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내열성 및 강성을 만족하는 알루미늄 유니버셜 조인트 개발

        강신재(Sinjae Kang),김범석(Beomsuk Kim),김동익(Dongik Kim),김태영(Taeyoung Kim),이흥주(Heungjoo Lee),이익희(Ikhee Lee),우종학(Jonghak Woo),신희택(Heeteak Shin),유용문(Yongmun Ryu) 한국자동차공학회 2020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28 No.5

        This paper introduces technologies relevant to the intermediate shaft of the steering column, namely a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fatigue strength of the extruded aluminum steering shaft. Also introduced is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highly strengthened aluminum intermediate shaft and high-temperature-resistant materials. The existing aluminum alloy material can meet the requirement of ensuring the low weight of vehicles but it cannot ensure acceptable performance of the vehicle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aluminum universal joint with satisfactory heat resistance and rigidity by changing the ratio of the alloy material components.

      • KCI등재

        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을 통해 본 의원들의 투표행태 분석

        강신재(Sinjae Kang),가상준(Sangjoon Ka) 한국정당학회 2020 한국정당학회보 Vol.19 No.4

        본 연구는 제16대 국회부터 제20대 국회까지 본회의에서 표결된 모든 FTA 비준동의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의원들의 표결 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FTA 비준동의안을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각각 여당이었던 시기와, 쟁점의 중요도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의원들의 투표행태를 보다 다각적으로 조명하였다. 17개 FTA 비준동의안에 대한 전체 분석을 통해 의원들의 정당 지위, 이념성향, 지역구 이해관계가 모두 FTA 비준동의안 표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당과 다른 변수 간 상호작용 효과를 통해 여당 의원들은 다른 주요 독립변수들의 영향과 크게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찬성표를 던질 가능성이 높은 반면, 야당 의원들은 주요 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투표행태가 달라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 다른 분석 결과는 국민의힘은 여야지위와 상관없이 모든 상황에서 지역구 농업 이익의 영향을 받는 투표행태를 보인 반면에 민주당은 야당인 경우에만 농업 이익에 민감하다는 차이점을 보여줬다. 이는 국민의힘은 FTA체결에 긍정적이고 민주당은 그렇지 않다는 일반적 평가와는 다른 결과로 FTA 표결에서 정당의 국회 내 위치가 중요하다는 점을 말해준다. 한편, 주요 FTA(한-EU, 한-미, 한-중)와 나머지 FTA를 나누어 분석해 보았을 때 지역구의 제조업 이익이 의원들의 표결에 미치는 영향은 주요 FTA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의원들이 한 가지 요인에 제약되어 FTA 표결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그리고 전략적으로 고려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의원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상당히 전략적인 행위자이기 때문에 의회 정치에서 나타나는 미시적인 측면에 주목한다면 한국 의원들의 행태를 더 다양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what factors influenced lawmakers’ voting decisions by analyzing all FTA ratification from the 16th National Assembly to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 study also examines lawmakers’ voting behavior by analyzing the FTA ratification by dividing it into when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People Power Party was the ruling party. Through an overall analyses of the 17 FTA ratification, the study finds that lawmakers’ party status, ideology, and interests in constituencies have an influence on voting decision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other variables shows that ruling party lawmakers are likely to favor the FTA regardless of the impact of other in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opposition party members sensitively change their voting behavior according to changes in independent variables. Another analysis shows the difference in that the People Power Party are influenced by the agricultural interests in all circumstances regardless of the status of the party, whereas the Democratic Party show a voting behavior sensitive to agricultural interests only in the case of the opposition party. This suggests that the party’s posi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be important in the FTA votes. This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belief that the People Power Party is positive about the FTA and the Democratic Party is not. On the other hand, when analyzing the major FTAs (Korea-US, Korea-China, Korea-EU) and the rest of the FTAs, the impact of manufacturing interests in constituencies on lawmakers’ votes was found only in major FTA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lawmakers are not constrained by one factor to make decisions on FTA votes. Rather, they consider various factors in a complex and strategic way. Since lawmakers are considerably more strategic actors, it is expected to grasp Korean lawmakers’ behavior more diversely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microscopic aspects of legislative politics.

      • KCI등재

        FTA 비준동의안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투표행태 분석: 제18대, 제19대 국회를 중심으로

        강신재 ( Kang, Sinjae ),가상준 ( Ka, Sangjoon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8 의정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제18대 국회와 제19대 국회에서 제출된 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 안 표결에서 의원들에게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 의원들은 표결 결정에 있어 지역구, 소속 정당의 당론, 정치적 이념 중 무엇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았다. 과거 의원들의 행태에 대해 분석한 연구들은 소속 정당과 의원들의 이념이 의원 표결 결정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히고 있다. FTA 비준동의안 표결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가장 놀라운 발견은 의원들의 지역구 변수가 다른 무엇보다 항상 중요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한국 정당의 강한 규율 때문에 정당 영향력이 가장 클 것이라 생각해 보았지만 지역구 변수의 지속적인 영향력을 통해 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 표결에서는 지역구의 이익이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의원들의 선호도를 볼 수 있는 이념 변수의 경우 사안별로, 모형별로 다르지만 투표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원들의 투표행태 분석에서 이념 변수의 측정과 표결에 미치는 영향력을 심층적이고 다각도로 분석해야만 하는 이유라고 하겠다. 여야 변수의 경우 몇몇 모형에서 통계적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모든 사례에서 여-야 균열의 영향력은 꾸준하게 나타났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위의 연구는 다른 연구와 달리 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에 대한 표결을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위의 결과가 의원들의 다른 표결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된다고 볼 수는 없다. 또한, 5개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의원들의 일반적 특징을 논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제16대 국회부터 꾸준히 국회에 제출된 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에 있어 의원들 표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원들의 이념측정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의원들의 이념을 다각적 차원에서 조명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t factors having an effect on voting behavior of legislators in the FTA ratification votes of the 18th and 19th National Assembly. The previous studies show that the ideology and party affiliation of lawmaker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voting decisions of legislators.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se factor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voting on the FTA ratification. Statistical results show three important findings. First of all, we expected that the influence of the party variable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due to the strong discipline of the Korean party.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stituency-interest variabl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all analyses. Likewise, the results show that the influence of ideology variables on voting behaviors is very strong even though its impact is different by cases and models. This indicates that in the analysis of the voting behaviors of legislator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 of ideological variables in depth an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 results reasonably suggest that the party variable be consistently important even though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is not shown in some models. Because the study analyzes the voting on the free trade agreement(FTA) bill, the results may not be commonly applicable to other voting behavior of legislator. Likewise, there is a limit to discuss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awmakers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5 FTA ratifications. Nevertheless, the finding of the study is very significant. This is because it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the voting behavior of the legislators on FTA ratification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steadily since the 16th National Assembly. In addition, the study is very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d the ideological variables of the legislators in various perspectives considering that it is not easy in measuring the ideology of the lawmakers.

      • KCI우수등재

        토픽모형을 사용한 국가 사이버안보 선호 분석

        안정배(Jungbae An),강신재(Sinjae Kang),임혜수(Hyesu Im),황태희(Taehee Whang) 한국국제정치학회 2020 國際政治論叢 Vol.60 No.4

        본 연구는 사이버안보 분야의 국제규범협력의 조건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국가의 선호의제를 분석한다. 사이버공간이라는 독특한 위상 위에서 개념화되는 사이버위협은 그 개념과 범주의 모호성 때문에 전통적 군사수단을 통한 대응이 어렵다. 또한, 신규 안보문제로서 사이버위협 대응에 대한 각 국가의 선호는 각기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하면서 국제 사이버안보 규범협력을 구축하기 위해, 국가들의 선호구조 파악이 필수적이다. 사이버안보 전략에 나타나는 국가들의 주요 선호의제는 무엇인가? 국가들의 의제 선호도는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가? 본 연구는 전 세계 국가사이버안보전략을 수집해 분석함으로써 국가 사이버안보 선호구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최초의 시도이다. 우선, 본 연구는 토픽모형 알고리즘을 포함한 일련의 텍스트처리 기법을 사용해 사이버안보 전략에 나타나는 국가들의 선호의제를 도출한다. 분석 결과, 군사화와 안보딜레마 상황에 주목하는 기존 연구들의 관심과 대조적으로 국가들은 경제적 이해관계 보호(37.56%)에 더 큰 선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선호는 다시, 사적영역 보호와 인프라 및 경제개발에 대한 관심으로 분류되었다. 한편, 전통적 안보대응에 해당하는 규범협력(14.50%)과 군사화(11.02%)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며, 두 의제에서 강대국의 리더십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제 사이버안보 정치에서 경제적 이해관계가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고, 사이버안보 국제규범에 대한 현재의 담론이 향후 높은 변화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암시한다. We analyze the states’ issue preferences to understand the condition of international cybersecurity norms cooperation comprehensively. It is challenging to address cyberthreats with traditional military means as the concept and scope of cyberthreats are hard to define. Also, as a new security problem, each state’s preference for addressing cyberthreats can be differently constructed.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preferences of states to establish international cybersecurity norms cooperation with considering those aspects. What are the main preferences of states in cybersecurity strategies? How are countries’ agenda preferences distributed differently? Our study is the first effort to analyze states’ cybersecurity preferences comprehensively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National Cybersecurity Strategies across the world. To build a comparative dataset from the textual strategy documents, we use a series of text analysis methods including a topic model algorithm. Our analysis shows that, in contrast to the dominant studies that focus on the militarization and cybersecurity dilemma, states have greater concerns in protecting economic interests (37.56%). The economic preference was divided into the protection of the private sector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Meanwhile, traditional security measures, including security norms cooperation (14.50%) and militarization (11.02%), were shown low, and the leadership of great powers on these matters was not found. The results imply that the economic interests can be critical factors in the future international cybersecurity politics, and the current discourse of international cybersecurity politics has a high potential to change.

      • KCI등재

        온라인 정치적 활동이 성소수자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성결혼 합법화와 차별금지법 제정 문제를 중심으로

        후지사키요시애 ( Yoshie Fujisaki ),강신재 ( Sinjae Kang ),진영재 ( Youngjae Jin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9 의정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의 정치적 활동이 동성결혼 합법화와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한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러한 영향이 유권자의 종교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권자의 이념성향이 동성결혼 합법화와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정치활동 정도가 높은 유권자일수록 두 이슈에 대해 찬성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한 태도에서 온라인 정치활동의 영향이 종교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즉, 개신교를 믿는 유권자의 경우 다른 종교를 지닌 유권자에 비해 온라인 정치활동 정도가 높아질수록 차별금지법 제정에 반대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정치활동이 성소수자 권리를 증진하는 제도에 대한 유권자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꾸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에서는 이념 갈등이 주로 외교·안보 이슈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이념 변수의 영향력을 고려해볼 때 앞으로 성소수자 문제에서도 이념 문제가 중요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whether online political activities have an important impact on attitudes toward the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and the anti-discrimination law and whether these effects are different by the religion of voter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deology variab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legalizing same-sex marriage and enacting anti-discrimination law. Second, the higher the degree of online political activities, the more likely they will support two issues. Third, the effect on attitudes toward the enactment of anti-discrimination law has appeared different by religion. In other words, Protestants, compared to other religions, are more likely to oppose the enactment of anti-discrimination laws as the level of online political activities increased. Our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found online political activit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voters' attitudes positively toward the enhancement of the right of sexual minorities. Also, although ideological conflicts are usually intense in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in Korea, the sexual minority issue would be likely to be an crucial as a dimension of ideological conflicts.

      • 단위(Chunks)분석과 의존문법에 기반한 한국어 구문분석

        김미영(Miyoung Kim),강신재(Sinjae Kang),이종혁(Jong-Hyeo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기존의 구문분석 방법은 구구조문법과 의존문법에 기반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구문분석은 다양한 분석 결과들이 분석되는 동안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잘못된 분석 결과를 찾아내어 삭제하기(pruning)도 어렵다. 본 논문은 구문분석에 필요한 의존문법을 적용하기 이전에, 단위화(Chunking)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의존문법에 적용하는 차트의 수를 줄이게 되고, 의존관계의 설정 범위(scope)도 제한을 가할 수 있으며, 구문분석 속도 빨라지게 된다.

      • KCI등재

        유권자의 정치 만족도와 타협에 대한 인식이 국회 신뢰에 미치는 영향: 포퓰리즘 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주현 ( Juhyeon Jeong ),강신재 ( Sinjae Kang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24 의정연구 Vol.30 No.1

        유권자들의 국회 신뢰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단순한 회귀모형을 통해 단편적인 설명을 시도했을 뿐 국회 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개효과를 고려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정치 만족도와 타협에 대한 인식이 국회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포퓰리즘 성향이 매개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21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과 매개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 만족도가 낮은 유권자일수록 정치인들이 블러핑을 한다는 인식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고, 국가적으로 중요한 정책에 대해서 정치인이 아니라 국민들이 결정해야 하며, 직업 정치인이 아니라 시민이 대표되어야 한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치 만족도가 높은 유권자일수록 포퓰리즘 성향이 낮게 나타났고, 엘리트의 타협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유권자일수록 포퓰리즘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정치 만족도와 타협에 대한 인식이 각각 국회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포퓰리즘 성향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권자의 포퓰리즘 성향이 국회 신뢰에 중요한 매개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What are the factors that determine voters’ trust in the National Assembly? Despite the fact that several complex factors work, existing studies have attempted a fragmentary explanation through a simple regression model but have not considered the mediating effect that can affect trust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populism attitudes mediate the effect of political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compromise on trust in the National Assembly. To this end, this study verified the hypothesi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oters with low political satisfaction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at politicians are bluffing. They are also more inclined to believe that, for nationally significant policies, citizens should make decisions rather than politicians and that citizens, not professional politicians, should represent them. Secondly, voters with higher political satisfaction exhibit lower populism attitudes, while those with negative perceptions of elite compromise show stronger populism attitudes. Thirdly, populism attitudes mediate the impact of political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compromise on legislative trust. This study contributes significantly by revealing that voters’ populism attitudes play a crucial mediating role in shaping legislative trust.

      • KCI등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본회의 표결 분석: 의원의 투표결정과 와플링(waffling)

        가상준 ( Sangjoon Ka ),강신재 ( Sinjae Kang ),박민규 ( Minkyu Park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21 의정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의원들의 본회의 투표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논문은 국내의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법안 발의에 참여했음에도 심사배제 청원(discharge petition)이나 본회의 표결에서 반대 의견을 표출하는 와플링(waffling), 그리고 기권을 행사하는 전략적 와플링의 원인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2021년 2월 국회를 통과한 가덕도신공항 특별법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통계적 방법을 통해 의원들의 투표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의원들의 법안발의 참여 요인, 그리고 와플링이 나타난 이유를 살펴보았다. 통계분석 결과, 가덕도특별법 법안의 발의에는 연령, 법안 표결 참여에는 선수와 소속 정당, 법안 찬성 여부에는 소속 정당과 지역구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와플링에 대한 분석 결과 다선의원일수록 표결에 참여하지 않은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의정경험이 많은 의원들이 전략적 와플링을 통해 잠재적 이익을 얻을 것이라 판단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가덕도신공항 법안에 대한 한정된 분석을 통해 국회의원들의 의사결정과 와플링을 이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의원들이 모호한 상황에서 회피 전략을 선택하는 경향이 크다는 다른 연구 결과들을 참고해 볼 때, 그리고 가덕도신공항 법안이 앞으로 미칠 영향력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의원들의 높은 정보력을 감안한다면 단계별 상황에서 의원들이 보여준 의사결정은 의정경험에서 얻은 신중한 판단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단순하게 본회의 표결 찬반 여부에 대해 관심을 갖기보다는 법안 발의 때부터 관심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의원들의 결정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 lawmakers’ voting decisions in the plenary session.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s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waffling and strategic waffling, which express opposition or abstention in a discharge petition or a vote at the plenary session despite participating in a bill sponsorship. The study on waffling is meaningful because it has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literatures. To this end, the Gadeokdo New Airport Special Act, which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in February 2021, was set as an analysis target. The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ed legislators’ voting decisions and participation in bill sponsorship and who were related with waffling.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age variable influenced the motion of the bill while seniority and party affiliation had an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the bill. Likewise, the study found that party affiliation and district had an influence on the approval of the bill. In addition, the analysis of waffling showed that lawmakers with higher seniority tended not to participate in the vote.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lawmakers with more legislative experience judged that they would benefit from strategic waffling.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lawmakers’ decision-making and waffling through a limited analysis of the Gadeokdo New Airport bill. However, given that lawmakers tend to choose avoidance strategies in ambiguous situations, and given the high intelligence of lawmakers who know better than anyone about the future impact of a new bill, the decision-making shown by lawmakers in each stage of the situation is a prudent judgment gained from their experience. It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legislative activities of lawmakers in various ways.

      • 가솔린 직접 분사식 슬릿 노즐의 충돌분무 특성

        송범근(Bhumkeun Song),강신재(Sinjae Kang),김원태(Wontae Kim),오제하(Jeha Oh)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mpinging spray characteristics of a commercialized slit nozzle injector used in a gasoline direct injection spark ignition (DISI) engine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tested injector has a narrow slit at the tip of nozzle, and forms a thin fan-shaped spray. The experimental setup was composed of a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 a impact flat plate with a temperature controller, a spray flow visualization system, and a Phase Doppler Particle Analyzer (PDPA) system. All the test runs were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Ta) and ambient atmospheric pressure (Pa). Normal-heptane was used as test fuel. The droplet mean diameter (SMD) was measured to investigate the atomization effects of impinging spray. The stagnation region, where the surrounding air outside of the free spray met with the developed wall-jet vortex produced at the spray tip, was observed with the mean velocity vector plots. SMDs in the stagnation region were distributed over 50 ㎛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regions of flow field in the iso-SMD contours.

      • KCI등재

        한중 자동 문서분류를 위한 최적 자질어 비교

        임미영(Mei-Ying Ren),강신재(Sinjae Ka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5 No.4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언어학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문서 자동분류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자질어 단위를 제안한다. 언어 종속적 단위인 형태소 자질어와 언어 독립적 단위인 n-gram 자질어 그리고 이들을 조합한 복합 자질어 집합을 대상으로 각 언어의 인터넷 신문기사를 SVM으로 분류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어 문서분류에서는 bi-gram이 F1-measure 87.07%로 가장 좋은 분류 성능을 보였고, 중국어 문서분류에서는 ‘uni-gram?명사 · 동사 · 형용사 · 사자성어’의 복합 자질어 집합이 F1-measure 82.79%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This paper proposed the optimal attributes for text classification based on Korean and Chinese linguistic features. The experiments committed to discover which is the best feature among n-grams which is known as language independent, morphemes that have language dependency and some other feature sets consisted with n-grams and morphemes showed best results. This paper used SVM classifier and Internet news for text classification. As a result, bi-gram was the best feature in Korean text categorization with the highest F1-Measure of 87.07%, and for Chinese document classification, ‘uni-gram+noun+verb+adjective+idiom’, which is the combined feature set,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ith the highest F1-Measure of 82.7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