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조각에 나타난 네거티브 공간의 배경과 발현 양태

        고경호 ( Kyung Ho Ko ),김덕수 ( Duk Su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현대 조각에 나타난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매스에 네거티브 공간의 침투 현상이다. 이것의 배경을 건축과의 상호텍스트적 관계에서 찾는 본 연구는 건축에 나타나는 공간개념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조각에 나타나는 공간의 표현방식을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네거티브 공간의 함의를 갖는 조각가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복수사례조사로 진행되었다. 현대조각에서 발견되는 네거티브 공간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초 보치오니의 <공간속에서의 병의 전개>에서 보이는 것처럼 조각에 시간의 흐름과 움직임 개념을 도입하거나 가보의 용적측정법으로 기하학적 핵심부나 구조의 내면을 보여주는 시원적 네거티브 공간이 있다. 둘째, 하이저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원시적 에너지의 잠재력을 상기시키는 네거티브 공간이 있다. 셋째, 매스의 폐쇄성과 대비되는 공간을 체험함으로써 네거티브 공간을 육체적으로 느끼게 하고 정신적으로도 지각하게 만드는 나우만의 네거티브 공간이 있다. 넷째, 내부의 부재한 공간을 캐스팅하여 보여주는 화이트리드의 작품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네거티브한 무형의 부재공간인 경우다. 마지막으로, 물질과 비물질의 이중적 대비 관계를 통해 숭고의 경험을 조장하는 카푸어의 네거티브 공간이 있다. 이러한 네거티브 공간의 유형분석을 통해 현대조각은 단일 공간을 점유하는 매스로서가 아니라 장소성을 새롭게 해석한 조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는 현대조각에서 발견되는 상호텍스트성은 공간과 매스에 대한 기존의 이분법적인 개념과 구도를 해체하며 삼차원 공간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연다고 결론짓는다. One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ound in contemporary sculpture is an advent of negative space into mass. This study reasons that the negative space introduced in sculpture exemplifies the intertextuality relationships with architecture. Thus, spatial expression in sculpture is searched, while discussing the space concepts found in architectural literature.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here is a multiple case study, analyzing sculptors` works with an undertone of negative space. The types of negative space are catego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early introduction of negative space in the early twenty century, shown to ``Development of Bottle in Space`` by Boccioni who was introduced the flux of time and motion into sculpture, and Gabo`s works by stereometry showing geometrical core and inner structure of an object. Second, a negative space, called the potentials of primitive energy to memory, is found in Heizer`s works. Third, Nauman`s negative space i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perceived by experiencing open space contrasted with closed mass. Fourth, Whiteread creates a negative space as an intangible space, while showing form constructed by positive mass. Finally, a negative space encouraging sublime experience is found in Kapoor`s works, contrasting material with immaterial.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temporary sculpture introduces space characterized by architectural dispersion and consequently does not simply occupy a space but interpretate placeness. In addition, the study concludes that intertextuality, found in the contemporary sculpture, deconstructs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regarding mass and space, and opens a new horizon of three-dimensional art.

      • KCI등재
      • KCI등재

        농촌 마을만들기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위한 주요 쟁점 및 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 내 민간위탁형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설치 지역을 사례로

        고경호 ( Ko¸ Kyoung-ho ) 한국유기농업학회 2021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9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derive the key issues on vitalization of the governance of rural area development for 6 cities and counties in Chungcheongnam-do where privately entrusted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have been established and to present their improvement plans of policy.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shown the governance for the case regions is still being characterized with a very formal governance being dominated by the strong administrative initiative and expediency. What have been presented as the improvement plans of policy are as follows: First, core provisions of the ordinances must be strengthened to mandatory regulations, and some ways to check and supplement such as monitoring, policy forums by public-private partnership, etc. are required for the sake of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ordinances. Second, in relation to the bases of competence according to the roles of core governance player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job rotation system, align th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s, expand the functions of a policy committee based on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operate it effectively in the case of administration, and to strengthen a footing of a civilian community and the perspectives of political incubation in administration and provide support projects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the corporations in the case of the entrusted corporation, and to align the operating systems of the centers, review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with a full-time center head, continuously provide specialized education and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in the case of the support centers.

      • KCI등재
      • KCI등재

        현대미술에서의 쉘터(Shelter) 공간 연구

        고경호(Ko Kyung Ho),김정은(Kim Jeong E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조립식 건축 방식과 사물 인터넷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쉘터’가 가까운 미래에 각광받는 주거 방식이 될 것이라는 예측을 전제로 하고, 예술의 차원에서 ‘쉘터’ 개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를 위해 미국의 미술가 안드레아 지텔의 쉘터 작업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왜냐하면 지텔은 인간의 삶의 방식에 주된 관심을 두고 작업하는 작가이므로 그의 쉘터 작업은 인간의 거주 방식에 대한 고찰일 것이고, 지속적으로 제작된 쉘터 작업들은 일관된 맥락 하에서 어떤 의미를 공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지텔의 쉘터 작업을 고찰한 결과, 본 연구는 지텔의 쉘터 작업이 일종의 마이크로 유토피아의 구현이라고 보았다. 이때 유토피아의 구현은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그것은 첫째, 디자인 유형을 제시하는 유물론적 방식을 통한 자기 규제, 둘째, 가상공간을 설정하여 스스로를 고립시키기, 셋째, 제도의 틈을 발굴하여 임시 공간을 창출하기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작품 개념이 니꼴라 부리요의 관계미학과 관련성이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마이크로 유토피아의 구현은 관계미학 담론의 핵심 주제와 같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지텔과 부리요는 둘 다 예술 작품을 사회제도의 틈으로 여기는 공통된 관점을 가졌다. 이를 근거로 본고는 안드레아 지텔의 쉘터 작업에 있어서 관계미학적 특성을 구체화하려 했다. 그리고 쉘터라는 사물이 현대미술이라는 무대에서 하나의 작품으로서 등장했을 때 이를 통해 어떻게 공동체와 개개인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는지 그 사례를 밝히고자 했다.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shelter” in art, premised on the forecast that the “smart shelter”, a combination between the methodology of prefabricated architecture and the Internet of Things, will soon become the popular way of housing. The paper focuses on American artist Andrea Zittel’s shelter works. The logic behind doing so was that as Zittel’s main interest lies in the ways of human life, her shelter works would be a contemplation of human living methodologies, and the constantly produced shelter works would share a certain meaning under a consistent context. Having examined Zittel’s shelter works for such reason, this study concludes that her shelter works are a realization of a sort of micro-utopia. The artist achieves this realization of utopia in three ways: self-regulation through a materialistic means of presenting a design pattern, self-isolation by designating a virtual space, and construction of temporary space by hunting the cracks of the system. Researchers of this study see this conclusion in relation to Relational aesthetics, which is an argument that has been developed by French art critic Nicolas Bourriaud. The reason of the connection between Zittel’s shelter works and Relational aesthetics is that ‘realization of a micro-utopia’ is also the key point of the Relational aesthetics. Furthermore, Zittel and Bourriaud have the same point of view about art, which is that ‘an art work exists as an interstice (or a crack) of the social system.’ Therefore researchers of this study try to make definite the elements of Relational aesthetics in the Zittel’s shelter works, and make specific how people consider community and individuals when a shelter comes into the contemporary art as an art work.

      • KCI등재

        마을 만들기 관련 조례에 대한 지역혁신 및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의 적용: 충남지역 민간위탁형 기반 중간지원조직 설치·운영 지역의 관련 조례를 대상으로

        고경호 ( Ko Kyoung-ho ) 한국유기농업학회 202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31 No.1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whether the relevant ordinances of Chungcheongnam-do’s five local governments, operating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for contracted-out community building, comply with the regional innovation and cooperative governance-based perspective. The examin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bout the normative system: first, village building does not present that it is a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based collective activity of various related actors; second, the cooperative governance-based implementation system was not presented as a key term; third, “numerous relevant subjects’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cooperative promotion” are not presented as basic principles; fourth, the subjects are limited to residents and the administration, and only their responsibilities are presented. About the effectiveness system: first, the establishment of a master plan, a primary mean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charge department and collaboration system in the administration are presented as optional provisions; second, the nature of the relevant committees and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is not presented as “public-private cooperation-based system”; third, the area of the function and authority of the relevant committees is limited to review and consultation. Fourth, the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structure and system,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ecretariat, and the practical operation of the center is not presented. In sum, to make related ordinances become institutional grounds with stronger effectiveness, reconstructing them by strictly applying the perspectives of regional innovation and cooperative governance is necessary.

      • KCI등재

        트릭스터 개념을 통한 현대미술에서의 몸의 확장성 연구 -마크 퀸과 매튜 바니 작품 중심으로

        고경호 ( Ko Kyungho ),이주현 ( Lee Juhy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현대미술에서 몸은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오브제인 동시에 근원적인 장소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몸이 갖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 해체, 즉 경계적 존재로서의 역할이다. 원래 고대 신화에서 유래한 트릭스터는 경계에 존재하는 인간 유형을 의미하는 문학적 용어로 최근에는 문학 이외에 심리학, 정신분석학 등 인문학 전반에 걸쳐 논의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트릭스터의 경계적 존재로서의 특징에 주목하고, 이를 현대미술에서 몸을 통해 구현되는 사례에 대입하여 분석함으로써 경계에서 벗어난 몸이 어떠한 도식으로 재수용되고 그 의미를 확장하는가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우선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트릭스터 개념을 이루는 주요 요소(어원, 특징, 유형)를 레비-스트로스의 신화학과 판 헤넵의 사회학에서의 논의를 토대로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 주변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트릭스터의 유형 사례들을 통해 살펴본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현대미술에서 트릭스터 개념이 적용된 구체적 사례로 몸을 기반으로 신화적 요소들을 작품에 차용하는 공통점을 지닌 작가인 매튜 바니와 마크 퀸의 작업을 분석한다. 두 작가의 사례연구를 통해 현대미술의 가변적이고 다원적 성격을 트릭스터의 경계성(Liminality)개념을 통해 하나로 아우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트릭스터가 갖는 중개적 특성은 현대미술에서 몸이 이전의 위계나 경계의 한계를 벗어나 보다 확장된 인문학적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매개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In contemporary art, the body has been regarded as the closest object to humans and as a fundamental place. The most striking characteristic of the body is the dissolution of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at is the role of a boundary being. Originally derived from ancient mythology, the Trickster is a literary term that refers to the type of human existing at the boundary. Recently, it becomes a concept that is actively being discussed in the whole humanities such as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ickster as a boundary existence and analyzes it by substituting it into the actual case of the contemporary art realized through the body. This study also looks into what schema the body that deviated from the boundary is re-accepted and expands the meaning. In the first half of the text, the elements (etymology, characteristics, and types) that are the main concept of the Trickster are overviewed based on the discussions in Claude Levi Strauss' mythology and Van Heneb's sociology. Then we substitute those elements into various types of Trickster cases that exist around u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the second half,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 the works of Matthew Barney and Mark Quinn who have a common point of borrowing mythical elements into their works based on the body are compared and analyzed, which are concrete cases of the concept of a trickster applied i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two artis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ariable and pluralistic features that appear in contemporary art can be combined into one through the trickster’s liminality. This change of perspective o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intermediary role of the trickster will help the body to function as a medium that enables more extended humanistic thinking beyond the limits of previous hierarchies or boundaries.

      • KCI등재

        레이첼 화이트리드의 경계의 공간

        고경호(Ko Kyung ho),김재도(Kim Jae d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레이첼 화이트리드의 ‘빈 공간’을 캐스팅하는 작품 제작 방식의 역설적인 성격에서 출발하였다. 화이트리드를 분석할 수 있는 키워드를 ‘경계’로 보고, 그의 작품이 전복시키는 물질성, 시각성을 고찰한 뒤 종국에 다다르게 되는 공간성에 대한 특징적인 사유와 실천의 양상을 살펴본다. 화이트리드는 ‘빈 공간’을 콘크리트라는 단단한 재료로 물질화, 가시화함으로써 물리적 성격을 뒤집는다. 이러한 변화는 물질과 비물질, 가시와 비가시의 ‘경계’를 형성하고 이를 확장시켜 유령적 성격을 갖는 ‘경계의 공간’을 생산한다. 삶(현존)과 죽음(부재) 사이 어딘가에서 반복적으로 출몰하는 유령을 닮은 화이트리드 작품의 공간은 덩어리의 물리적 실재, 빈 공간의 구분이 역전되는 경계를 오간다. 캐스팅된 덩어리의 표면은 거푸집이 품고 있던 공기, 시간, 그것을 바라보는 관람자의 기억 등 눈에 보이지 않는 환경 전체를 포함하며 무한히 확장된다. 이는 공간을 수동적이 고 비활동적인 것으로 여겼던 기존의 사유를 극복하고 공간 그 자체로 능동적이고 구성적인 사유방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공간’에 대한 다양한 사유와 실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로 확장되고, 철학, 건축, 문화/예술, 공간 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해 볼 수 있는 ‘생성적 인터페이스로서의 공간’ 연구, ‘인터페이스로서의 공간’ 등의 연구로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aradoxical nature of the way of making a work that casts empty space of Rachel Whiteread. It consider the keyword that can analyze Whiteread as boundary , and examine the materialism and visuality that her work subverts, and then examine the characteristic thought and practice of the space that comes to the end. Whiteread reverses physical character by materializing and visualizing void space with solid material, concrete. These changes produce a boundary space with a ghostly character by forming and expanding the boundary of material and nonmaterial, visible and invisible. The space of Whiteread’s works resembling ghosts that appear repeatedly somewhere between life(existence) and death(absence), cross the boundary where the division between the physical reality of the mass and the empty space reverses. The surface of the cast lump extends infinitely, including all of the invisible environment, including the air and the time the mold was holding, the memory of the spectator viewing it. It overcomes the thought that space was regarded as passive and inactive, and it shows active and constructive way of thinking as space itself. Based on this research, I will study the space as a generating interface that can be expanded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architecture, culture / art, and space theory, extended to more concrete studies on various thought and practice of space , space as an interface , and so fo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