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석주명의 제주어 연구 의의와 과제

        강영봉 ( Young Bong K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2 탐라문화 Vol.0 No.40

        이 글은 석주명(石宙明)의 제주도총서 가운데 『제주도방언집』, 『제주도자료집』, 『제주도수필』을 대상으로 하여 그의 제주어 연구 의의와 과제를 살펴보는데 있다. 그의 제주어 연구 의의는 첫째 해방 이후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방언집을 출간하였다는 점, ``제주어``라는 명칭을 사용한 점, ``제주어``를 남부어와 북부어로 구분한 점, ``제주어``와 다른 방언 나아가 외국어와 비교한 점, 그리고 ``제주어``를 소재로 한 이른바 언어 수필을 썼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았다. 이는 ``해방후 먼저 우리말을 찾고자`` 하는 석주명의 확고한 언어 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비교언어학의 입장에서 제주어를 같은 어족에 속하는 몽골어와 만주어 이외의 언어와 비교한 점은 비전공자가 지니는 한계이며, ``비바리, 심방, ?삐``의 어원이 잘못 되었음을 지적함으로써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석주명의 제주어 연구는 후학들이 검증과 여러 방법을 통해서 풀어야 할 과제를 남기긴 하였지만 다각적으로 ``제주어``를 연구한 선구자적 의의는 자못 크다. This report focuses on the significance and task of the study of Jeju dialect based on Jeju Island Dialect, Data of Jeju Island and Jeju Island Essays which are parts of A Series of Studies on Jeju Island by Seok, Ju-myeong. He first published a book on dialect as Korean and used a term ``Jeju Language``. Moreover he divided ``Jeju language`` into Southern and Northern Jeju language and compare with other foreign languages. He also wrote some essays on Jeju language. These are why his study is so important and how deeply he was eager to find our language after liberation. As a matter of comparative linguistics, he compared Jeju language with other languages instead of Mogolian and Manchu which are Altaic and it showed his limitation not as a specialist. Etymologies of ``bibari``, ``simbang`` and ``nomppi`` are incorrect as well. These errors are pointed out in this report so it suggests a new task we should take care of. Seok, Ju-myeong, as a pione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tudy of Jeju language in many ways even though he left many tasks we have to solve and demonstrate.

      • KCI등재후보

        지역어와 지역문학

        강영봉 ( Young Bong Kang ) 영주어문학회 2011 영주어문 Vol.21 No.-

        A regional language, a different name of a dialect, is a language traditionally spoken in a particular area to show local people`s thoughts and sentiment. Regional literature is also national literature which expresses local identity and distinctiveness. It contains political and economical conditions, environment, custom, localism, and tradition. There is close connections between the reg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have the united orthography in order that regional literature becomes national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문화와 제주어 ; 제주 사회 통합과 제주어

        강영봉 ( Young Bong K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이 논문은 제주 사회 통합을 위하여 제주어의 기능과 역할을 실증적으로 살 피고 있다. 논의의 출발은 ``언어는 사회적 약속``이라는 점, ``언어는 에네르게이아((energeia)적 요소``라는 점, 그리고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면 그에 대응하는 생 각이나 행동도 다르다``는 언어상대성가설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사회 통합과 관련한 언어적 변인으로 방언에 대한 태도, 세대 차이, 지역적 차이를 들고, 그 변인에 따른 현상을 살폈다. 방언에 대한 태도는 예전에 비해 부정적인 견해가 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자기 방언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하면 세대 간 차이는 심각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 문화와 관련하여 22개의 어휘를 살핀 결과, 전체적으로 22개 모든 어휘의 생태 지수는 50% 미만이었다. 세대에 따라 어휘 사용 빈도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지역적 차이도 발견되지만 이는 세대 간 차이보다는 덜 심각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주 사회 통합을 위해서는 방언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며, 제주 어 교육 강화, 제주 어와 표준어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이중언어 생활을 할 때 제주어가 살아 있는 언어가 될 수 있게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제주 사회 통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리라는 확신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empirically explores the functions of the Jeju dialect to unify Jeju`s society. The argument starts from the premises that "language is a social contract," "language is energeia", and the linguistic relativity hypothesis that "differences in language lead to differences in experience and thought." Attitudes towards the dialect, generation differences, and regional differences are taken as linguistic variables regarding the social unity, and the phenomena with respect to the variables are examined.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dialect tend to alleviate, and males are more favorable to the dialect than females. Compared to this, generation differences show serious aspects. The result from exploring 22 words regarding Jeju`s culture found that overall ecological index of all 22 words was below 50 percent.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vocabulary use among generations, which has to be overcome in the future. Regional differences were also found, but they were less serious than generation differences. In order to integrate Jeju`s society, paradigm shifts in the perception of the dialect are needed. The Jeju dialect can be a living language when the Jeju dialect education is strengthened and bilingualism (the Jeju dialect and standard language) is accepted in the social contex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방언의 어휘론적 연구

        강영봉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95 탐라문화 Vol.0 No.15

        방언 자료 수집은 목적에 따라 조사 항목이 결정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제1차적인 조사 대상은 어휘이다. 이 어휘가 조사 지역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있으며 어떤 의미가 들어있는가에 관심을 둔다. 그런데 어휘 분야는 다른 영역 즉 음운론, 형태론 그리고 통사론과 밀접한 관계에 있어 그 독자성을 부여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의미론적인 방법과 태도를 수용하는 한계내에서 제주방언의 몇 어휘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표준어에 너무 집착하지 않으면서 방언 어휘에 접근한다는 것이 우리들의 입장이다.

      • 濟州島方言의 魚名 硏究

        姜榮峯 제주대학교 1986 논문집 Vol.16 No.1

        This paper deals with the fish names in Cheju Dialect. The rusults obtain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The type of naming a fish are similar to that of the Main Land. 2) Cheju Dialect does not have a infantish fish names, but has such morphemes |-cˇari| |cˇo-| as expressing or meaning small fish. 3) And also we could find the special morpheme |-rani| appeared only in Cheju Dialect. 4) A some special morphemes are found in the different districts. That is to say |-cˇi|, [-rani|, |-tari|. 5) The process of linguistics diffusion is thought to be made first from begining at the southern parts and next to western, eartern part of the is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