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잠재적 인식 유형과 교육경험에 따른 차이

        강운선(Woon sun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관점을 유형화하여 인식 유형과 다문화 교육목표 및 교육대상을 바라보는 인식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인식 유형의 차이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편의표집 방법으로 경북지역에 소재한 대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잠재적 집 단분석 방법, 다차원척도법, 교차분석, 그리고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필요악형 (15%), 유명무실형(7%), 적극적 긍정형(45%), 그리고 관념적 긍정형(34%)으로 유형화 되었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유형은 다문화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다. 셋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은 다문화 교육대상에 대한 인식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다. 넷째, 교사교육의 전공과정과 교직과정에서 이수한 다문화교 육경험은 인식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Are there underlying types of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al among pe-service Teachers? In other words, is there a latent class structure that adequately represents the heterogeneity in underlying types of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al? If so, what are the types? 2) Are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predictive of membership in types of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a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62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carried out using PROC LCA for SAS.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four latent classes: ‘necessary evil (36.5%)’, ‘positively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49.5%)’, ‘indifferent perception (14.0%)’, and conceptually accepting multicultural education (30.5%). 2) Both courses for major (p < .0001) and courses for teaching profession(p<.01) were predictors of latent class membership

      • KCI등재

        사회적 상호작용이 청소년의 환경친화적 형태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 환경사회화의 이론적 정립을 위한 시론 -

        강운선(Woon Sun Kang) 한국청소년학회 1997 청소년학연구 Vol.4 No.-

        이 글의 목적은 환경문제에 관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실태 분석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청소년들의 환경친화적 행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환경친화적 행태 교육에 유용한 지침을 얻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서울시 구로구와 영등포구에 거주하는 청소년 300인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자료의 특성, 사회적 상호작용의 접촉 빈도수, 사회적 상호작용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평균분석, 다중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청소년들이 환경문제에 관한 정보에 관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정보를 듣거나 보는 빈도수를 측정하고, 사회화 기구가 환경교육에 미치는 기여의 정도에 관하여 청소년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청소년들외 환경친화적 행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옴과 같다. 청소년들은 환경문제에 관한 정보를 TV를 통하여 접촉하는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신문, 학교, 가정, 정부, 친구, 라디오, 잡지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화 기구가 환경 홍보 활동의 기여도에 관한 분석에서도 TV가 효과가 제일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문, 가정, 학교, 정부, 라디오, 친구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환경친화적 행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청소년들의 환경친화적 행태의 유의한 변인으로 밝혀진 반면, 성별, 사회경제적 지위, 연령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환경친화적 행태에 미치는 효과에 기초하여 환경사회화의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은 사회의 구성원들이 사회현상의 부분으로서 존재하는 도덕현상, 정치현상, 경제현상 등에서 각기 올바르다고 인정되는 가치와 행동양식을 습득하는 과정을 도덕사회화, 정치사회화, 경제사회화 등의 용어로서 사용하고 있는 현상에 기초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effects of social interaction in changing youth`s pro-environmental behaviors For doing this, I select as sample groups for my study, 300 youth living in kuro-gu and yungdungpo-gu, Seoul, the one-third of which is elementary school student, one-third is middle school student, one-third of which is high school student. I make use of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at purpose. To collect the data of the youth`s pro-environmental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by sample. And I also adopt multi-regression technique using dummy variables as the method to analyze the effects that social interaction has on youth`s on pro environmental behavior. In the result of my analysis, I discovered the next facts. 1) Youth get much information from TV among social agent. 2) Social interaction is very important variables of youth` pro-environmental behavior. When I conceder man define process that people learn social belief, value, ways of behavior by social interaction as socialization, I think I can define process that people learn pro-environmental behaviors by social interaction as environmental socialization.

      • KCI등재

        사회과 예비교사의 소셜 미디어 활용동기와 만족도 관계에서 활용행태의 매개효과

        강운선(Woonsun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사회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의 활용동 기와 학습매체로서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등학교 사회과 예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편의표집방법 중의 하나인 임의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군집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를 분석하였으며, 활용행태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가 제안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의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는 관람자(30.3%), 참가자 (27.2%), 창작자(23.8%), 그리고 비참여자(18.6%)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해 소셜 미디어 활용동기는 학업, 인정, 사회관계, 그리고 정보공유의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셋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소셜 미디어 활용행태는 활용동 기와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연구 한계 및 미래의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research object was to tes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ypes of use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motive and satisfaction as learning media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For gathering the data, surveys were distributed at university in Kyungsangbuk-do.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behavior, and I applied the causal-steps approach described by Baron and Kenny(1986) for testifying the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 1) The types of use behavior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spectators(30.3%)’, ‘the joiners(27.2%)’, ‘the creators(23.8%)’, and ‘the inactives(18.6%)’. 2) To explore what motivates users to use social media, the study ran factor analysis to determine the potential groupings of 18 items. The analysis yielded four factors: learning motive(factor1), recognition motive(factor2), social relation motive(factor3), and sharing information with others(factor4), 3) The types of use behavior could be a partial medi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motive and satisfaction as learning media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The paper includes theoretical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협동학습 모형을 통한 약물남용 예방 교육의 효과 연구 - 인문계 여고생을 중심으로 -

        강운선(Woon Sun Kang) 한국청소년학회 1998 청소년학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미 약물을 남용하고 있는 학생과 약물을 남용할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에게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약물 남용 예방교육을 실시하여 청소년들을 약물로 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을 위해 실험 연구의 표본집단으로서 서울시 종로구 혜화동에 위치한 ○○여자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전 학생 중에서 1학급씩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한 사전 사후 검사지의 분석을 위해 SPSS PC+ Ver. 5.0을 통계처리도구로서 활용하였으며, ANOVA, Cronbach`s Alpha 등이 주요 기법으로 이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물에 관한 지식 습득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 지식 점수가 상승했으며, 상승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으나 사전 사후 태도변화에 관한 검사에서 청소년들의 약물에 관한 부정적 태도 점수는 평균 74.6이었으나, 프로그램 적용 이후에 실시한 사후검사에서 청소년들은 평균 점수는 76.0로서 프로그램 실시전보다 1.4점이 증가하였으나 점수의 변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은 아니었다. 2) 프로그램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주관적 평가에서 학습자들은 대본구성을 위한 협동학습에 대하여 처음 해보는 수업기법이고 내가 여러 인물이 되어서 여러가지 일을 상상할 수 있어서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대체로 반응하였다. 또한 3) 대본내용에 관한 내용분석 결과 학습자들이 대체로 약물남용의 원인을 자존감의 부족과 같이 자신에게 귀속시키기보다는 사회적 요인으로 보다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effect that cooperative learning has on prevention of drug abuse of academic girl high school student. Eventually, I want to keep youth from drug abuse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n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For doing this, I select as sample groups for my study, totally 2 classes of Hye-hwa Girl High School being located in Hye-hwa, Seoul, the half of which is first grade`s class, the other half is second grade`s class. To discover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I proceed following step 1) To collect the data of the learner`s knowledge degree about drug and learner`s attitude degree about drug, I make use of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at purpose. 2) To collect the data of the learner`s subjective evaluation about cooperative learning in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 ask student to descrive student` feeling after cooperative learning 3) I analyze content that each team writing about drug. And For analyzing data, I adopt Cronbach`s Alpha and ANOVA. In the result of my analysis, I discovered the next facts. (1) Cooperative learning is proved to be effective in terms of knowledge about drug. (2) Cooperative learning is not proved to be effective in terms of attitude about drug (3) Most of Students report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very exiting (4) According to content analysis, I am able to know student consider youth drug abuse be due to social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일본 다문화교육의 연구 동향에 대한 메타 분석

        강운선(Kang, Woonsun) 동아인문학회 2011 동아인문학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Japa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end, I collected articl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CiNii. Key word entered for collecting is multicultural education. Data related is 736 case. I analyze collecting data in terms of research domain, research subject, and perspective ty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tegory on educational aim has the highest percentage, and teaching method has second percentage. Second, category of raceㆍethnic has highest percentage. Meanwhile minoruty such as sex, the disability, class, religion and sexual minorities has very low percentage. Third, type of human relationship approach has highest percentage in terms of the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Sleeter & Grant classyfied

      • KCI등재

        사회과 예비 교사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과 결정 요인

        강운선(Kang, Woons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글로벌 시민성 유형을 분석하고 연령, 성별,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 활동경험 등의 변수가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북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사회과 예비교사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중등학교 자격 취득 과목은 역사, 일반사회, 지리 등의 세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군집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글로벌 시민성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령, 성별,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활동 경험 등의 변수가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의 글로벌 시민성은 ‘다중적 시민성(25.1%)’, ‘미숙한 시민성(27.6%)’, ‘국가지향 시민성(20.1%)’. 그리고 ‘이문화 인정주의(27.1%)’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연령, 해외방문경험, 지역공동체활동 경험은 글로벌 시민성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성별과 인터넷/스마트폰을 통한 국제관련 시사 컨텐츠의 접촉 빈도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과교사교육을 위한 방향과 연구의 한계 및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rea, and to identify differential effect of variables such as sex, abroad experience, contact on international news by digital media, and regional community activity on types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05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re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ables on types of global citizenshi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four types: ‘the multiple citizenship(25.1%), ’the immature citizenship(27.6%)’ ‘the nationally oriented citizenship(20.1%)’, and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27.1%). Age, regional community activity, and abroad experience were predictors(p<.05), but sex and contact on international news by digital media were not predictors, The paper includes theoretical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관심기반 선택모형에 근거한 초중고 교사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관심 수준 분석

        강운선(Kang, Woo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중등 학교 교사들의 관심 수준과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관심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6년 11월 1일부터 2007년 1월 10일까지 비확률 표집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관심기반 선택모형을 활용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관심 수준과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관심 수준을 분석한 결과 무관심 단계(단계0)가 80% 정도를 차지하였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관심은 교외연수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 연령대, 근무경력, 학교급, 교내연수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stages of concerns regarding 2009 revised curriculum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total number of 253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a study that assess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concerns regarding 2009 revised curriculum. Preliminary data were analyzed by aggregating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results and developing a profile that provided the average scores for each stage of the individuals in a group. Mean scores were converted to percentiles and plotted following the procedures outlined by George, Hall, & Stiegelbauer(2013). Findings indicated that 80% of teachers in this sample are unconcerned about 2009 revised curriculum and respondents have a little concerns about management. Secondly,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career, school level, and trainning experience in school about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predictors of concern about 2009 revised curriculum. The paper includes implications, a discussion of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청소년 문제 ; 집단상담을 통한 학교생활 부적응자들의 약물남용 예방 방안모색

        강운선(Woon Sun Kang) 한국청소년학회 1998 청소년학연구 Vol.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약물남용자의 약물사용을 중단하게 함은 물론 약물남용 가능자들의 약물복용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효과적인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지각이나 결석이 빈번하여 기본 생활습관 지도 대상자로 지목받은 학생들로서, 집단상담을 위하여 생활지도 대상자 학생들을 비슷한 수로 나누어서 상담자들이 한조씩 담당을 하여 집단상담을 실시하였으며 학생들의 이야기를 해석하는 방법에 의하여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상담을 통하여 학교 생활 부적응 청소년들이 자신에 대하여 알아가고 스스로 인간으로서의 존엄함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을 갖도록 도와주는 데 기여했다. 따라서, 집단상담을 통한 노력들은 청소년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으로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group counseling method most suitable for treating drug-abuse adolescents. Because delinquency is not homogeneous, it is impossible to cover all the subsets of drug-abuse adolescents with only one approach.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it is desirable to treat the drug-abuse adolescent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r type of their deviant behavior. In this report, aggression and low self-concept were assumed to be the principle characteristics of drug-abuse adolesc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assertive traininp and self-disclosure. Adolescents who committed deviant behavior served as subjects. 54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dolescents who join group counseling consider themselves to be respectable. The results implicate the importance of selecting subjects in treating the delinquent adolescents.

      • KCI등재

        제 7차 사회ㆍ문화 교과서의 가족 단원에 대한 비판적 내용 분석

        강운선(Kang Woon-s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2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가족 현상에 관련된 담론이나 우리나라의 가족 현실에 비추어 사회ㆍ문화 교과서의 가족 단원에 반영된 내용의 적합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내용 분석 방법을 수행하였다. 우선 가족 단원의 내용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 연결망 분석 방법을 수행하였으며, 가족 단원에 반영된 편견의 요소를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인 내용 분석을 병행하였다. 질적인 내용 분석의 분석 기준으로 부정확한 정보, 고정 관념, 언어적 편견, 불균형을 설정하였다. 사회 연결망 분석과 질적인 내용 분석 방법으로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구성 범위로서 혼인, 혈연, 입양의 요소를 강조하면서 전통적 관점으로 가족 형태를 정의하고 있었으며, 한부모 가족과 재혼 가족 등의 가족 형태를 가족 문제와 관련하여 다루고 있었다. 둘째, 핵가족화 현상을 가족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서술하는 등 핵가족 형태를 부정적으로 다루고 있었으며, 핵가족과 확대 가족을 구분하는 기준과 특징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부정확한 정보를 제시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셋째, 가족의 기능을 기능론적 관점으로 다루면서 갈등론적 관점에서 제시하는 가족의 계급 재생산 기능 등을 배제하고 있었다. 넷째, 다양한 가족 문제 중에서 노인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으며 경제적 빈곤으로 인한 가족간 갈등이나 가족 내 폭력 등의 문제를 다루지 않고 있었다. 연구자는 집필자들이 가족 관련의 내용을 서술할 때 편견의 요소가 반영될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를 경계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ontents in text is suitable for the changing family phenomena, and to analysis the adaptability of the contents in the social-educational context. For this research, I analyzed the 7th socio-culture textbook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which is the useful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relations of contents. Social Network analysis is a useful tool to excavate the forms of structure or relationship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that arise through relationships or to explain the units composing the system. And I us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oo.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concept of family reflect conservative perspective, alternative family as the homosexual family, one parents family, and form of remarriage family were treated family problem. Second, type of the family of our society was explained extended family and nuclear family, and description of nuclear family and extended family had inaccurate information. Thirdly, main function of family mirror functional theory. Four, family problem which is treated in textbook was the elderly problem. Based on the result, I pointed that writers must recognize the element of the prejudice including in textbook.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을 위한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분석 :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의 활용

        강운선(Woonsun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이 연구는 수업 실행의 선행변수로 보고되고 있는 교사의 태도, 교사의 효능감,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공유적 수업리더십, 비전제시, 전문성 개발) 등의 원인변수가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을 위한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으로서 기능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설문 자료는 2018년 5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온라인 조사와 우편조사를 병행하여 수집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을 위한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통계처리도구로 fsQCA 2.5 버전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태도는 지속가능발전교육실행의 필요조건이다. 둘째, 교사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긍정적 태도와 효능감이 높고, 교장이 공유적 수업리더십과 교사들이 전문성개발을 강조하는 리더십을 발휘하는 조건에서는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기에 충분하다. 셋째,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진 조건에서, 교장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비전 제시와 공유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교사들이 전문성을 개발하도록 강조하는 조건에서는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기에 충분하다. 넷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교장의 리더십이 낮은 경우에도, 교사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긍정적 태도와 효능감이 높은 조건에서는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기에 충분하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을 위한 제안과 후속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Past research on ESD has used two principal approaches: large-N statistical studies estimating average effect sizes, or case studies presenting description. Notably lacking is the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conditions determining ESD implementation. I used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to identify pathways leading to ESD implementation. This study was based on a sample of 164 Korean teachers.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1) A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ESD. 2) I explored three distinct causal conditions that were sufficient to explain ESD implementation. 3) Causal condition 1 feature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combined with high efficacy and high levels of leadership in the two sub-scales of principal leadership ( shared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developing people ) are sufficient to implement ESD. 4) Causal condition 2 features a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combined with high levels of leadership in the three sub-scales of principal leadership ( shared instructional leadership , setting direction and developing people ) are sufficient to implement ESD. 5) The same outcome is achieved with a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and efficacy, even though it is accompanied by low shared instructional leadership , low levels of setting direction , and low levels of developing people .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suggested that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make efforts to include contents and methods related to ESD in the curriculum. Also, I suggested that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clude ESD in their training programs.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hat fs/QCA will be more used for studies to discover causal relations to ES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