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염병 치료로서 도교 부적 - 청미파의 『道法會元』을 중심으로

        강충구 한국도교문화학회 2021 道敎文化硏究 Vol.54 No.-

        This thesis examines Taoism's talismans which were done to defeat or cure infectious diseases in the current Covid-19 situation, In particular, the use of talismans to fight or cure infectious diseases can be found in the 『Daofahuiyuan(道法會元)』 of Cheongmeipa(淸微派). I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epidemic eradication using the talisman of the ‘Cheong mei(淸微) faction’ at a time when the epidemic of Covid-19 is threatening the world, and explained the meaning. After the early Taoism became religious, shamanistic treatment using talismans was an important religious practice to gather believers. As Taoism developed, talismans were an important religious element not only in the rites but also in the individual performance of Taoism. In this development of Taoism, the shamanistic treatment using talismans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meaning of talismans was highlighted in rituals and individual practicing asceticism. However the Cheong mei(淸微) faction, which belongs to Fulu(符箓) faction in the Song(宋) Dynasty, embraces the god of thunder(雷神) and sorcery amulets, which are folk beliefs, reinterpret them Taoist and actively use them to treat diseases. By the time of the Song(宋) Dynasty, it was common to draw and use talismans based on internal training in the factions of Taoism whether 符箓(Fulu) clan or 內丹(Nae Dan) clan. Through internal training, the Taoist matches the energy in his body with the energy of the universe, and when he is in this state, he draws talismans with the united energy(一氣). The united energy of innateness indwells to the talisman painted like this, and the Taoist combines his own gods and energy with the patient’s god and energy so that the patient can respond to them and fight off the disease. In this process, the Taoist brings in the ‘commander god’(神將) that can handle the case, and relies on the strength of these commander god to fight off the epidemic. Talismans used for certain diseases have a common design. We call that desing, ‘Baozhang(寶章)’. This design is shown by the child of ‘Spritual Taoist World’(神仙界) when the Taoist is full of energy through internal training, and the design is common to the talismans used for certain disease. The belief that the Taoist can cure diseases or defeat infectious diseases through talisma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human body is regarded as a small world, and that the world and the human body are based on a homogeneous energy. It is the talisman that the Taoist extrinsicized the energy while his energy and the energy of the world united through internal training, and the talisman has the energy of such a universe, so they are considered to have the power to treat diseases. Also, the gods who were called along with the talisman have the power to treat diseases. Taoist talismans have different meanings from those of folk belief. Talisman of folk belief is painted by a psychic medium who is connected with supernatural thing. But the talisman of Taoism means that it is exogenized with the spirit of the universe and the spirit of Taoism combined when a Taoist calls cammander gods through the ritual and internal training. 이 글은 현 코로나-19 상황에서, 전염병을 물리치거나 치료하기 위해 행한 도교의 부적에 대하여 살펴 본 것이다. 특히 전염병을 물리치거나 치료하기 위해 부적을 사용한 내용은 도교 청미파의 『道法會元』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이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청미파의 부적을 이용한 전염병 퇴치의 내용을 검토해, 그 의미를 해명하였다. 초기 도교가 교단화할 때부터 부적을 이용한 주술적 치료는 신도를 모으는 중요한 종교적 실천이었다. 부적은 도교가 발전함에 따라, 제초의례뿐만 아니라 도사의 개인적인 수행에서도 중요한 종교적 요소였다. 이러한 도교의 발전에서 부적을 이용한 주술적 치료는 점차 사라지고, 의례와 개인의 수행에서 부적의 의미가 부각되었다. 그러나 송나라 시기 부록파인 청미파는 민간의 신앙인 뇌신과 주술적 부적들 수용해, 도교적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질병을 치료하는데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송대에 이르면 내단파이든 부록파이든 도교의 교파에서는 내단수련을 기초로 하면서 부적을 그리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된다. 내단수련을 통해 도사는 자신의 몸 속 원기를 우주의 원기와 일치해내고, 이 상태가 되면 一氣를 운용해 부적을 그린다. 이렇게 그려진 부적에는 선천의 일기가 깃들고, 도사는 자신의 신과 기를 상대방의 신과 기와 합하게 하여 상대방을 감응하게 하여 질병을 물리친다. 이 과정에서 도사는 해당 질병에 맞는 신장들을 불러오고, 이 신장들의 힘에 의지해 전염병을 물리친다. 특정한 질병에 사용되는 부적들에는 공통의 도안이 있다. 그 도안을 寶章이라고 부른다. 이는 도사가 내단수련을 통해 원기가 충만해지면, 신선계의 동자가 보여주는 도안을 의미하고, 이 도안은 특정한 질병에 사용되는 부적에 공통적으로 쓰인다. 도사가 부적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거나 전염병을 물리칠 수 있다는 믿음은 인체를 소천지로 보고, 천지와 인체가 동질적인 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전제한 것이다. 도사가 내단수련의 상태에서 자신의 원기와 천지의 원기가 합일한 상태에서 그 기를 외재화한 것이 부적이고, 부적은 그러한 우주의 원기가 깃든 것이기에 질병에 대한 치료의 힘을 가진 것으로 본다. 또한 부적과 함께 불려나온 신들 역시 질병에 대한 치료의 힘을 갖는다고 본다. 도교의 부적은 민간신앙의 부적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민간신앙의 부적은 영매가 접신에 의해 그리는 것이라면, 도교의 부적은 도사의 의례와 내단수련을 통해 도교의 신장들을 불러오고 우주의 원기와 도사의 원기가 합일된 상태에서 그 원기가 외재화한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다중홉 릴레이 기반 셀룰러 OFDMA-TDD 시스템에서의 선택적 협력 전송 기법

        강충구,류현석,이희수,안재영,정현규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7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7 No.6

        CTD는 다이버시티 경로를 위한 추가적인 자원 할당이 오버헤드의 요인이 되며 CRD는 자원의추가적인 할당은 없으나 MS가 MR-BS→RS 구간을엿듣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시그널링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한편 각 방식 별로 결합 이득에 따라CINR 값이 결정되고 이 값에 따라 지원 가능한 전송률이 정해진다. 이때 결합 이득은 단말의 위치와 채널 상1031 Telecommunications Review · 제17권 6호 · 2007년 12월MS1 MS3

      • 다차원 회전 변조기반의 공간 다중화 MIMO 시스템

        강충구,최수기,박승영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4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4 No.3

        본 논문에서는 다차원 회전 변조 다이버시티 및 시공간적 인터리빙 방식을 다중 안테나 기반의 공간 다중화 방식과 결합함으로써 추가적인 전력이나 대역폭의 증대 없이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새로운 MIMO 시스템을 제 안한다. 기존의 변조 다이버시티 방식에서 적용되는 I 성분 및 Q 성분의 독립적인 인터리빙을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 적 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는 MIMO 시스템에 적합한 시공간적 인터리빙 방식을 고려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간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Pairwise Error Probability (PEP)를 기반으로 다차원 회전 방식의 QAM을 설계한다. 그리고 시공간적 으로 인터리빙된 신호 벡터를 maximum likelihood (ML) 복호를 통해 검출하며, 이때 변조 차원의 크기 증가에 따른 ML 복호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Sphere Decoder (SD)을 적용한다. 제안한 방식은 변조 차원의 크기를 증가시킴으 로써 충분히 높은 SNR에서 주파수 효율성의 희생 없이 공간 다중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 을 통해 보였다. 즉 제안된 시공간적 인터리빙 방식을 통해 MIMO 시스템에서 다차원 회전 변조 다이버시티를 도입함 으로써 공간 다중화 이득뿐만 아니라 송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은 제시한 것이다.

      • Wirelss ATM 에서의 매체 접근 제어

        강충구 한국통신학회 1998 정보와 통신 Vol.15 No.2

        무선 ATM의 MAC 프로토콜은 독립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들을 대상으로 ATM이 추구하는 진정한 의미의 통계적 다중화 기능을 무선 매체를 통해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서만 멀티미디어 서비스 특성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대역 요구 사항과 지연 시간 및 셀 손실 등의 서비스 품질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들이 채널을 공평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유럽의 ACTS 프로젝트 및 제외국에서의 기술 개발 사례와 ATM Forum WATM-WG에서의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무선 ATM 구현에 필요한 요소 기술로서의 매체 접근 제어 방식의 설계 및 구현 방안에 대해서 고찰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