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유리화동결 전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이 융해 후 생쥐 포배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조덕현,고경래,정지혜,최종렬,주종길,이규섭,Jo, Deok-Hyeon,Ko, Gyoung-Rae,Jung, Ji-Hye,Choi, Jong-Ryeol,Joo, Jong-Kil,Lee, Kyu-Sup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4

        목 적: 본 연구는 유리화동결 전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 (부분투명대절개)이 유리화동결 후 생쥐 포배아의 생존율과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생쥐 2-세포기 배아를 획득하여 G1.1과 G2.2 배양액에서 포배아까지 배양하였다. 실험은 대조구군과 3개의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 없이 동결한 군 (-AS/-AH)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보조부화술만 시행한 군 (-AS/+AH), 인공수축만 시행한 군 (+AS/-AH),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을 동시에 처리한 군 (+AS/+AH)을 처리군으로 하였다. 모든 포배아는 G10과 G10E20 용액에서 각각 3분씩 평형을 실시하였고, G25E25 유리화용액에 노출직후 capped pulled-straw에 mouth 피펫으로 부하하여 유리화동결하였다. 융해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생존율과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결 과: 인공수축을 시행한 후 보조부화술을 시행한 군 (+AS/+AH)과 보조부화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 (+AS/-AH)에서의 생존율과 부화율은 각각 98%와 100%, 92%와 41%였으며, 인공수축을 시행하지 않고 보조부화술을 시행한 군(-AS/+AH)과 보조부화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 (-AS/-AH, 대조군)에서의 생존율과 부화율은 각각 54%와 96%, 58%와 34%를 나타내어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 생쥐 포배아의 생존율과 부화율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p<0.01). 또한 capped pulled-straw라고 명명한 스트로우를 이용한 유리화동결은 융해 후 회수율이 100%였으며, 동결과 융해과정에 매우 편리하여 배아의 유리화동결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인공수축과 보조부화술은 포배아의 유리화동결 후 생존율과 부화율을 유의하게 향상시켜 포배아의 동결보존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rtificial shrinkage and assisted hatching (PZD; patial zona dissetion) before vitrification on the development of vitrified mouse expanding blastocyst. Methods: Mouse 2-cell embryos were collected and cultured in G1.1 and G2.2 to expanding blastocyst. For artificial shrinkage (AS) the micro injection pipette was inserted into blastocoele cavity and blastocoele fluid was aspirated. For assisted hatching (AH) PZD method was used. Control group was -AS/-AH and treatment groups were -AS/+AH, +AS/-AH and +AS/+AH. After AS and AH mouse blastocysts were equillibrated in G10 and G10E20 for 3 mins, respectively, and vitrified in G25E25 after loading on capped pulled-straw. Vitrified mouse blastocysts were thawed and cultured for 24 hrs. The survival and hatching rate was compared among one control and three treatment groups. Results: The survival rates were 99%, 92% in +AS/+AH and +AS/-AH groups and 54%, 58% in -AS/-AH and -AS/+AH group,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S group than in -AS group (p<0.01). Hatching rates were 34%, 96% in -AS/-AH and -AS/+AH groups and 41%, 100% in +AS/-AH and +AS/+AH, respectively. The hatching rates was higher in +AH group than in -AH group (p<0.01). After thawing recovery rates were 100%. Loading on capped pulled-straw, that is effective and useful method on vitrifica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rtificial shrinkage of blastocoele cavity and assisted hatching (PZD) significantly improved the development of the vitrified mouse expanding blastocysts.

      • KCI등재
      • KCI등재

        다낭성난소증후군을 가진 불임 여성에서 신선주기와 동결-융해 배아이식 주기의 임신율과 착상률의 비교

        주종길 ( Jong Kil Joo ),조무성 ( Moo Sung Jo ),김승철 ( Seung Chul Kim ),최종열 ( Jong Ryeol Choi ),고경래 ( Gyoung Rae Ko ),이규섭 ( Kyu Sup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4

        목적: 본 연구는 다낭성난소증후군을 가진 불임여성에서 과배란유도 후에 신선주기와 동결-융해 배아이식 주기에서의 임신율과 착상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부산대학병원 불임클리닉을 방문한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과배란유도 후, 체외수정 또는 세포질 내 정자 주입술을 시행한 72주기 중 중등도 이상의 난소과자극증후군 4예를 제외한 68주기와 이 시기에 다낭성난소증후군을 가지면서 동결-융해 배아이식을 시행한 40주기의 두 군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통하여 착상률, 임상적 임신율 및 다태임신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각 군에서 신선주기에서 주기당 이식된 배아의 수는 4.7±0.9개로 동결-융해주기의 2.8±1.2보다 많았으며 이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P<0.001). 착상률은 8.3%와 11.5%였고, 임상적 임신율은 각각 27.9%와 25.0%, 다태임신율은 36.8%와 20.0%로 나타났으며 착상률, 임상적 임신율, 다태임신율에서 두 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신선주기에서 보다 많은 배아가 이식됨에도 불구하고 착상률, 임상적 임신율, 다태임신율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은 최근의 동결-융해 과정의 기술적 진보에 힘입은 바가 크며 또한 과배란유도 과정 중에 투여된 약제에 의한 자궁의 착상력 감소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다낭성난소증후군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자궁 착상력의 감소와 난소과 자극증후군이 예상되는 경우, 동결-융해 배아이식이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in fresh-embryo transfer (ET) and frozen-thawed ET cycles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 Methods: PCOS was diagnosed by the Rotterdam criteria. In 4 cases of 72 stimulation cycles, ET was not conducted due to severe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Sixty eight cycles of fresh-ET and 40 cycles of frozen-thawed ET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Age, gravidity, body mass index, infertility duration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implantation rate, clinical pregnancy rate and multiple pregnancy rate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by using chi-square test and student`s t-test. Results: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resh-ET group was 4.7 and frozen-thawed ET group was 2.8 (P<0.001). However, overall clinical outcomes with fresh-ET and frozen-thawed ET cycles were similar. Implantation rates were 8.3% vs 11.5%, clinical pregnancy rates were 27.9% vs 25.0% and multiple pregnancy rates were 36.8% vs 20.0%. Conclusion: Although more number of embryos were transferred in fresh-ET cycles, the clinical outcomes were similar between fresh-ET and frozen-thawed ET cycles. It may be due to decreased uterine receptivity in fresh-ET cycles. Frozen-thawed ET may be used as alternative plan for cases of severe OHSS and decreased uterine receptivity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