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위절제술 후 빈혈에 있어서 Iron Sucrose의 효과

        권인규,송재원,강욱호,오성진,형우진,최승호,노성훈,Kwon, In-Gyu,Song, Jye-Won,Kang, Wook-Ho,Oh, Sung-Jin,Hyung, Woo-Jin,Choi, Seung-Ho,Noh, Sung-Hoo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4

        목적: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에게 있어서 빈혈은 흔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빈혈의 교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빈혈의 치료로서 정맥용 철분제제인 Iron sucrose 사용의 유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외래추적관찰시 헤모글로빈 수치가 11 g/dl 이하인 4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Iron sucrose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후 1주,2주,3주,3개월,6개월 뒤에 각각 혈색소(Hgb), 적혈구용적률(Hct), 혈청철(Serum iron), 총철결합능(TIBC), 혈청페리틴(Serum ferritin), 트란스페린(Transferrin)을 측정하여 효과를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47명의 환자 중 처방대로 치료를 받은 36명이 분석의 대상이 되었고 남자가 11명, 여자가 25명이었다. Hgb은 치료 전과 비교하여 치료 후 1주, 2주, 3주, 3개월, 6개월 후에는 0.6, 0.8, 1.3, 2.1, 2.2 g/dl 상승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각각 P<0.001). 그리고, 각 기간별로 비교하였을 때 3개월까지는 의미 있는 상승을 보였으나 3개월과 6개월 사이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6명(72%)에 있어서는 Hgb이 12 g/dl 이상까지 상승하였다. 한 명의 환자에게 있어서 일시적인 오심이 발생하였고 다른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보고되지 않았다. 결론: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빈혈환자에 있어 정맥용 철분제제인 Iron sucrose 투여한 경우 투여 후 일주일 이내에 Hgb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적어도 3개월까지는 지속적인 Hgb의 상승을 보인다. 위절제술 후 빈혈의 치료로 Iron sucrose는 안전하면서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빈혈을 교정할 수 있다. Purpose: Many patients suffer with anemia after gastrectomy. Iron deficiency due to a decreased oral intake and malabsoption is the most common cause of anemia in gastrectomized patient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administering intravenous iron sucrose for treating patients with anemia.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7 to October 2007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we reviewed 47 outpatients whose hemoglobin levels were below 11 g/dl after gastrectomy. Iron sucrose was used for iron supplementation.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t 1 week, 2 weeks, 3 weeks, 3 months and 6 months after treatment), we prospectively examined such anemia parameters as the hemoglobin level (Hgb), the hematocrit (Hct), serum iron, TIBC, ferritin and transferin. Results: Out of the 47 patients, only 36 completed their treatment. Eleven were male and 25 were female. The Hgb levels, which indicate anemia, were elevated 0.6, 0.8, 1.3, 2.1 and 2.2 g/dl after 1 week, 2 weeks, 3 weeks, 3 months and 6 months after administration, respectively (P<0.001). The changes from 1 week to 3 mon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ose from 3 to 6 months were not. The Hgb levels of 26 patients, which accounted for 72% of all the patients, elevated up to 12 g/dl or more. No side effects or complications were found, but there was one case of temporary nausea. Conclusion: Anemia after gastrectomy is safely treat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with administering iron sucrose. The patients' Hgb levels are expected to increase in a week and keep increasing up to 3 months.

      • KCI등재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Chronicity of Chronic Anal Fissure and Endothelin-1?

        임청호,신현근,강욱호,정승규,양형규 대한대장항문학회 2011 Annals of Coloproctolgy Vol.27 No.5

        Purpose: Many kinds of substances are produced on vascular endothelial activ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an increase in Endothelin-1 (ET-1), the most potent vasoconstrictor, which is produced by endothelial activ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anal fissure and to infer the relationship between ET-1 and anal fissure chronicity. Methods: The study groups a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with 30 subjects each. Group 1 is comprised of healthy volunteers, group 2 of chronic anal fissure patients, and Group 3 of patients with higher than 3rd degree hemorrhoids. Blood samples were taken to measure the ET-1 levels in subject’s serum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for the control groups. Results: Among the 90 subjects, 38 were male, and 52 were female. The average age was 36.8. The average ET-1 level marked 1.47 ± 0.78 pg/mL for male subjects and 1.16 ± 0.47 pg/mL for female subjects (P = 0.02). The average ET-1 level in the patient groups is as follow: 1.21 ± 0.44 pg/mL in group 1, 1.46 ± 0.83 pg/mL in group 2, and 1.20 ± 0.56 pg/mL in group 3 (P =0.14). Conclusion: Group 2, the chronic anal fissure patient group, showed a higher ET-1 level than groups 1 and 3, the control group and the hemorrhoid patient group, but this difference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위절제술 후 빈혈에 있어서 Iron Sucrose의 효과

        권인규,송재원,강욱호,오성진,형우진,최승호,노성훈 대한위암학회 2008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8 No.4

        목적: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에게 있어서 빈혈은 흔하 게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빈혈의 교정이 필요하 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빈혈의 치료로서 정맥용 철분제제인 Iron sucrose 사용의 유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연세대학 교 세브란스병원에서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외래 추적관찰시 헤모글로빈 수치가 11 g/dl 이하인 47명의 환자 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Iron sucrose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 후 1주, 2주, 3주, 3개월, 6개월 뒤에 각각 혈색소(Hgb), 적 혈구용적률(Hct), 혈청철(Serum iron), 총철결합능(TIBC), 혈청 페리틴(Serum ferritin), 트란스페린(Transferrin)을 측정하여 효 과를 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47명의 환자 중 처방대로 치료를 받은 36명이 분석 의 대상이 되었고 남자가 11명, 여자가 25명이었다. Hgb은 치료 전과 비교하여 치료 후 1주, 2주, 3주, 3개월, 6개월 후에는 0.6, 0.8, 1.3, 2.1, 2.2 g/dl 상승하여 통계적으로 유의 한 변화를 보였다(각각 P<0.001). 그리고, 각 기간별로 비 교하였을 때 3개월까지는 의미 있는 상승을 보였으나 3개 월과 6개월 사이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6명(72%)에 있어서는 Hgb이 12 g/dl 이상까지 상승하였다. 한 명의 환자에게 있어서 일시적인 오심이 발생하였고 다 른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보고되지 않았다. 결론: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빈혈환자에 있어 정맥용 철분 제제인 Iron sucrose 투여한 경우 투여 후 일주일 이내에 Hgb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적어도 3개월까지는 지 속적인 Hgb의 상승을 보인다. 위절제술 후 빈혈의 치료로 Iron sucrose는 안전하면서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빈혈을 교 정할 수 있다.

      • 다발성 조기위암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안영재,오성진,송재원,강욱호,형우진,최승호,노성훈 대한위암학회 2008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8 No.4

        목적: 다발성 조기위암은 전체 조기위암 중 4.5∼11.7%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다발성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 징을 조사 분석하여 그 의의를 알아보고 치료방침의 수립 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11년간 연 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위선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한 2,281예의 조기위암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다발성 조기위암은 총 91예(4.0%)였으며 2개의 병변 이 81예, 3개가 9예, 4개가 1예였다. 총 102예의 보조병변 중 64예(62.7%)는 크기가 10 mm 이하였으며 83예(81.4%)는 주병변과 같은 부위에 위치하였다. 가장 흔한 조직학적 분 류는 분화형으로 52예(57.1%)였다. 점막암은 49예(53.8%)였으 며 점막하층암은 42예(46.2%)였고 림프절 전이는 6예(6.6%) 에서 발견되었다. 단발성 조기위암과 비교하였을 때 전체 생존율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다발성 조기위암은 단발성 조기위암과 임상병리학적 으로 매우 유사하며 생존율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 로 다발성 조기위암의 치료에 있어서 일반적인 조기위암 의 치료지침에 준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조기위암의 수술 전후 잔위에 보조병변을 남기지 않기 위하여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다발성 조기위암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안영재,오성진,송재원,강욱호,형우진,최승호,노성훈,Ahn, Young-Jae,Oh, Sung-Jin,Song, Jye-Won,Kang, Wook-Ho,Hyung, Woo-Jin,Choi, Seung-Ho,Noh, Sung-Hoo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4

        목적: 다발성 조기위암은 전체 조기위암 중 4.5~11.7%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다발성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조사 분석하여 그 의의를 알아보고 치료방침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11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위선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한 2,281예의 조기위앙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다발성 조기위암은 총 91예(4.0%)였으며 2개의 병변이 81예, 3개가 9예, 4개가 1예였다. 총 102예의 보조병변 중 64예(62.7%)는 크기가 10 mm 이하였으며 83예(81.4%)는 주병변과 같은 부위에 위치하였다. 가장 흔한 조직학적 분류는 분화형으로 52예(57.1%)였다. 점막암은 49예(53.8%)였으며 점막하층암은 42예(46.2%)였고 림프절 전이는 6예(6.6%)에서 발견되었다. 단발성 조기위암과 비교하였 때 전체 생존율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다발성 조기위암은 단발성 조기위암과 임상병리학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생존율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다발성 오기위암의 치료에 있어서 일반적인 조기위암의 치료지침에 준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조기위암의 수술 전후 잔위에 보조병변을 남기지 않기 위하여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Purpose: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MEGC) accounts for between 4.5% and 11.7% of all early gastric cancers (EGC). We investigated the treatment of MEGC from the viewpoint of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th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2,281 patients with EGC underwent gastric resection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11 years between January 1994 and December 2004 and we carried out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se patients. Results: There were 91 cases of synchronous MEGC (4.0%)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a of Moertel: there were 81 double, 9 triple and 1 quadruple lesions. Of the 102 accessory lesions, 64 (62.7%) were less than 10 mm in diameter and 83 (81.4%) were located in the same region as the main lesion. The most frequent histologic type of main lesion was a well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which was found in 52 cases (57.1%). There were 49 mucosal main lesions and 42 submucosal main lesions. Lymph node metastasis was detected in 6 cases (6.6%): 1 in mucosal lesions and 5 in submucosal main lesions Conclusion: Solitary EGC and MEGC had very similar clinopathological features and a similar prognosis.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general EGC treatment guidelines can be applied for multiple EGC.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whole stomach before and during the operation and then after examining the resected speci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