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분석 - 비원판형과 원판형의 비교 -

        조성도,고상훈,정광환,차재룡,이채칠,염윤석,서동교,Cho, Sung-Do,Go, Sang-Hun,Jung, Kwang-Hwan,Cha, Jae-Ryong,Lee, Chae-Chil,Youm, Yoon-Seok,Seo, Dong-Kyo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2

        Purpose: To know abou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auses, types, associated injuries and treatment of the lateral meniscus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r 129 lateral meniscus tears which were divided into 2 groups, Non-discoid and Discoid. Analysis included age and sex distribution, causes of injury, types and location of tear, associated injuries, and methods of treatment. Results: Both Non-discoid and Discoid were prevalent in man and Discoid group was equally distributed through 2nd to 5th decades and Non-discoid group was more prevalent in 4th to 5th decades. Sports injury was the most common cause in both groups and the Nondiscoid group tended to sustain minor injuries compared to Discoid group. Complex tear and body was most common type and site of tear in both groups. Associated injuries were common in Non-discoid group and isolated injuries were common in Discoid group. Partial meniscectomy was commonly done in Non-discoid group and subtotal meniscectomy in Discoid group based on the types of tear. Conclusion: Non-discoid and Discoid lateral meniscus injuries are similar in types and sites of injuries but different in causes of injury, associated injuries and methods of treatment. Therefore,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would be necess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목적: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원인, 형태, 동반 손상의 여부 및 치료 방법 등을 분석하여 임상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으로 진단되어 수술적 치료를 받은 129례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원판형과 비원판형으로 나누어 각각에 대한 연령 및 성별 분포, 손상 원인, 파열 형태 및 부위, 동반 손상 여부와 치료 방법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은 비원판형과 원판형 모두 남자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원판형은 10-40대에 걸쳐 비교적 균등하게, 비원판형은 30-40대에 많이 발생하였다. 손상 원인은 두군 모두에서 운동 손상이 가장 많았으며 비원판형에서는 상대적으로 경미한 외상이 많았다. 파열 형태는 두 군 모두 복합 파열이 많았으며, 손상 부위는 두 군 모두 중위부가 흔하였다. 비원판형은 동반 손상이 많았으며 원판형인 경우 단독손상이 많았다. 파열 양상으로 인해 비원판형은 부분 절제술을 원판형은 아전절제술을 많이 시행하였다. 결론: 외측 반월상 연골의 손상은 비원판형과 원판형으로 나누어 볼 때 파열 형태와 손상 부위에서는 비슷하나 손상 원인과 동반 손상의 여부, 수술 방법에는 차이가 있어 그에 따른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50세 이상 환자에서의 반월상 연골 절제술 - 최소 3년 이상 추시 결과 -

        조성도,염윤석,고상훈,정광환,차재룡,이채칠,정지영,서동교,Cho, Sung-Do,Youm, Yoon-Seok,Go, Sang-Hun,Jung, Kwang-Hwan,Cha, Jae-Ryong,Lee, Chae-Chil,Jeong, Ji-Young,Seo, Dong-Kyo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2

        목적: 50세 이상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 최소 3년 이상 추시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2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반월상 연골 절제술을 시행 받았던 50세 이상 환자 36명, 36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6.4세, 평균 추시 기간은 5년 3개월이었다. 술전 Kellgren and Lawrence 분류 상 Grade I 16예, II 12예, III 6예, IV 2예, Outerbridge 분류상 Grade I 16예, II 10예, III 7예, IV 3예이었다. 술후 Lysholm 점수, 환자의 주관적인 만족도, 방사선학적 변화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Lysholm 점수는 24예(66.7%)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26예(72.2%)의 환자들이 술후 결과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퇴 경골간 각이 술전 평균 외반 3.9도에서 술후 평균 외반 2.6도로 변화하였으며, 술후에 관절염이 진행한 경우가 22예(61.1%)로 나타났다. 결론: 50세 이상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 최소 3년 이상 추시시 72.2%의 환자에서 만족할만한 임상적인 호전을 보였으나 방사선적으로 술전 관절염 변화나 관절경적 관절 연골 손상이 심한 경우 임상적 결과가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al results of arthroscopic meniscectomy in patients aged over 50 with minimum 3-year follow-up. Materials and Methods: Of the patients who had undergone arthroscopic meniscectomies between Dec. 1997 and Dec. 2003, 36 patients(36 knees) were available for retrospective evaluation.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56.4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3 months. According to the Kellgren-Lawrence classification, grade I change were noted in 16 patients, II in 12, III in 6 and IV in 2. According to Outerbridge classification, grade I articular lesions were noted in 16 patients, II in 10, III in 7 and IV in 3. Postoperative Lysholm score, patient s subjective satisfaction and radiographic change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 Twenty-four patients(66.7%) were good or excellent for the Lysholm score and 26 patients(72.2%) were satisfied at final follow-up. Tibiofemoral angle was changes from mean valgus 3.9 degrees to mean valgus 2.6 degrees and 22 patients(61.1%) showed the progression of osteoarthritic changes. Conclusion: The satisfactory results could be obtained in 72.2% of patients aged over 50 with a minimal follow-up of 3 years after arthroscopic meniscectomy. The results tended to be worse in patients with moderate or severe tibiofemoral osteoarthritic changes or with articular cartilage lesions.

      • KCI등재

        NexGen<SUP>®</SUP> 슬관절 전치환술 후 3-8년 추시 결과

        정광환(Kwang-Hwan Jung),조성도(Sung-Do Cho),고상훈(Sang-Hun Go),차재룡(Jae-Ryong Cha),이채칠(Chae-Chil Lee),염윤석(Yoon-Seok Youm),박기봉(Ki-Bo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6

        목적: NexGen® 슬관절 전치환술 후 최소 3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환자들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본원에서 동일 술자에 의해 NexGen®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고 최소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75명 96예(후방 십자인대 보존형 34예, 치환형 62예)를 대상으로 수술전후 슬관절 운동 범위, 슬관절 점수, 슬관절 기능 점수, 대퇴 경골간 내외반 변형 및 술 후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슬관절 운동 범위는 술 전 평균 굴곡구축 9.3°, 후속굴곡 116.4°에서 술 후 평균 굴곡구축 2.1°, 후속굴곡 126.3° (운동범위: 124.2°)로 향상되었고, 후방 십자인대 보존형에서 평균 112,7°로서 123.1°, 치환형에서 105.3°에서 124.9°로 유의성 있게 호전되었으나 양군간의 차이는 없었다(p>0.05). 슬관절 학회의 슬관절 점수와 기능점수는 각각 술 전 평균 54점, 41점에서 술 후 94점, 87점으로 호전되었다(p>0.05). 대퇴 경골간 내외반 변형은 평균 술 전 내반 5.7°로 술 후 외반 5.2°로 개선되었다. 합병증으로 감염 2예, 삽입물의 조기 해리가 진행되어 재치환술을 시행한 경우가 2예 있었다. 결론: NexGen®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3-8년 추시 결과 후방 십자인대 보존형과 치환형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향후 장기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3 to 8 year follow-up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NexGe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Ninety-six knees in 75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 up more than 3 years after NexGen® TKA [cruciate retaining (CR) type:34, posterior cruciate substituting (PS) type:62] from March 1997 to May 2002,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evaluations include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ROM), Knee Society Score (KSS), knee functional score, tibiofemoral angl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The ROM increased from preoperative mean flexion contracture of 9.3° and further flexion of 116.4° to a postoperative mean flexion contracture of 2.1 ° and further flexion of 126.3° (ROM: 124.2°). The ROM of CR type improved from 112.7° to 123.1°, and the PS type improved from 105.3° to 124.9° (p>0.05). The KSS and knee function score improved from 54 and 41 before surgery to 94 and 87 after surgery, respectively (p>0.05). The tibiofemoral angle changed from preoperative varus 5.7° to postoperative valgus 5.2°. The complications were two cases of infection and two cases of early loosening. Conclusion: The 3 to 8 year follow-up results after NexGen® TKA were satisfactory in both the CR and PS types. However, a longer term follow-up evaluation will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