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19세기 여성 효열(孝烈) 담론 일고찰

        강성숙 ( Sung Sook Ka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6

        본 논문은 19세기 여성 인식이 그 시대적 변화와 맞물리면서 어떻게 지속되고 변화하는지를 살피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여성의 효행과 열행에 대한 평가가 드러나는 문집의 자료를 대상으로 검토했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 활동한 문인들이 쓴 여성 행장, 묘지명 등의 자료를 검토한 결과, 이 시기 대부분의 여성 기록은 효행과 열행에 주목하여 여성의 생애를 재구하고 있었다. 거의 모든 여성의 기록이 효열 담론의 영역에서 거론될 수 있음은 효/열행이 여성의 삶을 평가하는 보편적 도덕 기준으로 자리잡았음을 말해준다. 이를 통해 19세기가 효열담론이 절실히 필요했던 시기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19세기 여성 효열 관련 기록은 기술 방식과 그 지향에서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째, 몇 백 년 전 과거의 인물을 다시 기록하거나 당대의 인물에 관한 기록이라고 하더라도 그 집안에 효열로 이름난 조상들을 함께 배치하는 경향이 확대된다. 둘째, 하층민의 극단적 열행 기록이 증가하고 하층민 내부에서도 열행에 대한 적극적 평가가 드러나 교화의 범위를 하층민에게까지 넓히고 있음이 드러난다. 셋째, 열행이 효행 또는 충과 관련성 속에서 의미화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양상은 19세기라는 불안한 격변의 시대를 겪으면서 여성의 열행을 통해 전통 사회의 근간이었던 가치를 회복하려 애썼던 상층 남성 지식인들의 도덕적 결단과 맞물려 있다고 본다. 19세기 효열 담론에서 거론되는 여성은 오로지 효녀 또는 열녀로서만 그 존재의 의의를 인정받게 된다. 점점 더 강화된 효/열의 기준은 과거/누대 기록의 재편성이라는 방법을 동원하여 ``지금/여기``에 없는 典範적 실체를 구현해내도록 했다. 그 과정에서 순절 열녀의 열행을 神聖化하는 허구적 기술이 노골적으로 드러나는데, 이러한 양상은 효열 담론이 당대 사회의 현실적 맥락에서 의미를 지니지 못하고 허구적 영역에서만 존재하는 것임을 방증한다. 19세기에 오면 순절한 여성에 대해서만 열녀로 인정하는 데 반발하여 살아남은 여성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를 요청하는 글이 많아진다. 그렇지만 이들 여성은 늘 정절과 관련한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산 자로서의 삶을 누리지 못한다. 이는 순절열녀가 죽은 후에 열녀로 영원히 살게 되면서 자기 존재를 입증받는 것과는 다르다. 철저하게 고립된 삶을 살면서 정절 위해의 순간에 늘 과감히 생을 포기할 것을 요구받는다는 점에서 효열담론은 살아남은 여성에게 폐쇄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ttempted to find out the aspects of the awareness for women in the 19th century. For this purpose, I reviewed about 1,170 articles〔墓誌, 行狀, 行錄, 遺事, 論, 書 etc.〕 in the miscellanies of the literati bookman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Most documents that depict the women`s life are centered around the filial duty〔孝〕 and chastity〔烈〕. Almost documents are concerned with the discourse on the filial duty and chastity〔孝烈談論〕, it implies that the conduct of filial/ chastity is settled down the universal moral evaluation of women`s life. The literati bookman in the 19th century felt the desperate need of the discourse on the filial duty and chastity because they sure the discourse on the filial duty and chastity could enlighten the people fell into the moral hazards in the precarious age. The characteristic of the documents for women filial duty〔孝〕/chastity〔烈〕 in the 19th century are as follows. (1) It is recorded the past figures who were dead a few hundred years ago again, and tend to put together the contemporary portraits with the ancestors who were famous for the filial duty/chastity. (2) It is increased that the documents deals with the excessive filial/chastity conduct of the lowest class people, and even the people of the lowest classes has been internalized actively the meaning of the filial duty/chastity. (3) The chastity conduct connects to the filial conduct, and the loyalty 〔忠〕 frequently. These aspects are correlating with the moral determination of the male intellectuals that tried to restore the traditional values against the turbulent time in the 19th century. The women in the discourse of the filial duty/chastity could not be the subject ordinary, but could be recognized the meaning of existence only when they become a filial[dutiful] daughter/chaste woman. The description of the women in the discourse of the filial duty/chastity was more and more mystified in order to embody the ideal character that is not exist actually, and went to be closed in the meaning that women bereft of her husband are always forced to live isolated and required give up their lives at every moments in threatening their fidelity.

      • KCI등재

        업신(神) 설화의 종교 경험적 의미와 여성

        강성숙(Kang Sung sook)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9

        조선시대 유교는 여성에게 신앙이나 제의의 주체가 될 기회를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성들은 민간신앙인 무속이나 가신신앙을 적극 수용하여 스스로 신앙의 주체가 되고 종교 제의의 주재자가 되는 경험을 했다. 가정의 재복신이자 수호신인 업신은 설화에서 그 형상이 뚜렷하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보통 공간을 이동하는 인물을 따라 그 존재를 드러낸다. 업신의 이동성은 재물이나 행운이 끊임없이 옮겨다니는 것이며, 재복이 누구에게라도 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상징한다. 또한 업신은 출현이나 존재 이유를 알 수 없는 비의성(秘儀性)을 특징으로 한다. 언제 어디에서, 왜 나타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업신은 언제 어디서나 옮겨 와서 옮겨가지 않기를 애써 기원하는 신앙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업신은 대체로 부유한 곳에서 가난한 곳으로 이동하는 특징을 보이는데, 특히 여성이 매개가 되는 경우에 이러한 특징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가난한 삶 속에서 변화의 가능성은 다른 곳에서 편입되는 새로운 인물에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것이라 하겠다. 업신을 만들어내 스스로 부자가 되는 가짜 업신 이야기의 중심은 업신 신앙을 이용해 자신의 의도를 성공시키는 당찬 며느리에게 있다. 주인공 며느리는 새로 편입된 가족 구성원의 질서를 따르지 않을뿐더러 기존의 질서를 깨뜨리며 정면으로 맞선다. 가짜 업신 이야기에서 업신의 신성성은 여지없이 속화되고 업신 신앙 자체도 희화화되기에 이른다. 더 이상 업신의 관념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데 이야기 향유자들은 동조한 것이다. 또한 가짜 업신 이야기는 유교적 합리주의에 기반한 절용의 미덕을 더 이상 옹호하지 않는다. 가족이 당면한 현실은 절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회 경제적 기반 자체가 부의 재분배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므로 이야기의 주인공은 애초의 질서를 부정하고 새로운 질서를 찾기 위해 속임수를 동원하는 것이다. 가짜 업신 이야기는 부의 흐름을 소통시키고 재편하는 존재가 합리적 경제관념을 지닌 여성이라는 지점에서 업신 설화의 종교적 성격과는 차이를 드러낸다. 가정의 수호와 번영을 위해 업신을 모시고 기도하던 여성이 가짜 업신 설화에 오면 가정에 당면한 문제를 직접 적극적으로 해결하기에 이른다. 가족 내부의 질서와 부의 윤리를 재편하여 자신의 가족뿐 아니라 친척 모두가 고루 먹고 살 수 있도록 만든 가짜 업신 설화의 며느리는 가신신앙의 주재자로서의 역할을 넘어 그 자신이 스스로 가족의 안위와 번영, 더 나아가 일가친척의 행복까지 책임지는 업신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가족 구성원을 먹여 살리는 실질적 가장의 역할을 여성에게 지운 것은 약자이며 타자인 여성에게 가하는 이중의 의무로 볼 수도 있겠지만, 여성을 현존하는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바깥의 존재로 인식하고 기대한 것은 여성의 역할을 인정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Women in Joseon Dynasty have had an experience of being the subject of faith accepting the deity of their family positively. The Deity Eup that is a divinity bring a family riches does not appear clearly, but usually it shows up following the characters move around. The Deity Eup moves around getting into the mover(a merchant or a mendicant priest etc.)'s load. It implies that the property and the fortune moves constantly, and anyone can get the fortune. The Deity Eup is not seen it's existence and the reason of the emergence, but mostly it moves from a wealthy place to a poor place, and wome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movement. The Fake Deity Eup tale is the story that takes advantage of Deity Eup faith and ridicules it. The daughter-in-law, the Fake Deity Eup tale's central figure is the character who does not follows new family's order that she marries into, and besides, destroys the existing order and confronts it. She secularizes the Deity Eup and fabricates the Fake Deity Eup in order to overcome the new family's poverty. The Fake Deity Eup tale does not defend the value of conservation based on confucian rationalism, but advocates reasonable sense of economy. Many women in the traditional society believed the Deity Eup in order to protect their family from harm and prosper the family property. They played a subject role in the life of faith. Women in the Fake Deity Eup tales solves the problems in the family independently and directly. The order within the family and thought about being rich are reorganized in the Fake Deity Eup tales. The daughter-in-law in the Fake Deity Eup tale took on a role of the Deity Eup itself by making the family happy and being better off and won recognition for her existence in one's clan and society. The Fake Deity Eup tale shows that women in the traditional society have been requested the role of solving the family's immediate problem, and people who enjoyed the story have cherished great expectations for the better life on women who are newly incorporated into their own famil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예체능 계열 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강성숙 ( Sung Sook Kang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41

        본고는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계열별 글쓰기는 이공계열을 중심으로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예체능 계열 글쓰기의 경우 글쓰기를 활용하는 전공 교육 연구 차원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글쓰기 교육 영역에서는 예체능 계열 학생들에게 필요한 작업노트나 포트폴리오, 광고문, 감상문, 운동일지 등 실용적인 글쓰기 연습을 제안하는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다. 본고는 계열별 글쓰기 교육 연구 성과를 토대로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 사례를 제시하고자 했다. 예체능 계열 학생들의 경우 학습 부담을 줄이면서도 기본 글쓰기 과정과 실용적 글쓰기를 함께 경험할 수 있는 융합 과정이 더욱 필요하다. 필자는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전공 밀착형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 시행된 방법의 보완책을 함께 제시했다. 기획과 논평 과제는 ‘주제 설정-자료 조사-자료 분석과 해석-개요 작성-쓰기-퇴고’의 글쓰기 기본 과정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학습 주체로 하여금 글쓰기의 기본기를 익히면서도 전공과 관련한 주제의식을 구성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글쓰기의 기술적 연습에서 나아가 인문학적 소양과 깊이를 갖추기 위해서는 앞으로 고전을 포함한 다양한 읽기 자료 활용이 요청된다. This article has been attempting to find the ways of writing education for the college students major i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he research on the writing education along with the major was mainly made to target the Department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 the case of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he writing education research was mostly made on the curriculum of a major subject education. In the area of the writing education, the studies that propose the practical writing exercises, such as a task notes, a portfolio, an advertisement draft, a reports, a exercise journal has been done. I would like th propose an effective education practices for the students major i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existing writing education research results. For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tudents, The convergence process while reducing the learning burden, could experience both the basic writing process and the practical writing is needed. Therefore I proposed a major community-based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actual teaching practice, and was presented with a complement of enforcement methods. By writing such as a proposal writing and review, the students challenges a basic course in writing, “theme settings - Data Survey -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 Summary writing - writing ? elaboration”, in this process the learners can practice the basics of writing and consider the topics associated with their major. In addition, I devised ``specify readers system`` for modifying the articles multiple times. To be able to modify number of times, I made several steps in the writing process, ①the planning stage→②draft→③presentation→④revision→⑤final modifications. Furthermore, in order to equip the humanistic sensibility and profound mind as well as technical knowledge, a variety of reading materials including the classics are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신격의 탈신성화와 <꼬부랑 할머니>의 서사 전략

        강성숙(Kang Sung sook)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6

        본고는 구비서사 <꼬부랑 할머니> 전승 과정에 창조 신격의 탈신성화 가능성을 진단해보고, 할머니와 개를 중심으로 이 작품의 서사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했다. <꼬부랑 할머니>는 특히 경상남도 지역에서 많이 구연되며, 구연자는 노년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는 지역에 기반한 믿음체계와 이 서사가 연관되어 있으며, 노년 여성의 세계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는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꼬부랑 할머니> 서사의 주요 공간은 높은 산인데, 이는 수호신인 산신이 비범한 능력을 보여주는 공간과 일치하며, 주요 행위가 배설이라는 지점에서 창조신격과도 연관되는 지점이 있다. 특히 창조 신격의 희화화의 과정이 <꼬부랑 할머니>에서 본격화되었으며, 가축화된 개의 행위는 꼬부랑 할머니의 비속화를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꼬부랑 할머니>는 느슨한 서사적 개연성에도 불구하고 행위에 대한 즉각적 반응과 반복되는 어휘의 짜임으로 견고한 틀을 유지해왔으며, 향유층인 노년 여성의 소수자 배려, 세계에 대한 재해석이 반영되면서 전승을 이어왔다 하겠다. This thesis saw that the oral tradition narrative <Crooked Old Woman> was the de-sanctity of the divinity of the Creator, and wanted to reveal the narrative meanings of the character that appeared in this piece. The tale of <Crooked Old Woman> was the most talked about in Gyeongsang Province(76%), and the storytellers were overwhelmingly dependent on the old women. The main space in the <Crooked Old Woman> narrative is high mountains, this is the place where the guardian deity (Mountain-Guardian) showed their transcendent ability. Also, the Crooked Old Woman’s main act is the excretion, this is consistent with the creator’s behavior in the myth of creation travestied. The tale of <Crooked Old Woman> has been passed on reflecting on the old women’s care ethics for minority and reinterpreting the world.

      • KCI등재

        초등학교 진로독서 교육과정 연구

        강성숙 ( Kang Seongsook ),이상우 ( Lee Sangw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정부 정책적으로도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초등 진로 독서교육의 현황과 실제 수업계획안 등을 통해 바람직한 초등 진로 독서교육의 활성화 방향을 정립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현행 진로독서 교육이 초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의 목표에 미흡한 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진로독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적시한 진로교육 목표에 맞춰 진로독서교육이 이뤄져야 함을 검토하였다. 즉, 진로독서교육은 자기이해와 관계이해, 진로직업탐색, 진로계획과 진로체험 등 세 가지 영역에서 독서 활동을 통해 어떻게 진로교육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교육과학기술부 및 서울시 교육청 그리고 공공도서관 진로독서프로그램의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새롭게 학년별 선정도서 및 진로독서프로그램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the invigoration of a desirable, elementary reading education by looking a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lementary career-related reading education through an actual class plan proposal and others of the like in the reality in which the interest in the career-related education has been heightening socially and in the government polic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current, career-related reading education had a point that was inadequate in relation to the goal of the elementary school subject `Career Path and Job.` As a result, for the invigoration of the career-related reading education, it was examined that a career-related reading education must take place to fit the goal of the career education which was pointed out in the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the year 2009. Or, in other words, the career reading education must focus on how the reading activities can be appli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s of the career-related education in the three domains of self-understanding and the relationship understanding, the career and vocational searches, the career path plans and the career path experiences. In this regard, based on the critical examination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career-related reading programs of the public libraries, the selected books by grade and a proposal regarding a plan for a career-related reading program were newly presented.

      • KCI등재

        성(性) 정치(政治)로 본 상사뱀 설화 -여성형 상사뱀 설화를 중심으로-

        강성숙 ( Sung Sook Kang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39 No.-

        이 논문은 ``여성형`` 상사뱀 설화를 대상으로 섹슈얼리티의 위계화 방식과 성정치의 맥락을 파악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상사뱀이 되는 여성이 겪는 ``상사뱀 되기``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고, 상대 남성의 범주에 따라 ``상사뱀 만들기``가 어떤 중층적 위계를 형성하는지 알아보았다. 상사뱀 설화는 사랑이 경험되고 표현되는 구체적 현장인 몸(신체)에 일어나는 구체적 권력 관계를 다룬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사랑을 불가능하게 하는 사회 구조와 권력의 위계 문제를 다룬다고 하겠다. ``여성형`` 상사뱀 설화는 사적·개별적 감정인 사랑의 영역에 권력이 어떻게 개입하고, 권력 관계에서 배제되는 대상을 어떻게 타자화하는지 잘 보여주는 텍스트다. 여성이 경험하는 ``상사뱀 되기``는 신분이나 계층과 무관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거세당하여 스스로의 욕망을 드러낼 수 없는 여성의 모습을 보여준다. 주체적 욕망이 허락되지 않던 여성은 상사뱀으로 몸을 바꾸어 탈주의 가능성을 보여주지만 상사뱀이 되어서도 인간(여성)의 규범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한다. 또한 여성 상사뱀 설화의 남성 인물은 가부장적 사회질서와 국가권력의 대변자이거나 권력의 위계 속에서 타자화되는 존재로 드러난다. This paper was planned to identify that the sexuality is hierarchical and the sexual politics is reveals in the female type sangsa snake tales. For this end, I looked at the aspects and meaning that women become sangsa-snake and checked the complicated hierarchy that the male characters in the female type sangsa-snake tales organize. Sangsa snake tales deal with the specific power relations about the body that actually do love. More precisely, it deals with the social structure and hierarchy of authority that make impossible to love. The female type sangsa-snake tales show the way how the power intervene in the private and individual area, and it make the person who is excluded from the power a stranger. The aspects that women become a sangsa-snake represent the appearance of women that are neutralized their voice and are not allowed to reveal their own desire regardless of the status and hierarchy. Women who were not allowed to reveal their own desire show the possibility of a runaway by being a snake in the female type sangsa-snake tales. But they still exposure the limits that donot stray from the norm. In addition, the male characters in the female type sangsa-snake tales make themselves the strangers who are neglected in the patriarchal social order and state authority in the hierarc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