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삼 물 추출액의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

        강현정,임홍진,박민철,임규상,김남권,Kang Hyun-sung,Lim Hong-jin,Park Min-chul,Lim Kyu-sang,Kim Nam-kwen 大韓外官科學會 2004 大韓外官科學會誌 Vol.15 No.1

        Recently many efforts were focused to understanding the mechanical insights of melanogenesis to develop the agents for hyper-pigmentation and hypo-pigmentation. In the melanin biosynthetic pathway, tyrosinase is the rate limiting enzyme, and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MSH) or cAMP-elevating agents stimulate melanogenesis and enhance the melanin synthesis and the tyrosinase activity. The author has analyzed the effects of Radix Trichosanthis on the basal Melanogenic activities of Bl6/F10 mouse melanoma cells, and on the ${\alpha}$-MSH or forskolin-induced melanogenesis. Radix Trichosanthis alone markedly suppressed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Radix Trichosanthis also suppressed the increase of ${\alpha}$-MSH(10 nM) or forskolin(20 ${\mu}$M)-induced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The decrease in the tyrosinase activity was paralled by a decrease in the abundance of tyrosinase protein and tyrosinase promoter activity.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Radix Trichosanthis also inhibited the increase of forskolin(20 ${\mu}$M) induced the amount of tyrosinase protein and tyrosinase promoter activity. The results of DOPA staining revealed that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Radix Trichosanthis showed less intensity than B16 melanoma cells stimulated with ${\alpha}$-MSH or forskol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dix Trichosanthis inhibits melanogenesis and abrogates ${\alpha}$-MSH and cAMP-induced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 Invasine Ductal Carcinoma with Osteoclast-Like Giant Cell in a Young Woman

        강현정,최경운,곽희숙,설미영,김지연,Kang, Hyun-Jeong,Choi, Kyung-Un,Kwak, Hee-Suk,Sol, Mee-Young,Kim, Jee-Yeon The Korean Society for Cytopathology 2007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8 No.1

        Mammary carcinoma with osteoclast-like giant cells is an unusual neoplasm characterized by giant cells, mononuclear stromal cells, and hemorrhage accompanying a low grade carcinoma. We present the cytological findings in a case of invasive ductal carcinoma with osteoclast-like giant cells that was initially confused with a fibroadenoma, due to its well-demarcated and soft mass and the young age of the patient. A 28-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 4.5 cm, well demarcated, soft and nontender mass in the right breast.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showed a combination of low grade malignant epithelial cell clusters and osteoclast-like giant cells. The atypical epithelial cells were present in cohesive sheets and clusters. Osteoclast-like giant cells and bland-looking mononuclear cells were scattered. An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e presence of an invasive ductal carcinoma with osteoclast-like giant cells. We report here the cytological findings of this rare carcinoma in a very young woman. The minimal atypia of the epithelial cells and its soft consistency may lead to a false negative diagnosis in a young woman. The recognition that osteoclastlike giant cells are rarely present in a low grade carcinoma, but not in benign lesion, can assist the physician in making a correct diagnosis.

      • KCI등재

        A Study on Evaluation of Baby Boomer's Life Redesign Educational Program

        강현정,Kang, Hyun-Jung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8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생애설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충남 A지역에서 주2회 각 2시간씩 총 36시간의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 그 결과 첫째, 실험집단 베이비부머의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위해 사전-사후검사간의 Wilcoxon의 조합기호 순위검증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베이비부머는 노후준비의식에서 자원봉사준비 의식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통제 집단은 사전-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자료, 교육방법, 강사,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5점 만점에 3.5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life redesig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baby boomer (11 members of experimental group, 12 members of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two hours two times in a week in the area of Chungnam (Total 8weeks 16sessions). First, in the result of the Wilcoxon's pairs signed-ranks test between the pre-post tests for the analysis on the program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baby boomer, the baby boomer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mproved perception of preparing the volunteer work in the perception of preparing their old age, and there was no pre-po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In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perception of the post-retirement preparation, such as a physical preparation, emotional preparation, financial preparation, volunteer work preparation and leisure activities preparation increased in average. Second, the satisfaction for the program's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data, educational method, instructor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shown to be more than 3.5 points out of 5 points in full.

      • KCI등재

        금융기관의 지배구조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강현정(Hyun-Jung Kang),유순미(Soon-Mi Yu),김현진(Hyun-Jin Kim) 한국국제회계학회 2017 국제회계연구 Vol.0 No.71

        본 연구에서는 금융기관에 적용되는 소유규제의 부재로 타 금융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주주의 소유집중도가 높은 상호저축은행의 최대주주지분율과 최대주주의 법인 여부가 이익조정에 관련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저축은행의 2대주주의 지분율과 2대주주의 법인여부가 최대주주의지분율과 이익조정의 관련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2005년부터 2014년까지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주주의 지분율과 재량적대손충당금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재량적 대손충당금의 조정을 통해 이익을 하향조정 즉 유연화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금융기관의 소유집중도가 높을수록 대손충당금을 통한 이익유연화가 이루어진다는 Bouvatier et al.(2014) 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저축은행의 최대주주가 법인인 경우와 재량적대손충당금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개인주주에 비해 운영효율성이 높고, 정보 접근성이 높은 법인 주주들이 체계적인 이익관리를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저축은행의 2대주주의 지분율과 최대주주의 이익조정사이에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2대주주가 법인인 경우에는 재량적대손충당금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저축은행의 법인 2대주주는 최대주주의 사적 효익을 위한 이익조정을 일정부분 통제하는 모니터링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상호저축은행의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소유구조 개선에 대한 여러 방안들이 논의 되고 있는 현 시점에 저축은행의 소유구조와 이익조정 사이의 관계를 정립함으로써 향후 저축은행 지배구조 개선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largest shareholder’s equity holdings and shareholder types (corporate or individual) on earnings management of Mutual Savings Banks, which have more concentrated ownership structure due to the exclusion from ownership resections that are strictly applied for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Also, we analyze the second largest shareholder’s influence on the relation between the largest shareholder’s equity holdings and earnings management using the sample of mutual savings banks listed on Financial Service Commission from 2005 to 2014.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utual savings banks with more concentrated largest shareholder ownership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DALL(Discretionary portions of Allowance for Loan Losses). This means the bigger the largest shareholder’s equity holdings are, the more the managed earnings are. This result is consists with Bouvatier et al’s (2014) study that the largest shareholders with more concentrated ownership use DALL to smooth their earnings. Second, the corporate largest shareholders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DALL. This shows that the corporate shareholders manage their earnings using their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management efficiency. Third, the second largest shareholder holdings and the largest shareholders’earnings management is not correlated. Last, the corporate second largest shareholders ha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DALL. With this result, we estimate that the corporate second largest shareholders of mutual savings banks can eliminate the largest shareholders’earnings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defining information value of the ownership structure of Mutual Savings Banks when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governance structure is increasing and various measures for improving the owenrship structure are being discisse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improvement of savings banks ownership structure.

      • KCI등재

        살롱의 콘텐츠 및 공간 요소 변화 - 일상문화공간의 살롱 중심으로

        강현정 ( Kang Hyun Jung ),이진민 ( Rhie Jin Min ),장미정 ( Jang Mi Je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살롱에 관한 연구로 살롱의 시대적 변천에 관한 연구,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 변화의 후속연구로서 살롱의 콘텐츠 및 공간 요소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이에 본고는 살롱의 공간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일상문화 공간, 예술문화공간, 소비문화공간으로서의 살롱으로 분류한다. 현재의 살롱은 시대적 변화에 따른 ‘살롱의 유의어 해석 공간’으로 발전되었기 때문에 살롱문화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중 초기 살롱 문화가 시작된 장소인 일상문화공간의 살롱을 1차 대상으로 실내양식의 변화에 따른 과거 살롱문화공간의 콘텐츠 에 대한 해석과 살롱문화공간의 공간요소 변화를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는 살롱문화가 과거 일상문화공간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문화현상과 시대적 유행 양식이 결합된 콘텐츠를 기초로 발전된 커뮤니티 모임이기 때문이다. 연구의 범위는 살롱이 처음 나타난 르네상스시기부터 현시대까지의 시대적 실내공간유행 양식을 바탕으로 주택 안에서 나타난 살롱을 대상으로 한다. 이에 따른 연구의 방법은 첫째 살롱 공간의 해석을 위해 살롱문화 콘텐츠를 해석하고 둘째, 살롱의 과거 문화적 공간들의 문헌 자료와 그림, 사진을 토대로 살롱 공간의 콘텐츠 유형을 분석하여 셋째, 살롱 공간의 특징적 디자인 콘텐츠와 공간의 요소들이 시대적 변천에 어떻게 발전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위의 연구로 일상문화공간의 살롱 콘텐츠 특성은 특정계층의 사문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생활과 시대적 실내양식과 장식 경향의 특성을 조합으로 실내에서 보여 지는 풍경과 극적효과를 위한 빛의 사용이 살롱의 특정 공간 요소에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살롱’이라는 특성을 재조명하고 앞으로의 살롱문화공간 콘텐츠의 전개방향을 모색해 봄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salons as a research on their period changes, follow-up research on changes to their cultural functions and spaces, and analytical research on their content and spatial elements. The study categorized salons into daily culture, art and culture, and consumption culture spaces to analyze the spatial elements of salons.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terpretations of content in the old salon culture spaces and changes to their spatial elements according to the changing interior styles with the primary objects of salons in the daily culture spaces where the early salon culture began. The salon culture represents a community gathering that began in the old daily culture spaces and developed based on the content combining various cultural phenomena with the styles in vogue in each period. Current salons have developed into significant interpretative spaces based on their combinations with various cultures according to periodic changes, which raises a need for research on the content of salon culture spaces. The research scope was restricted to salons in houses based on the periodic styles of interior space in vogue from the Renaissance when the first salon emerged to the present time. The following methodologies were adopted in the study: first, it interpreted the content of the salon culture to interpret the salon spaces; secondly, it analyzed the content types of salon spaces based on the literature materials, paintings, and photographs of salons' cultural spaces in the past; and finally, it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 design content and spatial elements of salon spaces developed according to changes of the tim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ntent of salons as daily culture spaces was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between the life around the private culture of certain clas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riod interior styles and decoration trends. Lighting equipments of light were applied to certain spatial elements of salons for landscapes and dramatic effects indo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inforced the characteristics of "~salons" and proposed directionality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 in salon cultural space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 KCI등재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 변화

        강현정 ( Kang Hyun Jung ),이진민 ( Rhie Jin Min ),장미정 ( Jang Mi Je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적 구성이 역사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변화되고, 해석되었는지에 관한 1차적 탐색연구이다. 살롱은 산업혁명 이후 개인의 경제적, 사회적 경험수준과 지적 정보 공유의 공간에 대한 사용이 높아지면서 현재까지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실제로 구글 트렌드에서 2004년부터 현재까지의 살롱검색에 대한 조사결과 ‘salon’ 용어의 관심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영항으로 나타난 현시대 살롱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피로증과 공통의 관심사에 대한 공유와 소통 증가로 실제 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이용 가치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살롱 공간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의 범위는 살롱이 처음 나타난 르네상스 시기부터 현 시대까지의 살롱공간과 문화적 기능을 문화 해석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살롱 공간의 해석을 위해 문화적 기능에 대한 이해와 살롱 공간의 발전 범주를 분류한다. 둘째, 살롱의 과거 문화적 공간들의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표현되는 문화적 기능과 그에 따른 유형을 분석하여 셋째, 살롱 문화적 기능에 따른 공간구성의 시대적 변화를 파악한다. 연구 결과로 살롱 초기 문화적 기능에 따른 시대적 변천은 일상문화공간의 살롱, 소비문화공간의 살롱, 예술문화공간의 살롱으로 전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살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 명확한 사적 공간에서 18세기 이후 목적을 가진 외부 공간으로 분리되고 현재는 공공영역의 복합 문화 콘텐츠에 따라 변화되는 유의어 개념을 가진 공간의 형태로 변화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 살롱의 문화적 기능과 공간 변화, 살롱문화공간의 유형과 콘텐츠에 대한 3단계의 연구 중 2단계 연구로 앞으로 연구하게 될 살롱문화공간의 콘텐츠의 분석을 위한 연구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Being a follow-up research of salons’ temporal changes, this research aims to conduct the first exploratory study on how salons’ cultural functions and spatial organization have changed and interpreted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each person’s level of economic and social experience has improved and use of space for intellectual information sharing has increased, resulting in different analyses on salons. In fact, the investigation by Google Trends on search of salons from 2004 to today shows that interest in the term of ‘salons’ has gradually increased. Therefore, the contemporary studies on salons have emerged due to such effect; salon space needs to be understood and analyzed, since the value of use in actual and virtual space is growing due to the increase in fatigue in the digital era and sharing and communications of common interests. As for the research scope, cultural hermeneutics was used fo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pace and cultural functions of salons from the Renaissance age when they first appeared to the present age.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the cultural functions and categorizing the development scope of salons to interpret salon space. Second, analyzing the cultural functions presented based on literature data on the previous cultural space of salons and analyzing the resultant types. Third, identifying the temporal changes of space organization according to salons’ cultural function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temporal changes according to the cultural functions in the early stage developed in salons of private cultural space, salons of consumption cultural space, and salons of artistic cultural space. As time passes, salons that used to be definite private space in the early stage were separated as external space with purposes after the 18th century, and now they have changed to space with a synonymous concept that varies complex cultural contents of public areas. As such, being stage 2 research among the 3 stages of research on the temporal changes of salons, the cultural functions and spatial changes of salons, and the types and content of salon cultural space,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of suggesting the direction for studies for analyzing content of salon cultural space.

      • 이동통신채널에서의 반송파간섭다중접속 시스템의 성능분석

        강현정(Kang Hyun-jeong),이정재(Lee Jeong-jae) 동의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2 정보통신연구지 Vol.3-1 No.-

        본 논문에서는 다중반송파간섭을 이용한 새로운 OFDM 방식인 CI/OFDM 통신시스템을 소개한다. CI/OFDM 은 주파수영역에서 균일하게 나누어지는 N개의 반송파를 이용하지만 각각의 정보비트는 모든 반송파로 동시에 변조되는 시스템이다. 대표적인 주파수 선택성페이딩 채널환경에서 Cl/OFDM 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 시스템의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 는 통상적인 OFDM 에 비하여 대역폭의 증가없이 성능개선효과가 뛰어남을 보인다. In this papaer a new OFDM scheme, Cl/OFDM using the interference of multiple carriers, is introduced. CI/OFDM system uses the N orthogonal carriers equally spaced in frequency, but each information bit is simultaneously modulated onto all carriers. The performance of CI/OFDM systems in a typical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environment, are analyzed. Moreover it is shown that the frequency diversity benefits of this system result in significant performance enhancements relative to traditional OFDM system without causing bandwidth expansion.

      • KCI등재

        ESG정보와 공매도의 관련성에 대한 실증 연구

        강현정(Hyunjung Kang),김보영(Boyoung Kim),유순미(Soonmi Yu)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In Korean capital market, the short selling has increased continuously and the impact of short selling also has increased. The literature on short selling involves conflict results that it can increase market efficiency by reflecting negative information of the company into the market, while reducing efficiency by inducing excessive stock price declin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short sellers, as informed investors, consider corporate’s ESG score in making investment decision. We examine whether the companies with high ESG score have lower weight on short selling. Meanwhile, to consider the impact of chaebol firms on capital market, we analyze the chaebol and non-chaebol firms separately. Empirical result are as follows. For the total sample, the ESG score and Short Selling shows positive relations but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chaebol firm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hile the non-chaebol firm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s far as we know, this study is the first empirical research investigating the impact of ESG score on short selling in Korea. Especially, we analyzed the impact for chaebol and non-chaebol seperately, widen the scope of academic research. 최근 자본시장에서 공매도거래가 증가하면서 공매도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공매도에 대한 연구들은 기업의 부정적 정보를 시장에 반영시켜 시장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면 과도한 주가 하락을 유발시켜 효율성을 감소시킨다는 상반된 결과가 혼재되어 있으며 최근에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매도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지표 정보들을 시장에 반영시켜 정보비대칭을 완화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공매도자들은 지속가능경영지표의 측정치인 ESG점수가 높은 기업의 경우 회계투명성이 높고 정보비대칭이 완화될 것으로 보아 공매도가 적게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본연구에서는 우리 자본시장의 특징인 재벌기업의 영향을 고려하여 재벌·비재벌기업을 별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2014년에서 2016년 까지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코스닥시장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ESG 점수가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표본의 경우 ESG지수와 공매도 간에 양의 관계를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다. 그러나 재벌기업을 별도로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재벌기업의 경우 ESG 점수와 공매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비재벌기업의 경우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연구는 공매도거래가 ESG 점수와 공매도에 미치는 영향을 재벌, 비재벌기업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ESG와 재벌기업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확장시켰다.

      • KCI등재

        살롱의 시대적 변천 연구

        강현정 ( Kang Hyun Jung ),이진민 ( Rhie Jin Min ),장미정 ( Jang Mi Je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살롱의 용어, 사회, 문화, 공간의 연관성에 대한 역사적 고찰이며, 사회적 변화로 인하여 어떠한 문화적 형태로 발전 변화되어 왔는지를 다룸으로써 살롱의 시대적 해석과 앞으로의 전개에 대한 영향을 모색, 파악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살롱은 과거 지적 토론, 사교모임의 교류, 문화의 커뮤니티 공간에서 시작되어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다양한 정보들과 결합하여 새로운 콘텐츠 공간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20세기 이후 빠른 정보 교류와 높아진 개인의 경제성,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된 사회적 경험이 다양해지면서 실제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문화공간으로써 이용 가치가 꾸준히 높아지고 때문에, 지적 문화에서 시작된 과거의 살롱과 시대적 변천에 따른 현시점의 살롱이 어떻게 변화되고 발전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첫째 살롱의 의미 해석을 위한 용어적 개념과, 사회 및, 문화적, 공간적 개념을 고찰하여 같은 맥락의 유의적 개념들을 가진 새로운 용어들을 조사한다. 둘째, 살롱을 시간적 관점에서 연대기로 구성, 조사, 분류하여 살롱의 변천 유형을 분석하고 셋째, 살롱의 변천사를 통해 나타난 사회적 현상과 문화적 현상을 결합하여 나타난 연대기 바탕 위에 살롱이 본래 가지고 있는 기본 개념과 시간적 변화됨을 그 시대에 적용하여 해석, 파악한다. 위의 연구로 살롱 문화는 사회적 배경과 더불어 주최자나 구성원들 간의 계층, 문화양식, 라이프스타일등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인간 중심의 문화적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아울러, 현재의 살롱은 시대-문화적 양식과 주최자, 구성원들간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특징적 표현 양식 등이 지적, 미적, 공간경험이 포함된 결합적 복합 문화 공간으로 전개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살롱의 용어, 사회 및 문화적 개념의 고찰과 시대적의 변천과정에 나타난 살롱 문화의 특징에 해석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시대변화에 따른 살롱문화와 공간 발전에 방향성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This study is to address terminology and historical consideration on society-cultural relevance of salon as well as how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certain culture, in order to examine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effect of salon on future development. Salon started from the space where the trend of art and culture developed and has changed to new content space as being combined with scientific technology and economic activities over the period of Industrial Revolution. It is because of its consistent value as the cultural space with fast information delivery and economic and intelligent basis of individuals which have been increased since 20th centuries. Therefore, there is still unmet needs to conduct a study on the past salons that started as the intelligent space as well as the contemporary salons that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periodical transitions and over time. This research revealed that salon culture, along with social backgrounds, prominently showed human-centered cultural inclination through communications such as the class between organizers and members, cultural patterns, and lifestyles. Additionally, the current salons were developed into complicated cultural space where intellectual, aesthetical, and spatial experiences are included and combined with distinctive expression styles according to temporal-cultural patterns and the lifestyle between organizers and members.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alon culture and spatial development following temporal changes in the future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alon culture shown in the term of salon, review of the social and cultural concepts, and the process of temporal changes. Determine that intelligent and esthetic spatial experiences on the cultural space, salon in the past have been realized as a variety of contemporary cul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suggesting direction of cultural space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salon over time based on consideration of terminological, social and cultural concept of sal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