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전용 기능성 안경렌즈 종류에 따른 대비시력 관한 연구

        고경호,전진,전인철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7 No.06

        목적: 국내에 유통 되고 있는 운전용 기능성 안경렌즈의 종류에 따른 대비시력을 측정하여 운전자의 시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초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신질환 및 안질환 등의 과거와 현재 병력이 없고, 안과 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양안 교정시력이 1.0인 평균연령 25±2세 30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렌즈는 제작방식이 다른 기능성 운전용 렌즈(A렌즈, B렌즈, C렌즈) 3종과 일반렌즈(N렌즈) 1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비시력검사는 완전교정 상태에서 시험테와 LED 차트(피치나 PLC-2200 Wide)의 대비시력표를 이용하여 logMAR 시력을 측정하였다. 대비 조건은 100, 50, 30, 15%에서 명소시와 암소시 환경에서 각각 실시하였고, 착용한 상태에서 대면설문을 통해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분석에는 SPSS Statistics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배치 분석(ONE WAY ANOVA)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는 신뢰도 95%를 기준으로 유의한수 준 0.05이하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기능성 운전용 렌즈 3종과 일반렌즈 1종 총 4종 착용 시 명소시 100, 50, 30%와 암소시 대비시력은 대비 100, 5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05), 명소시 대비 15%에서 측정한 대비시력은 각각 A렌즈 (logMAR 0.032), B렌즈(logMAR 0.028), C렌즈(logMAR 0.032), N렌즈(logMAR 0.095)로 B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대비시력이 logMAR 0.028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 암소시 대비 30%에서 측정한 결과 각각 A렌즈(logMAR 0.009), B렌즈(logMAR 0.007), C렌즈(logMAR 0.001), N렌즈(logMAR 0.04)와 15%에서 측정한 결과 각각 A렌즈(logMAR 0.027), B렌즈(logMAR 0.029), C렌즈 (logMAR 0.033), N렌즈(logMAR 0.091)로 A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대비시력이 logMAR 0.027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대면설문결과 선명도 부분에서는 명소시에서 B렌즈 > A렌즈 > C렌즈, 암소시에는 A렌즈 > B렌즈 > C렌즈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와 같이 렌즈의 제작방식에 따라 높은 대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낮은 대비에서는 대비시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가족기업과 가족농의 전략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그 유사성과 농가연구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고경호 한국유기농업학회 2015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3 No.4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owner firms from the business studies and searching for the usefulness of the concept for the farming research. From the 1980s,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family business which found out its different features in term of management characteristics. Exploring the concept of the family business, this tries to figure out any kind of similarities of the family farm concept which could be applied for the studies on identifying nove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mily farms in capitalised societies.

      • KCI등재

        농촌마을교육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역의 변화 분석 -충남 아산시 송악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고경호 한국유기농업학회 2019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7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gional variations in which appear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educational community in rural villages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innovation theory.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activities to form an educational community of the Songak villa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variations across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beyond an innovation of public education within the region based on interrelation between schools and villages. In other words, the activities including interactions and group learnings have been actively promoted among the various relevant stakeholders, thereby resulting in a variety of positive variations such as expanded regional welfare base, activated voluntary residents community gatherings based on the unity and cooperation, broadened socioeconomic opportunities, satisfaction on educational and cultural desires, and construction of healthy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reg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regional development policy suitable for each region needs to be established by embracing the fact that activities to form a village educational community entail significant implication and value as the comprehensive regional innovation activities across the entire domains in each region.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및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지속가능발전협의회 관련 조례분석 및 개선 방향: 충남 13개 시・군을 대상으로

        고경호 한국NGO학회 2022 NGO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을 추진하기 위하여 충남지역 기초자치단체에 제정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설치 및 운영’ 조례에 대하여 지속가능발전 및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제사회의 요청에 부응하는 보다 진전된 조례로 발전하기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거의 모든 사례 조례는 국제사회가 강조하는 지속가능발전 개념 및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을 충분하게 견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 조례가 2015년 UN 총회에서 채택한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합의사항과 ‘ 지속가능발전 기본법’ 등을 기반으로 한 전면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개선 방향으로 지속가능발전은 경제발전과 사회통합,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한 개념이라는 점, SDGs를 행정의 핵심 목표와 가치로 제시해야 한다는 점, 목적 달성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SDGs의 수립과 관련 지표 및 평가 등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 SDGs의 핵심 이행 기반으로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점, SDGs는 지자체 정책 및 계획으로의 반드시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 등을 기본조례의 제정 등을 통하여 반드시 반영하여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무인 자동 출입증 발급 키오스크 기술이전 사례분석 - 성공요인 탐색 -

        고경호,김지대 충북대학교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2023 기술경영 Vol.8 No.4

        본 연구는 한 R&D 컨설팅 업체가 외부 기술업체들과 협력하여 무인 자동 출입증 발급 키오스크를 개발하고, 이를 의뢰기업에 성공적으로 기술이전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차별화된 무인 자동 출입증 발급 키오스크 개발을 위한 특허전략은 무엇이며, 외부와의 기술협력 성공요인이 무엇이고, 기술이전 성공요인이 무엇인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본 사례연구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특허를 회피하고 경쟁기술과 차별화된 무인 자동 출입증 발급 키오스크 제품을 만들기 위한 특허전략은 다음과 같았다. 우선, 기술 키워드, 기술동향 및 동의어 중심으로 관련 있는 기존 특허들을 제품 아이디어 Seed별로 분류한다. 그런 다음, 아이디어 Seed별로 수동적으로 회피할 특허와 능동적으로 회피할 특허를 구분한다. 그리고, 기존 특허에서 다루지 않는 아이디어 Seed에서는 신규 특허를 출원하는 전략을 실행한다. 둘째, 무인 자동 출입증 발급 키오스크의 성공적 개발을 위한 외부와의 협력에서, 기술협력 주체 간의 상호소통과 상호신뢰, 그리고 주체들의 기술역량(예, 부품도면의 완성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성공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인 자동 출입증 발급 키오스크 기술이전의 성공요인으로 기술 우수성, 최고경영자의 의지, 그리고 기존 기술과의 호환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nalyzed a case of an R&D consulting firm that successfully developed an unmanned automatic entry card issuance kiosk through collaboration with external technology companies and successfully transferred the technology to a client company.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ent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a differentiated unmanned automatic entry card issuance kiosk, identify the success factors in technical collaboration with external entities, and examine the success factors in technology transfer.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case stud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atent strategy for creating an unmanned automatic entry card issuance kiosk that avoids existing patents and differentiates from competing technologies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Initially, relevant existing patents are classified by product idea seeds based on technology keywords, trends, and synonyms. Then, patents to be passively avoided and actively avoided are distinguished for each idea seed. Additionally, for idea seeds not covered by existing patents, a strategy of filing new patents must be executed. Secondly, in the external collaboration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unmanned automatic entry card issuance kiosk, it was found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and mutual trust between parties involved in technical collaboration, as well as the technical capabilities of the parties (e.g., completeness of component drawings), are crucial success factors. Finally, the success factors in the technology transfer of the unmanned automatic entry card issuance kiosk include technical excellence, the determination of top management, and compatibility with existing technologies.

      • KCI등재

        지역단위 지속가능발전 추진 실태 진단: 충남 13개 시・군을 대상으로

        고경호 한국NGO학회 2023 NGO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과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지역단위 지속가능발전 관련 제도화의 수준과 내용 등을 파악하여 추진 실태를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남도 13개 시・군을 대상으로 관련 조례와 이행 수단 및 기반 등 이행 체계, 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현황 등을 조사하고, 핵심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조사를 통하여 근접한 거리에서 현 실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상당수 조례에 실효성과 관련한 일부 핵심 조항이 명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모든 시・군에서 실제로 지속가능발전 이행 수단과 기반 등 이행 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않았다. 셋째, 지역 지속가능발전 추진을 사실상 주도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인력과 예산 등의 측면에서 볼 때 부여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환경이 매우 열악하다. 종합하면, 지속가능발전 관련 제도화의 취약성과 추진 환경이 매우 열악하다는 점이 확인된다. 핵심 원인으로 지방정부의 인식과 실천 의지의 부족이 제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지방정부의 변화와 혁신을 자극하기 위한 사회적 압력 방안으로 민간의 대항력 형성 및 강화를 제시하면서 이를 의제화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state of implementation of institutionalization related to reg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operative governance. To this end, we surveyed 13 cities and counties in Chungnam-do, examining relevant ordinances, implementation systems such as means and foundations, and the status of sustainable development council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key activist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t close range.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first, that many ordinances lack explicit provision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and certain key clauses. Second, none of the cities and counties have properly established implementation systems, including means and infrastructu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onferences, which are practically leading reg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face significant challenge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budget, and fulfilling their designated functions and roles. Taken together, we find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weak and the enabling environment is very poor. A lack of awareness and will to act by local governments is cited as a key cause. In this regard, the study suggests strengthening the private sector as a social pressure measure to stimulate local government change and innovation, and proposes to put it on the agenda.

      • KCI등재

        도시 근교 농촌마을 경제활동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의 사례

        고경호,김태연 한국유기농업학회 2019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7 No.3

        The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economic activities of two rural villages near the city. It is the general notion that rural villages near large cities los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ural villages and change the areas with urban characteristics due to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The survey also showed that Munho 4-ri and Jeongbae 1-ri in Gyeonggi-do have urban characteristics, such as population growth, agricultural activity reduction and non-agricultural activity increase, and community activity reduction. However, they also found that there were important differences in the future development patterns of the two villages. In other words, the reasons and purposes of migration of people moving to the two villages, the differences in the system of economic activity in the villages, and the differences in community cooperation are emerging. Therefore, the study shows that policies to develop rural villages near cities need to be implemented different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villages.

      • KCI등재
      • KCI등재

        현대미술에서 텍스트를 활용한 예술 표현방식에 관한 고찰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관계성을 보여주는 예술작품을 중심으로

        고경호,구영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When we interpret an art work which embodies the thought and intention of artist, it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symbolic meaning in text. Through the experience that the viewer has from looking at art is also similar to emotional connection to ambiguous image that the artwork evokes. Due to this reason, an artist as a creator and a viewer who appreciates art, encounter various experiences through semiotic meaning that visual image possesses, just like the artists do not directly show their intention on the surface of their work. It has to be interpreted. After twentieth century, artists started using text as a way of delivering their message of critical voice for topics such as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This became the reason to think about relation between visual image and text, also relation between verbal language and representation. Furthermore, the way that text was used as an art medium today, such as by combining and transforming visual image and text, is the evidence that it has expanded its utilization and meaning as a tool for artis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 of relation that the usage of image and text as a signifier(‘sound-image’) and image and text as a signified('concept'), in addition to the aspects of expression that text has in contemporary art. First of all,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earch of artistic representation in concept of image, text and representation using multimedia after twentieth century art movement. In chapter three, ways of utilizing text, firstly, make text as symbol and combining meaning with language, besides language combined with image makes interrelation of non deterministic interpretation. Secondly, text that has artistic symbolism and sign in language shows intention of the artist. Thirdly, by showing examples of installation works using text as a medium including word, sound, image and so on, we can witness various changes of its use in art.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explore a potential of text as a medium and see how text in artwork after twentieth century has varied. 20세기 이후 예술가들은 정치, 사회, 문화적 주제에 대한 여러 비판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언어를 작품에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시각적 이미지와 언어의 관계, (소리로 전달되는) 말과 재현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시각적 이미지와 텍스트의 조합과 변형 등을 통해 시도된 다양한 표현방식들은 오늘날 나타나는 거의 모든 시각예술 영역에 있어서 매체로서의 텍스트의의미와 활용성의 영역을 확장하게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형식(기표)과의미(기의)가 만드는 의미작용 관계에 주목하면서, 동시대 현대미술에서 텍스트 매체를 활용한 예술표현양상에 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먼저 이미지와 텍스트의 개념 및 다매체적 표현방식에 대하여 20세기 이후 예술표현 방식들을 바탕으로 연구한다. 3장에서는 동시대 현대미술에서 텍스트의 활용을 통한 표현방식으로 첫째, 기호적 구성방식이자 언어와의 의미결합을 구축하며, 이미지와 결합된 언어는 비결정적 해석이 가능한 상호연관성을 만들어낸다. 둘째, 개념 이입 방식의 표현을 통하여 언어에 내재된 예술적 상징성과 기호로 작가의 의도를 드러낸다. 셋째,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관계적 표현방식으로 글자, 소리, 이미지 등 여러 구성요소로 텍스트를 활용한 상호관계적특성을 보여주는 설치작품을 통해 매체의 다양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20세기 이후 현대미술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텍스트의 표현적 양상을 확인하고 텍스트가 가진 매체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