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행시뮬레이션에서 프레임율과 현실감을 고려한 계층형 구름 구현 방안

        강석윤,김기일,Kang, Seok-Yoon,Kim, Ki-Il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1

        비행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시 구름효과 구현을 위한 대표적인 연구로는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한 구름 모델링과 텍스쳐 맵핑을 이용한 구름판 모델링이 있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 낮은 프레임율을 야기하는 반면, 후자의 경우는 비행 시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구름판 모델링 방법에 현실적 효과를 더 할 수 있도록 카메라에 안개효과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안을 OpenSceneGraph를 사용한 대용량의 맵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실험 한 결과 기존의 구름판 모델링 방법에 비해 1~2Hz 정도로써 프레임은 거의 차이가 없었고, 현실적 효과 측면에서는 파티클을 이용한 구름 모델링 방법과 비슷하게 자연스럽고 현실적인 효과를 보였다. There are two main technologies to implement cloud effect in flight simulator, cloud modeling using particle system and texture mapping. In former case, this approach may cause a low frame rate while unrealistic cloud effect is observed in latter case.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how to apply fog effect into camera to display more realistic cloud effect with high frame rate. The proposed method is tested with massive terrain database environment through implemented software by using OpenSceneGraph. As a result, compared to texture mapping method, the degree of difference on frame rate is 1 or 2Hz while the cloud effect is significantly improved as realistic as particle system.

      • 항 흉선세포 말형청글로불린에 대한 즉시형 과민증의 예측에 있어서 피부반응시험과 특이 IgE 항체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이현주(Hyun Joo Lee),임의진(Eui Jin Yim),지서영(Seo Young Ji),강석윤(Seok Yoon Kang),서유진(Yu Jin Suh),조재웅(Jae Woong Cho),김선신(Sun Sin Kim),이수걸(Soo Keol Lee),남동호(Dong Ho Nahm),박해심(Hae Sim Park),김현수(Hyun Soo Kim),남동기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00 천식 및 알레르기 Vol.20 No.6

        N/A Background: Horse antithymocyte globulin (ATG) is a useful treatment for aplastic anemia and fo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rom HLA-mismatched donors, Mortality due to anaphylactic reaction to horse ATG has been reported. We evaluate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kin test and specific IgE measurement for the prediction of immediate 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to horse ATG. Subjects and methods :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5 patients who received horse ATG. Underlying diseases of the 25 patients included aplastic anemia (n=20), leukemia (n=3), lymphoma (n=1), and Gaucher's disease (n=1). Skin prick test was done on these patients using undiluted ATG solution (Upjohn, USA) with duplication. Specific IgE to ATG was detec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immunoblot analysis. Results : Skin prick test was positive in 7 (28%) of 25 patients. None of the patients showing negative skin prick test experienced immediate 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to ATG. All patients showing positive skin prick test received desensitization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a full dose of ATG. However, 3 of 7 patients showing positive skin prick test experienced immediate 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one of them died of anaphylaxis. Specific IgE measurement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as not useful in predicting immediate 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to ATG because of nonspecific bindings. Specific IRE measurement using immunoblot analysis was only positive in the one patient who died of anaphylaxis. Conclusion : Skin prick test was clinically useful in the prediction of irnmediate 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to horse ATG, but specific IgE measurement was not. Further studies might be needed to develop an in vitro test for the prediction of immediate 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 to horse ATG.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 986-42, 2000)

      • 3D 광학 스캐너를 이용한 인체모형 팬텀 표면 데이터 획득 및 X-ray 에너지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Cs)을 이용한 팬텀 선량 평가와 영상구현

        신준봉(Jun-Bong Shin),이도희(Do-Heui Lee),윤경준(Kyoung-Jun Yoon),박민재(Min-Jae Park),고영문(Young-Moon Go),김성우(Sung-Woo Kim),홍승모(Seung-Mo Hong),이현철(Hyun-Cheol Lee),이의섭(Ui-Seob Lee),노선영(Seon-Yeong No),강석윤(Seok-Yoon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21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21 No.-

        목 적: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이하 CT) 스캔 방법 대신 3D 광학 스캐너 (3D optical scanner)를 이용하여 인체모형 팬텀의 표면 데이터를 획득하고 기존 CT 스캔 표면 데이터와 3D 광학 스캔 표면 데이터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며, 3D 광학 스캔 표면 데이터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MCs)에 적용하여 일반 촬영 에너지조건으로 팬텀 선량 평가와 영상 구현을 연구하는 것입니다. 연구방법: 일반촬영의 선량 평가를 위해 환자 표면 데이터를 얻을 때 3D 광학 스캐너를 활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우리는 3D 광학 스캐너(Go!SCAN SPARKTM, CREAFORM) 사용하여 기존 CT 스캔 방법을 대신해 인체모형 팬텀의 표면 데이터를 얻었습니다. 3D 스캔 표면 데이터를 정렬하고 편집하기 위해 Meshlab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3D slic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T 스캔 표면 데이터와 3D 스캔 표면 데이터 차이를 정량적으로 비교분석 하였습니다. 또한 3D 스캔 표면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VXelements, CREAFORM)을 사용하여 인체 모형 팬텀의 재현성을 평가 하였습니다. SpekCal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ray beam 에너지 스펙트럼을 계산하고 Geant4 기반의 MCs인 TOPAS를 이용하여 X-ray Beam을 모델링 하였습니다. 인체모형 팬텀을 MCs에 적용 하여 일반촬영 에너지 조건으로 팬텀 선량을 평가하고 Phase space data 통해 영상을 구현을 연구 하였습니다. 결 과:3D slicer를 이용한 CT 스캔 표면 데이터와 3D 광학 스캔 표면 데이터의 정량적 비교 분석에서 Hounsdroff distance는 Average 2.45 mm, Dice coefficient는 0.97로 나타나 CT 스캔 표면 데이터와 3D 스캔 표면 데이터가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인체모형 팬텀 재현성 평가에서 인체모형 팬텀의 AP position, RAO position, LAO position 기준으로 팔이 있는 팬텀의 error distribution은 2 mm 오차 범위에서 평균 89.78%가, 4 mm 오차 범위에서 96.05%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팔을 제외한 경우 error distribution은 2 mm 오차 범위에서 평균 96.48%가, 4 mm 오차 범위에서 99.45%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3D 광학 스캐너의 표면 데이터 재현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체모형 팬텀을 이용한 3D 스캔 표면 데이터를 MCs에 적용하여 전신일반촬영 에너지 조건으로 팬텀선량 평가가 가능하며, Phase space data 통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결 론:본 연구에서 3D 광학 스캐너를 사용한 인체모형 팬텀 데이터 획득은 기존 CT scan 방식보다 간편하고 방사선 노출 없이 다양한 위치와 균일한 표면 구조의 정보를 정밀하게 얻을 수 있으며 MCs을 이용한 선량계산이 가능하며, Phase space data 통해 영상을 구현이 가능함에 따라 앞으로 일반촬영 분야의 활용과 선량평가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 됩니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acquire surface data of anthropromophic phantom using 3D optical scanner instead of conventional computed tomography (CT) scanning method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existing CT scan surface data and 3D optical scan surface data. also it is to apply 3D optical scan surface data to Monte Carlo simulations (MCs) to study whether phantom dose evaluation and image implementation are possible under general shooting energy conditions. Targets and Methods:We suggest utilizing a 3D optical scanner when obtaining patient surface data for dose evaluation of normal photography. We obtained surface data of anthropromophic phantom instead of conventional CT scanning methods using 3D optical scanners (Go!SCAN SPARKTM, CREAFORM). The Meshlab program was used to sort and edit 3D scan surface data, and the CT scan surface data and 3D scan surface data differences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using the 3D slicer program. The reproducibility of the dummy phantom was also evaluated using the 3D Scan Surface Data Analysis Program (VXelements, CREAFORM). Using the SpekCalc program, the X-ray beam energy spectrum was calculated and the X-ray beam was modeled using TOPAS, a Geant4-based MCs. We applied the anthropromophic phantom to MCs evaluate the phantom dose in X-ray energy conditions and study whether the image can be implemented through phase space data. Result:Quant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CT scan surface data and 3D optical scan surface data using 3D slicer showed that Hounsdroff distance was Average 2.45 mm and Dice coefficient was 0.97, indicating a close match between CT scan surface data and 3D scan surface data. In addition, the anthropromophic phantom reproducibility assessment shows that the error distribution of the phantom with arms by AP position, RAO position, and LAO position of the anthropromophic phantom averaged 89.78% in the 2 mm error range and 96.05% in the 4 mm error range. MCs using anthropromophic phantom confirmed that 3D scan surface data can be applied to Monte Carlo simulation to evaluate phantom dose under X-ray energy conditions through phase space data. Conclusion:In this study, anthropromophic phan tom data acquisition using 3D optical scanners is simpler than conventional CT scan methods, provides precise information of various locations and uniform surface structures without radiation exposure, enables dosing using MCs, and enables image implementation through phase space data.

      • KCI등재

        증례 : 특발성후복막섬유증 2예에 대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의 유용성

        박태진 ( Tae Jin Park ),이명희 ( Myoung Hee Lee ),김형일 ( Hyoung Il Kim ),강석윤 ( Seok Yun Kang ),최진혁 ( Jin Hyuk Choi ),김효철 ( Hugh Chul Kim ),윤석남 ( Seok Nam Yoon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6

        Idiopathic retroperitoneal fibrosis is a relatively rare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proliferation of fibrous tissue with an inflammatory process in the retroperitoneal cavity. It can cause an obstruction and compression of the ureter, abdominal aorta, and finally progress to renal failure. During the initial stages, the histology shows active inflammation. However, in the late stages, fibrous scarring occurs and the tissue becomes relatively avascular and acellular. Increased 18F-FDG accumulation was observed in our patient at the time of disease onset, which was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inflammatory cells and actively metabolizing fibroblasts. We describe two patients with idiopathic retroperitoneal fibrosis, who were examined by 18F-FDG-PET, and discuss the efficiency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diopathic retroperitoneal fibrosis patients. (Korean J Med 71:688-693, 200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