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의 리튬 - 공기전지와 소듐 - 공기전지의 방전 생성물 비교 분석 연구

        강정원,Kang, Jungw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6 資源 리싸이클링 Vol.25 No.3

        차세대 이차전지로서 주목받고 있는 리튬-공기 전지와 소듐-공기 전지를 에테류계 전해질을 이용하였을 시 방전 후 생성물을 분석 하였다. FESEM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리튬-공기 전지와 소듐-전지의 방전 후 생성된 입자의 형태는 좁쌀 모양을 보였으며, 두 전지 시스템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XRD를 통하여 확인 하였을 시 리튬-공기 전지는 비정질 형태의 $Li_2O_2$ 그리고 소듐-공기에서는 결정질의 $NaO_2$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차세대 전지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공기 전지와 소듐-공기 전지의 기본적인 구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었다. The discharged products of Li-$O_2$ and Na-$O_2$ batteries using ether-based electrolyte as next-generation battery system were analyzed. The morphology of the discharged products showed millet-like shape in the both battery systems by FESEM. However, the discharged product, $Li_2O_2$ showed amorphous-like form in the Li-$O_2$ cell while crystalline $NaO_2$ is formed in the Na-$O_2$ cell when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 In this work, we comprehended a principle operating mechanism of Li-$O_2$ and Na-$O_2$ battery.

      • KCI등재

        대학도서관의 오픈액세스 기반 전자저널 구독을 위한 운영모델 연구

        강정원,김현희,Kang, Jeong Won,Kim, Hyun-Hee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 정보관리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이 직면하고 있는 전자저널의 오픈액세스로 인해 발생한 기존 전자저널 구독방식에 미치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오픈액세스 기반의 구독을 위한 운영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운영모델은 구독모델, 체계, 정책, 운영의 네 가지 개념을 현실에 맞게 해석한 모델로 전자저널의 합리적 구독을 전제로 하여 오픈액세스를 적용한 것이다. 국가지원, 통괄적 운영, 오픈액세스 기반 모델, 협력체계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구현하였고 특히 국가지원체계로 안정적이고 지속적 학술정보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제안된 운영모델은 국내 오픈액세스 연구과 실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existing e-journal subscriptions caused by open access of e-journals faced by university libraries.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d an operational model for open access based subscription. The proposed operational model, which adapts the four concepts of subscription model, system, policy, and operation interpreted according to reality, applies open access on the premise of rational subscription of electronic journals. The proposed operational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national support, comprehensive operation, open access based model, and cooperation system. In particular, it emphasized the need for stable and continuous access to scholarly information through national support policy. The proposed operational model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realization and research of open access in the domestic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VA Mode의 LCOS에서 Cell Gap의 변화에 따른 전기광학적 특성

        강정원,손홍배,Kang, Jung-Won,Son, Hong-Bae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08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7 No.3

        The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on Silicon (hereinafter "LCOS") micro-display on vertically alignment (VA) mode were studied depending on various cell gaps. 5 different cell gaps, such as $1.4{\mu}m,\;1.8{\mu}m,\;2.1{\mu}m,\;2.4{\mu}m$ and $2.8{\mu}m$, were selected. The reflectance-voltage (R-V) characteristics, distributions of reflected light and reflectance were calculated with 3-dimmensional LC code. At the center of cell, the smallest $1.4{\mu}m$ cell gap showed the lowest reflectance and the largest $2.8{\mu}m$ cell gap showed the highest reflectance due to the surface anchoring effect. In case of $2.1{\mu}m$ cell gap, the sum of reflectance overall cell was the highest value. Considering the reflectance and RV curve characteristic, the optimized cell gap was $2.1{\mu}m$.

      • KCI등재

        3차원 광학시뮬레이션을 사용한 PDP의 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강정원,박현명,Kang, Jung-Won,Park, Hyun-Myung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10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9 No.3

        In this study the optical properties, such as relativ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PDP were analyzed with 3D optical code. Because of the electrode structure, the reference model shows 21.3 % higher transmittance than the test model and the reference model shows 16.6 % higher reflectance than the test model. The calculated reflectance of reference and test models is compared to the measured reflecta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calculation and measurement is 4.9 %.

      • 통방융합 유비쿼터스 콘텐츠 서비스 기술

        강정원,김재곤,홍진우,Kang, J.W.,Kim, J.G.,Hong, J.W.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6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1 No.4

        UCA 기술은 이종망과 다양한 단말로 구성되는 통방융합 환경에서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다양한 수준의 품질이 보장된 형태로 접근/소비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연동 가능한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기술이다. UCA 기술은 OSMU, E2E QoS-enabled 콘텐츠 서비스, 개인 맞춤형 소비를 위한 서비스 기능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향후 All-IP 기반의 통합 인프라로 진행될것으로 전망되는 통방융합의 기반 기술로 통방융합 Info-Structure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UCA 기술의 전반적인 기술 개요 및 표준 기반의주요 핵심기술을 소개하고 관련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을 살펴본다.

      • KCI등재후보

        Multi-cube UV source 이용한 PDP에서 광학시뮬레이션의 정확성 개선에 관한 연구

        강정원,엄철환,Kang, Jung-Won,Eom, Chul-Whan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07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6 No.2

        Optical simulation of the rear and front panel geometries were needed to improve the luminance and efficiency in PDP cells. The 3-dimensional optical code can be used to analyze the variation of geometries and changing of optical properties.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simulated results, a new UV source, called a multi-cubes UV source, was designed. To design the source, at first UV distribution was calculated with the plasma fluid code and then the UV distribution was transformed to the multi-cube structures in the optical code. Compared to the results from existing UV source, called a planar UV source, could be improved the accuracy of visible light distribution. Simulated results were also compared to the visible distribution measured with the ICCD in a real PDP cell.

      • KCI등재

        시화호 퇴적물의 유기탄소, 유기질소 및 중금속 함량과 분포

        강정원,홍대벽,박용안,최정훈,Kang, Jeong-Won,Hang, Dae-Byuk,Park, Yong-Ahn,Choi, Jung-Hoon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4

        시화호 표층과 주상시료 퇴적물의 유기탄소(Co$_{org}$), 유기질소(N$_{org}$), 중금속(Zn, Pb, Cr, Cu, Mn)의 함량과 분포를 규명하기 위하여 '97년 4월, 9월 그리고 '98년 3월에 총 30개의 퇴적물 시료가 채취하였다. 분석결과 표층 및 주상시료 퇴적물의 유기탄소${\cdot}$질소 그리고 중금속들의 함량과 분포는 조사시기와 정점별 차이에 따른 변화를 나타냈다. 표층 퇴적물의 유기탄소와 유기질소 함량은 시화호 안쪽의 육지에 인접할 수록 높은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분포는 주변 하천 및 공단으로부터의 영향인 것으로 사료된다.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은 유기탄소 함량과 일차적인 관계가 있다고 해석된다. 주상시료 퇴적물의 C/N비의 변화폭은 3${\sim}$32이고 평균은 13.9를 나타냈다. 주상시료의 중금속함량분포 경향은 유기탄소와 유기질소의 함량분포 경향과 유사하였다.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을 방조제 축조 이전과 이후로 비교했을 때 축조 후 증가한 중금속은 Cu이고, 반대로 낮은 함량을 보이는 중금속은 Zn와 Mn으로 조사되었다. 이와는 달리 Pb의 함량은 일정하였다. 시화호 배수갑문 내측 주변과 방조제 외측 연안 퇴적물의 중금속함량은 유사하였다. Distributions of organic carbon (Co$_{org}$), organic nitrogen (N$_{org}$), and heavy metals (Zn, Pb, Cr, Cu, Mn) were investigated in Lake Shihwa sediments. Surface and core samples were collected in April and September, 1997 and March, 1998 for the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se components contents are variable with sampling timeand station. In surface sediments, both Co$_{org}$ and N$_{org}$ have similar distribution pattern in which their high contents found in stations located near the land, indicating that the streams and industrial wastes seem to act as point sources. The C$_{org}$ contents are linearly related with those of heavy metals. It appears, therefore, that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may be partly controlled by a complex interplay of biogenic, terrestial, and anthropogenic factors. The C/N ratios from three stations are in the range of 3-32, with an average of 13.2. Vertical profiles of heavy metals in sediment cores are similar to those of C$_{org}$ and N$_{org}$. Copper content of sediments is enriched compared to that of reported value before dike construction, but Zn and Mn are not deposited considerably. Especially, Pb content show less variable. Currently, anthropogenic effects of industrial complex may not reached to drainage gate area where heavy metal contents are comparable with those adjacent to coastal sediments.

      • KCI등재

        일제 전시체제기 朝鮮林業開發株式會社의 설립과 운영

        강정원(Kang, Jung 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6 No.-

        본고는 朝鮮林業開發株式會社의 설립과정과 운영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조선임업개발은 전시체제기 목재 수요가 늘어나면서 用材林을 조성하고 民林業을 개발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책회사였다. 조선임업개발은 東拓, 王子, 三菱, 三井, 住友, 日窒, 第一生命 등 일본 독점재벌이 대주주로 참여하였고, 소주주들도 산림경영에 참여하거나 목재, 제지업 분야에 종사하는 지주 및 자본가들로 망라되어 있었다. 조선임업개발은 조선총독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대자본이 출자하여 만들어졌지만, 조선총독부가 운영 전반을 감독 통제함으로써 경영의 자율성을 보장받지 못했다. 조선임업개발은 전시체제기 국유림 대부를 독점하였고, 민유림도 수탁경영함으로써 산림경영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었다. 전쟁 확대와 장기화로 목재와 기타 임산물의 수요가 급증하자 조선임업개발은 일제의 전시체제에 협력하면서 벌목과 연료사업에 적극 진출하였다. 이로 인해 예상 영업수지와 달리 1940년부터 영업이익이 늘어났으며, 이는 독점재벌의 이윤창출에 기여했다. 이러한 영업이익의 확대는 벌목사업으로의 전환도 있었지만, 사업에 소요되는 막대한 노동력을 조선인 저임금 노동과 애국반과 같은 자발성을 빙자한 강제 동원으로 충당했기 때문이었다. 조선임업개발은 전시체제의 특수성을 가장 잘 반영한 회사였다. 조선총독부는 재정이 부족한 상황에서 조림사업과 用材林을 조성하기 위해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최소한의 자본금으로 이익을 보장해 주었고, 조선인을 강제 동원하여 사업에 드는 임금을 최소화하면서 전시체제에 필요한 조림사업과 목재수요를 충당해 나갔다. 해방 후 조선임업개발은 1949년 大韓林業開發株式會社로 회사명을 변경하여 운영되다가 청산절차를 밟아 1981년 최종 해체되었다. This study i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management of the Joseon Forestry Development Co. The company was a nationally-owned company created to create a timber forest and develop forestry. The company was a major shareholder of Japan s exclusive conglomerates such as 東拓, 王子, 三菱, 三井, 住友, 日窒, 第一生命. Minority shareholders were also involved in forest management or as landowners and capitalists in the wood and paper industries. The company was made with large capital contributed under the active suppor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d not guarantee the autonomy of management by supervis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 Joseon Forestry Development Co. monopolized the National Forest Loan and commissioned the private forest. This allowed them to enjoy a monopolistic position in forest management. Demand for timber and forest products has surged due to the expansion and prolongation of the war time. The company actively participated in logging and fuel business in cooperation with on the war basis. As a result, operating profits increased and contributed to the monopoly profits. Another reason for the increase in operating profit was that the huge labor costs required for the business were saved by low-wage labor and forced mobilization such as patriotic groups(愛國班). The Joseon Forestry Development Co. was the company that best reflected the peculiarities of on the war basis. Th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ttracted private capital in order to create afforestation business and timber forest in the face of lack of finance and guaranteed profit with minimum capital.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ced the Koreans to minimize their wages. Through thi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able to meet the demand for afforestation and timber for the war time. After liberation(1945), the company changed its name to the Korea Forestry Development Co. in 1949. It was finally dissolved in 1981 following the liquidation procedure.

      • KCI등재후보

        일제 임야조사사업기 김해지역의 국유림 분쟁

        강정원 ( Kang Jung-won ) 부경역사연구소 2008 지역과 역사 Vol.- No.22

        Japanese government had intended to establish the Forest Ownership in accordance with the modernized laws and terminate the ownership disputes through the project for surveying the forest.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analysis the survey report for the land in disputes called Bunjangjijoseo(『紛爭地調書』) in Kimhae, Kyungsang Province and review how to treat the customary Forest occupation by Kimhae Citizen at the project process. During the Project, 191 disputes for 285 lots were occurred in Kimhae which was over most area in Kimhae. At that time, the Forest was occupied by Kimhae citizen in the manner of grave, sales & purchase, Planting trees, recording on land registration and certification, drafting a plan and others. However, the forest without ownership relation for long time was enlisted as the state forest at the state forest identification(or classification) survey which was made on and about 1911-12 year, and then leased to the 3rd parties on the condition of planting trees. This caused the Japanese to occupy the most of forest with considering the land area and lots. Consequently, the parties to the dispute for the forest were the local residents and the state as well as the local residents and Japanese who had leased the forest. Most of disputes in Kimhae area were for the state forest and settled in favor of the leaseholder except 10 lots. The settlement of the disputes over the forest in Kimhae was the process to create the state forest. The Japanese government unilaterally admitted and recognized the ownerless mountains as the state ones based on the modernized ownership conception. Further, the previous ownership interests and rights over the forest were not recognized on the unconditional basis of the current Planting trees and actual result. In consequence, the state forest was reproduced and enlarged, and most of the Japanese who were the leaseholders won the cases, were able to push on planting trees and have more chance to secure the ownership interest on the forests. This made the local resident in Kimhae unable to exercise their influence over the forest slowly and to join the operation of forest resources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

      • KCI등재

        1910년대 일제의 조선 산림 소유와 이용에 관한 인식

        강정원(Kang, Jung-W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6 No.-

        본 논문은 1910년대 일제가 조선 산림 소유와 이용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고 정책적으로 수렴해 나갔는지를 고찰한 글이다. 일제가 소유권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되었던 것은 공동체적 소유와 입회권이었다. 공동체적 소유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이 宗山을 비롯한 종중재산과 洞里山이었다. 이 둘은 관습법에서는 엄연한 주체였고, 동시에 기존 향촌질서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었다. 일제는 기존 질서를 강점 질서에 맞게 재편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소유구조를 인식하고 재편해 나갔다. 일제는 소유주체로서 종중을 부정하고, 共有로 파악하였다. 토지의 권리를 확정하는 ‘사업’에서도 종중 명의로 査定하거나 裁決 登記를 할 수가 없었다. 게다가 명의신탁이론이 도입되어 종중재산을 둘러싼 법적 분쟁이 심화되자 일제는 1930년 朝鮮不動産登記令을 개정하여 종중 명의로 등기를 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종중을 법인으로 인정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미봉책에 불과했다. 洞里는 소유주체의 형태를 통치구조에 맞게 변용하여 인정하였다. 일제는 관습조사에서 기존 동리를 법인으로 ‘해석’했지만, ‘법적’으로 규정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효율적인 통치를 위해 기존 동리의 소유주체를 통치에 부합하도록 변경한 뒤 인정하였다. 동리 통폐합으로 등장한 행정 동리가 기존 동리 재산의 새로운 법적 소유자가 되었다. 하지만 面洞里財産管理規程으로 동리재산을 면이 관리하게 됨으로써 소유권 행사에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1917년 面制가 실시되면서 법률행위와 소송당사자 능력까지 고스란히 면이 담당하게 되었다. 한편 일제는 입회권에 대해서도 조사했지만, 구시대의 유물로 인식할만큼 그 자체에 대해서 부정적이었다. 일제는 입회대상 토지를 무주공산, 동리산, 국유림으로 보고 정리해 나갔다. 무주공산에서의 ‘자유로운’ 산림 이용은 삼림법으로 정리되었다. 동리산은 洞有로 확정되면 동리민의 입회권을 인정하였다. 반면 국유로 인정되면 연고유무에 따라 정리하였다. 국유림에서는 삼림령 실시로 입회를 인정하였다. 그러나 이는 관습조사에서 확인된 입회권과 같이 권리관념이 뚜렷한 경우에 한정된 것이었다. 국유림에서 연고가 있는 경우는 조림대부를 통해 권리를 유지해 나갔다. 반면 연고가 없는 경우는 일제가 소유권 중심으로 권리를 정리해 나가는 과정에서 해체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