They, however, are potentially capable of using voice dialog. This paper, therefore, proposes an automated voice Web generation method that finds the elements for voice dialog from Web pages based HTML and converts them into SALT. Th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of a voice Web page consists of a lexical analyzer and a syntactic analyzer that converts a Web page which is described in HTML to voice Web page which is described in HTML+SALT. The converted voice Web page is designed to be able to handle not only the current mouse and keyboard input but also voice dialog.

      • KCI등재

        최대 빈도모델 탐색을 이용한 동물소리 인식용 소리모델생성

        고유정(Youjung Ko),김윤중(Yoonjoong Kim)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7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

        본 논문에서는 동물소리 인식시스템을 위하여 최대 빈도모델 탐색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이를 이용한 소리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소리모델 생성 방법은 동물종의 소리 데이터로부터 학습과정, 비터비 탐색과정 및 최대 빈도모델 탐색과정을 반복하면서 HMM(Hidden Makcov Model)모델의 구조(상태의 수와 GMM의 수)를 탐색하여 최적의 인식률을 갖는 모델집합이 생성하는 방법이다. 최대 빈도모델 탐색 알고리즘은 입력 소리 데이터를 비터비(Viterbi) 알고리즘으로 탐색하여 모델리스트를 생성하고 이 리스트 중에서 최대 빈도수의 모델을 탐색하여 최종 인식결과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알고리즘에서 소리특징으로 MFCC(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모델형식으로 HMM을 이용하고 C# 프로그래밍언어로 구현 하였다.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27종의 동물소리를 선정하고 실험을 하였으며 27개의 HMM 모델집합이 97.29 퍼센트의 인식률로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I proposed a sound model generation and a most frequent model search algorithm for recognizing animal vocalization. The sound model generation algorithm generates a optimal set of models through repeating processes such as the training process, the Viterbi Search process, and the most frequent model search process while adjusting HMM(Hidden Markov Model) structure to improve global recognition rate. The most frequent model search algorithm searches the list of models produced by Viterbi Search Algorithm for the most frequent model and makes it be the final decision of recognition process. It is implemented using MFCC(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for the sound feature, HMM for the model, and C# programming language. To evaluate the algorithm, a set of animal sounds for 27 species were prepared and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sound model generation algorithm generates 27 HMM models with 97.29 percent of recognition rate.

      • KCI등재후보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아트코딩 단원 설계 및 적용

        고유정(Ko, YouJung)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1 지식과 교양 Vol.-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을 전공하는 학습자들에게 소프트웨어 교육의 심층적 이해와 전이를 높이기 위해 백워드 기반의 아트코딩 수업을 설계하여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트코딩 교과 중 도형디자인 단원을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하여 이해중심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첫째, 아트코딩 교육과정의 운영지침에 맞는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을 구성하고 도형디자인 단원의 영속적 이해, 본질적인 질문, 핵심 지식과 핵심 기능을 추출하였다. 둘째, GRASPS 기법을 적용한 수행과제와 분석적 루브릭을 개발하여 평가에 필요한 성취 기준을 제시하였다. 셋째, WHERETO 요소의 29개의 활동을 10차시로 구성하여 학습 경험과 수업을 계획하였다. 마지막으로 백워드 기반의 아트코딩 단원 설계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과제를 제시하고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검증 결과,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도형디자인 단원 수업은 학습자의 창의융합력, 컴퓨팅 사고력, 미적 감수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아트코딩 수업을 보완 및 발전시킨다면 이해 중심의 수업 설계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designing an art coding class based on a backward model in order to enhance the indepth understanding and transfer of software education to learners majoring in art. In this study, an understanding of the design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of the figure design unit in the art coding curriculum. First, the structure of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guidelines of the art coding curriculum, and the enduring understanding of the figure design unit, essential questions, and core knowledge and core functions were extracted. Second, the achievement standards necessary for evaluation were presented by developing the performance task and analytical rubric to which the GRASPS technique was applied.Third, the learning experience and class were planned by organizing the 29 activities of the WHERETO element into 10 sessions. Finall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backwardbased art coding unit design, the task was presented and the effect on the achievement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igure design unit class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 s creative fusion ability, computational thinking, and aesthetic sensitivity. Based on this study, if the art coding class using the backward design model is supplemented and developed, it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understanding by design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