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에서 전신성 경화증과 HLA-DR 유전자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강성하 ( Sung Ha Kang ),박명희 ( Myoung Hee Park ),송영욱 ( Yeong Wook Song ),차훈석 ( Hoon Suk Cha ),한창완 ( Chang Wan Han ),이은봉 ( Eun Bong Lee ),백한주 ( Han Joo Baek ) 대한류마티스학회 1998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5 No.1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associations of HLA with systemic sclerosis (SSc) in Koreans. Methods: HLA associations with SSc according to SSc-specific autoantibody status and clinical subsets (diffuse and limited) were investigated. HLA-A, B, and C antigens were typed by the serological method using microlymphocytotoxicity test, and HLA-DR by DNA typing method using PCR-reverse hybridization and PCR-SSCP in 56 Korean patients with SSc and 226 healthy controls. For SSc patients, anti-Scl-70 and anticentromere antibodies were tested by double immunodiffusion and indirect immunofluorescence,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of HLA class I antigen typing showed that the frequencies of HLA-A24, B52 and B62 were increased, whereas those of A33, B44 and B58 were decreased in SSc patients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The frequency of HLA-DR2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that of HLA-DR13 was decreased in patients with SSc compared to controls. Among HLA-DR2 alleles, both HLA-DRB1*1501 and *1502 were increased in SSc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According to clinical status, HLA-DRB1*1501 was increased in limited SSc patients and that of DRB1*1502 was increased both in diffuse and limited SSc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According to autoantibody status, HLA-DRB1*1502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nti-Scl-70-positive SSc patients and that of DRB1*1501 was increased in anti-Scl-70-negative SSc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The association of HLA-DR2 alleles with SSc according to clinical subsets and anti-Scl-70 antibody status revealed that the frequency of HLA-DRB1*150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nti-Scl-70-negative limited SSc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HLA-DR2 alleles are associated with different types of SSc in Koreans. HLA-DRB1*1502 shows strong association with anti-Scl-70-positive SSc, and DRB1*1501 with anti-Scl-70-negative limited SSc. It is concluded that the pathogenesis of SSc in Koreans is in part, based on the same genetic background.

      • KCI등재

        사용자 중심의 인포그래픽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수용자 이론 분석

        강성중(Sung Joong Kang),최성한(Sung Han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3

        뉴미디어 중심으로 정보디자인이 발전하면서, 사용자 중심의 정보디자인이 중시되고 있다. 뉴스 정보를 다루는 매스커뮤니케이션에서도 매체 발전에 따라 수용자의 태도와 효과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수용자 이론을 분석하여 정보디자인의 사용자 관계를 규명하여 정보디자인의 적용 가능성 탐색을 목적으로 하며, 수용자 이론 고찰을 위한 문헌 연구와 적용 가능성 검증을 위한 사례 분석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탄환 이론에서 수용자는 수동적 존재로 미디어는 강력한 영향력을 준다. 선별효과에서 수용자는 정보를 능동적으로 선별하여 받아들이기 때문에 미디어는 한정된 효과만을 가진다. 2단계유통 이론에서 수용자는 사회적 관계 속에 정보원을 통해 정보를 받아들인다. 이용과 충족 이론에서 유사 미디어 간의 경쟁이 발생하며, 수용자는 5개의 욕구 유형에 따라 정보를 수용한다. 의제설정기능 이론에서 수용자는 지향 욕구에 따라 이슈를 수용한다. 선별효과 이론에 따라 인포그래픽은 정보 지각 시점에 차별화가 필요하며, 2단계 유통이론은 SNS 환경에서 인포그래픽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이용과 충족이론은 인포그래픽의 다양한 접근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의제 설정기능은 인포그래픽의 주제선정과 표현 방법을 제시한다. 커뮤니케이션 수용자이론은 사용자 중심 디자인에서의 사용자 심성 모델과 유사한 체계를 가지며, 사용자의 니즈(Needs)를 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원칙을 공유할 수 있다. 현재의 정보디자인 흐름을 고려할 때 인포그래픽에 가장 유효한 수용자 이론은 이용과 충족 이론과 의제설정기능 이론이라 할 수 있다. As information design develops based on new media, user-centered design is more important. Masscommunication studies proposed various theories for attitude and effects of audience depending on mediashift. The goals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to apply audience theories of masscommunication for infographics. This study is done by literature research to analyze theories and case studieshow to apply the audience theories for infographics. Bullet Theory regards audiences as passive ones, thus media has strong influence. In Selective InfluenceTheory, audiences accept information selectively and voluntarily, thus media has limited influence. In Two-Step Flow Theory, audiences have socialrelationships and accept information through opinionleaders. Use and Gratifications Theory explains fivetypes of audience needs. In Agenda Setting Function Theory, audiences accepts issues in accordance with intentional needs. According to Selective Influence Theory, differentiation of information perception point is needed forinfographics. Two-Step Flow Theory proposes how toapply infographics in SNS environment.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gives theoretical base for diverseapproach toward infographics. Agenda-Setting The oryexplains how to set the issue and represent infographics. Communication Audience Theories have similarstructure comparing with users’ mental model, andshare the core principle to consider audiences’ needs and behavior first. Considering the trend of informationdesign, Use and Gratifications Theory and AgendaSetting Function Theory are the most effective theoriesfor infographics.

      • 굴삭기의 원격제어를 위한 장착형 조작 시스템 개발

        강성균(Sung Kyun Kang),박형준(Hyung Jun Park),강민성(Min Sung Kang),한창수(Chang Su Han) 대한기계학회 201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1 No.5

        건설 장비와 함께 많은 작업자들은 건물 해체작업이나 재해 복구 등의 매우 위험하고 유해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다. 건설 장비를 운용하는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예상치 못한 문제에 쉽게 노출된다. 위험한 상황에서 무인 제어 시스템을 통해 자동화된 건설 장비를 운영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것임에는 분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이런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원격 제어 시스템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다중 이음쇠 형태의 전달 메커니즘을 적용한 장착형 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굴삭기 조작기와 개발하는 장착형 조작기의 워크스페이스를 매핑함으로써 기존의 굴삭기가 가지는 고유의 작동성을 유지하면서 원격 조작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한다. Many works with the construction machines have been under dangerous and harmful situations such as building dismantlement, disaster restoration and so on. Most of operators who deals with construction machinery are easily exposed to unexpected problems. Under dangerous circumstance, it is evident to be more efficient to utilize the automated construction machinery operated by unmanned control system. Thu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about developing this kind of system. In this research, the existing remote control systems hav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and multi-yoke type applied in the form of transfer mechanism is developed. Also, the joystick of excavator and development of installation type manipulator through the mapping of the workspace, the same as the existing method of operation of the excavator work ing directly the excavator will enable the same behavior.

      • KCI등재

        소상공인의 채널 확장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채널 가입 기간을 중심으로 -

        강성한 ( Kang Sung Han ),이철성 ( Lee Chul Sung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4

        온라인 광고 플랫폼과 배달앱으로 대표되는 O2O플랫폼이 우월적 지위를 바탕으로 소상공인에 대한 불공정 행위를 하고 있다는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향후 시장자체의 존립기반과도 연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매스미디어를 이용하기 어려운 소상공인의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소비자 접점을 확장해주는 이러한 온라인 채널의 증가는 신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논란은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 또는 온라인 채널 확장으로 인한 중간유통단계 증가와 이에 따른 비용 증가와 맞물려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 채널과 온라인 채널에 대한 소상공인의 비용 지출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려 한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광고 또는 O2O플랫폼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인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총 460개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채널과 온라인 채널에 대한 비용지출을 독립변수로 하고 매출액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식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가입 초기에 매출에 미치는 영향과 일정 기간이후에 미치는 영향을 Chow test를 통하여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소상공인의 온라인 채널 확장으로 광고비용 증가는 매출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채널 중 포털 광고와 앱 광고가 매출향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입기간이 2년을 초과한 소상공인에게는 이러한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는 소상공인의 온라인 채널 확장으로 인한 비용 증가와 이에 따른 매출 증가를 실증분석하였으며, 학문적으로는 기존 광고비용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흐름에 일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상공인의 매출향상을 위한 정부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unfair controversy over small business is continuing on the basis of the superiority of the O2O platform represented by online advertising platforms and delivery apps. This problem is also a very important issue that links to the foundation of the market itself. For small business owners who are not able to use mass media, the increase in online channels, which are relatively inexpensive and expand consumer contacts, is also an opportunity to create new demand. Nonetheless, this controversy is associated with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mall busines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intermediate distribution channels due to the expansion of online channel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 of small business owners' expenditure on sales on offline and online channel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small business who have used online advertising or the O2O platform, and obtained a total of 460 samples. On the basis of this,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constructed by using expenditure on offline channels and online channel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ales as dependent variables. Chow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ubscription period.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increase of advertising cost by the expansion of online channels of small business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sales. Specifically, portal advertising and app advertising among online channels have a positive effect on sales growth. On the other hand, this effect did not appear for small business whose subscription period exceeded two years. Finally, through this discussion,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ncrease of expenses and the increase of sales due to expansion of online channels of small business, and academically contributed to the flow of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advertising costs and firm performance .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to improve sales of small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