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술거래와 M&A-M&A에 있어 기업가치 평가 접근 방법에 관하여(Ⅰ)

        강철웅,Gang, Cheol-Ung 벤처기업협회 2003 벤처다이제스트 Vol.19 No.-

        기업가치 평가에 있어 전통적인 접근 방법은 크게 세가지 접근방법으로 대별되는데 자산가치접근방법(Asset-Based Approach), 수익가치접근방법(Income-Based Approach), 시장가치접근방법(Market Comparable Transactions Approach)으로 구분된다.

      • KCI등재

        플라톤의 『변명』에 나오는 소크라테스의 무지주장의 문제

        강철웅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6 철학논집 Vol.12 No.-

        소크라테스는 포괄적으로 자신의 무지를 주장한다. 그렇다면 그가 앎 주장을 하는 몇몇 대목들은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또 그런 그가 어떻게 지혜로운 자요 훌륭한 스승으로 간주 될 수 있는가? 소크라테스 혹은 초기 플라톤 철학 이해의 관건 가운데 하나인 이 물음을 '앎 부인'의 문제라기보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무지 주장'의 문제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 글은 『변명』의 신탁 관련 회고담 부분 (20c-23c)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그의 무지 주장은 무지의 믿음 주장이 아니라 무지의 지 주장이다. 둘째, 그는 앎의 문제에 있어서 인식의 성공 자체(즉 결과)보다 자기 인식 상태의 반성(즉 과정)이 중요하다는데 주목하고 있다. 셋째, 소크라테스의 인식론에서 이차 앎은 참인 이차 믿음과 거의 차이가 없지만 일차 앎은 참인 일차 믿음과의 간격이 크다. 나아가 이차 앎이 일차 앎의 필요 조건 혹은 필수적 구성 요소로 설정되어 있다. 일차 앎의 조건이 까다로운 이런 논의 구도에서 지의 무지는 성립할 수 없다. 넷째, 그렇기 때문에 그는 훗날 스토아 철학자들을 괴롭힌 '지의 무지에 관한 딜레마'를 피할 수 있다. 다섯째, 무지의 지라는 그의 철학적 기획은 앎과 삶(행함)의 불가분성, 과정으로서의 철학함이라는 그 자신의 통찰에 깊이 뿌리박고 있지만, 이전 철학자들의 인식론적, 영혼론적 기획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플라톤의 <에우튀프론>에서 소크라테스적 인간애와 소통-교육

        강철웅 철학연구회 2021 哲學硏究 Vol.- No.132

        As far as its ostensible project to define piety is concerned, the Euthyphro is a definitional dialogue and a talk of religion. But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its connectedness with Plato’s two other works, the Apology of Socrates (the Apology, hereafter) and the Crito, which I characterize as Plato’s in-depth project of trilogy, it is not merely a talk of defining piety but a talk of communication and sympathy, and even of education, i.e. of how we should communicate our discourses on religion and justice with others. This talk of communication-education is put forth focusing on Socratic philanthropy, in which the main feature is ‘offering himself.’ In this work, Euthyphro who claims wisdom grudges communicating it, while Socrates who claims ignorance shows his ‘self-offering’ philanthropy by questioning his interlocutors. His philanthropy makes him communicate and sympathize with others by letting them also get into aporia, which he himself already got into, thereby making them confessors of their own ignorance. It is an education without teaching, and an eros offering oneself as an exercise partner for his or her student to utilize to improve and cultivate him- or herself. So ‘offering himself’ is a key point of Socratic communication-education which goes together with his attitude of attributing the ownership of argument to his interlocutor in his dialogue. While Sophistic education imparts lessons (mathēmata) and asks money as compensation for them, Socratic communication-education lays stress on the sympathy and communion of the soul with each other. Socrates offers the whole of himself, i.e. his soul, making it available for his interlocutor to utilize, instead of imparting some parts of his possession, i.e. lessons. In the Apology trilogy, Socrates gradually widens his dimension of problems: starting from immersing himself in truth and justice rather than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in the Apology, to talking about persuasion and sympathy in the Crito, and ultimately to talking about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 the Euthyphro. This reflects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plato’s critical mind through which he pays attention not only to the sincerity of truth and justice and the intention of sharing them with others but also to the success of communication-education, i.e. achievement of the sharing. According to that mind, education and communication require each other; that is, education should be communicated, and communication should be educational. 경건을 정의하는 표면적 기획에 관한 한 에우튀프론 은 정의(定義) 대화편이고 종교 이야기다. 그러나 변명 및 크리톤 과 이루는 삼부작이라는 심층적 기획에 착안하면, 그것은 단순히 경건의 정의 이야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경건과 정의를 어떻게 나누고 가르칠 것인가를 다루는 소통과 공감 이야기요 교육 이야기다. 이 소통-교육 이야기는 소크라테스의 ‘인간애’를 특징적으로 부각하는데, 그 주된 면모는 ‘자신을 내어줌’이다. 이 작품에서 지혜 주장을 하는 에우튀프론은 정작 그것의 나눔에 ‘인색’한 반면, 무지 주장을 하는 소크라테스는 오히려 대화 상대에게 물음 제공자로서 ‘자신을 내어주는’ ‘인간애’를 드러낸다. 그의 ‘인간애’는 자신의 아포리아에 더해 남들도 자기처럼 아포리아에 빠져 무지 고백자가 되게 만드는 소통과 공감의 작업이며, ‘가르치지 않는 교육’이요, 질문을 통해 제자 자신이 스스로를 개선하고 계발하는 데 연습 상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자신을 내어주는 에로스다. ‘자신을 내어줌’은 소크라테스 식 대화에서 논변의 소유권을 상대에게 귀속시키는 태도와 궤를 같이하는 소크라테스 식 소통-교육의 요체다. 배울거리를 넘겨주고 반대급부로 돈을 요구하는 소피스트적 교육과 달리 소크라테스적 소통-교육은 ‘주고받음’, 즉 공감과 공유를 중시한다. 자기 것 일부, 즉 배울거리를 넘겨주는 대신 자신 전체, 즉 영혼을 상대가 이용할 수 있게 온전히 내어준다. 변명 삼부작에서 소크라테스는 설득과 소통보다 진실과 정의에 몰두하는 변명 에서부터 출발하여 크리톤 에서는 설득과 공감으로, 에우튀프론 을 통해서는 소통과 교육으로 차츰 문제 지평을 넓혀 간다. 이는 진실과 정의의 진정성이나 공유 의도만이 아니라 소통-교육의 성공, 즉 공유의 성취에까지 주목하는 플라톤의 문제의식의 발전을 반영한다. 그것에 따르면 교육은 소통을, 소통은 교육을 필요로 한다. 즉, 소통되는 교육이어야 하고, 교육적인 소통이어야 한다."

      • 자동 이착륙 시스템을 갖춘 모형 헬리콥터 시스템

        강철웅,임종환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첨단기술연구소 2002 尖端技術硏究所論文集 Vol.13 No.1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autonomous flying for takeoff and landing a model helicopter with a vision system. A feature of the helicopter is that automatic flying for takeoff and landing is realized by a vision system. Owing to this vision system, the model helicopter is able to takeoff and landing without any human assistance. The vision system is composed of a CCD camera mounted on the helicopter and an image processor on the ground. We first introduce the configuration of the helicopter system, which has a vision sensor, a clinometer and an azimuth sensor. To determine the 3-D position and posture of helicopter, a technique of image recognition using a monocular image is used. Finally we give an experiment result which we obtained in takeoff and landing test with our vision system. This result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vision system in the model helicopter

      • KCI등재

        국내 조명 환경에서 센서공간을 활용한 이동로봇의 위치인식시스템 개발

        강철웅,고석준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4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9 No.2

        When a mobile robot performs in unknown environments, a location identification is an essential task.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that uses a sensor space without additional devices on the robot. Also the sensor space consists of a matrix of CDS sensor; when a robot was positioned on the CDS sensor, we can estimate the coordinate of the location by sensing a light. Based on KS illumination standard, experiments are performed in various environments. By evalua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an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be applicable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of a moving robot.

      • KCI등재

        공연무대를 이용한 엔터테인먼트 로봇의 위치추정 방법

        강철웅,고석준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4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9 No.3

        In this paper, we propose a position estimation method of an entertainment robot in a performance stage. A position information is needed to produce contents of an entertainment robot performance. First, the performance stage is realized by a CD (cadmium sulfide) sensor matrix with a constant distance. Then the proposed position estimation uses ON/OFF information of a CD sensor in a performance stage. We confirmed that the position of the robot is detected with an maximum 4cm in position evaluation experiments. The robot was traveling to the final target position in the walking experiment with 75cm and 120cm path plan. Ultimatel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estimation is assessed by experimental results of a robot in performance stage. Also, in the proposed system installed by a robot performance contents, there is no necessity to mount a position estimation device on a robot; therefore an advantage of our system is that an entertainment robot commercialized by robot vendor can be utilized in our performance stage directly.

      • KCI등재

        논리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학적 개념의 이해 분석

        강철웅,정진우,김형범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6 No.3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science based on the 6th graders' levels of logic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logical thinking test was given to 108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32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61.1% of students were in concrete operational period in their logical thinking, 27.8% were in their transitional period, and 11.1% were in their formal operational period. By using Flow-Map, 32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ir levels of logical think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understanding of concept. Students’ flexibility of cognitive structur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gical thinking and the levels of understanding concepts as well. However, misconception didn’t show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levels of logical thinking. Second, the characters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 by their levels of logical thinking was that as you get higher levels of logical thinking, their cognitive structure to understand concept was more systemized, in order and more logical.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in science experiment class. First,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had various levels of logical thinking and that affected to their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Therefore, lesson planning and class should be done by reflecting their different levels of logical thinking. Second, since they had different levels of logical thinking,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utiliz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scientific concepts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후보

        파르메니데스 철학에서 노에인 개념과 인식 전달 모티브 : "감각 거부" 해석 및 초기 희랍 노예인 개념에 관한 "발전론" 테제의 비판적 검토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Sense-Denial" Interpretation and the "Developmentalist" Theses on the Early Greek Concept of Noein

        강철웅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2 시대와 철학 Vol.13 No.2

        파르메니데스 철학의 핵심 메시지를 '감각 거부'로 보는 통념은 그 텍스트적 기초가 미약함에도 불구하고 아주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왔다. 뿐만 아니라 이 통념은 파르메니데스 연구의 핵심 주제에 속하는 진리편-독사편의 관계 문제에 있어서도, 독사편을 부정적으로만 받아들이는 해석을 강화하는 데 일조해 왔다. 그러나 관련 텍스트 구절들은 감각 (사용) 일부의 거부가 아니라 특정 방식의 감각 사용을 거부한 것으로 제한되어 읽혀야 한다. 그리고 그 구절들에서 오히려 주목되어야 하는 것은 감각 경험에 대비되는 것으로 부각되어 있는 노에인과 레게인이다. 인식을 함축하는 전자에 후자가 중요한 짝으로 등장한다는 점이 중요한데, 그것이 담고 있는 것이 바로 이제까지 연구에서 주목되지 않은 인식 전달의 모티브이다. 초기 희랍 노에인 개념에 관한 폰 프릿츠 등의 '발전론' 테제는 호메로스에서처럼 파르메니데스에서도 직관의 계기가 누스/노에인의 중심에 서 있으며, 그에게서 '처음으로'노에인에 추론의 계기가 도입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면밀한 텍스트 분석에 따르면 추론의 계기가 호메로스의 노에인에 '이미'배타적 선언의 형식으로 배태되어 있었다. 파르메니데스는 레게인과 긴밀히 연관되는 방식으로 노에인을 개념화함으로써 '의식적으로'추론의 계기를 도입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누스의 모오류성을 희생하면서까지 전달의 모티브를 붙잡으려 하였다. 그는 신비적 직관을 강조하기보다는 논변에 의해 테스트되고 겨루어질 수 있는 성격의 것으로 앎을 특징지우려 했고, 그것에 다가가는 탐구 여정의 반복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려 했던 것이다. The idea that the central message of parmenides' philosophy is 'sense-denial' has had strong influence and is now widely accepted, weak as its textual basis is. On top of that, it has been directing Parmenidean studies toward the pejorative attitude to his Doxa section. But textual passages concemed, in my opinion, favor a limited reading: his rejection is not aimed at (the use of) senses in general, but at some particular uses of them. And it is rather a noein-legein pair presented here in contrast to sense perception that is worth noticing. It is important that here noein implying knowledge is elaborately coupled with legein containing a knowledge-communication motif which has been unnoticed up to now. According to von Fritz's 'developmentalist' theses on the early Greek concept of noein, in Parmenides, as in Homer, the intuitive element is in the core of nous/noein, and he first introduced the discursive element into noein, However, careful textual analyses indicate that the discusive element has already been conceived in Homeric noein in the form of exclusive disjunction. Parmenides consciously introduced that element by conceptualizing noein in close connection with ligein and embraced the communication motif, even at the cost of infallaibility of nous. For while modeling knowledge he did not choose to emphasize mystic intuition but tried to characterize knowledge as someting testable and contestable by arguments and to ptopose a model of inquiry journey toward it which can be reiterated by other inquir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