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IS를 이용한 도시토지이용의 입지특성 및 변화 파악 방법 - 강남 신시가지를 대상으로 -

        강병기,권일,김태현,Kahng, Byong-Kee,Kweon, Ihl,Kim, Tae-Hyun 한국공간정보학회 199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5 No.1

        토지이용계획은 도시계획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문이며, 다른 부문별 계획의 시발점이 되는 동시에 최종적으로 다른 부문별 계획과의 조화를 추구한다. 바람직한 토지이용계획은 현실세계에서 관찰되는 토지이용의 행태와 메카니즘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토지이용입지와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여러 가지 요인들과 시계열적 토지이용현황 자료들을 토지이용정보체계로 구축하는 과정과 방법을 제?고 토지이용정보체계를 활용하여 토지이용 입지특성 및 변화과정에 대한 공간적 분석 및 해석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GIS를 이용한 토지이용정보체계의 구축을 통하여 토지이용의 입지특성 및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을때, 도면정보의 손쉬운 정량화가 가능하며, 도면정보와 속성정보를 결합하여 동시에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분석의 결과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도 가능하여 분석의 결과에 대한 설명력을 보다 객관화하고 계량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리고 GIS와 기존의 각종 통계소프트웨어와 연계하여 분석할 수 있어 분석의 유의도, 잔차 등을 통합된 수치만이 아니라 모형에 적용하여 나타난 결과를 즉시적으로 공간화하여 시현해보고 현실과 비교해 봄으로써 결과의 지역적 편차를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모형의 수정 및 개선이 용이하고 지역적 편차의 원인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다. Urban land use planning is the most important core-part, and it is the start and synthetical plan of the other part, in the urban planning. For the desirable urban land use planning draw out the spatial locational character and change of urban land use. The propose of tills study is building methodology of Parcel-based Urban Land use Information Svstem(P-bULlS) and it's apphcation methodology that can be used urban planning or land use planning. To this end, each and all of the land parcels of Kangnam area was analyzed. P-bULIS should be able to easily analyze the spatial locational character and change of land use in the region. And It should be able to the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spatial analysis, and spatial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can be done at relatively low cost by linking the software of statics to P-bULlS.

      • 도시형 생활주택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원룸형주택의 건축기준을 중심으로 -

        강병기,윤창근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0 부동산경영 Vol.1 No.-

        This study is to develop some complementary measures of construction codes of one room type urban living homes which is in great need for relieving small size housing demands from city residents. Through related literatures and construction laws reviews, 4 indicators and measurement scales for evaluating urban housing systems has been developed, that is, safety, convenience, amenity, economics. Through a questionnaire study, a variety of interest group were responded for current construction codes and recommended to ease up some compulsory clauses of entrance gates of residents and parking lot requirement and emergency exit ladders. Also this study propose some incentive measures of total construction area rations when the concurrent constructing lots are side by side.

      • KCI등재
      • KCI등재

        토지 용도가 인근지역 지가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읍면동 지역 지목 분포를 중심으로-

        강병기,김종삼 대한부동산학회 2018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6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price of the land by the land category. Analyzed numerous information of the land category, official land price, and building register for the research. In addi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dvanced research, setting up the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and proving hypothese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land price level on the local market decided by the composition of five land category (fields and paddies, forest land, site, road).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each land use on land level price has been prove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region (metropolitan, small city, rural, metropolitan area). However, the influence of building density on four kind purpose of commercial buildings(Sales, business, accommodation, multipurpose play facilities) was sm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objective land price level determination in the process of the evaluation of the real estate price and if developed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and price level calculation model for the second level of the large amount of appraisal. 본 연구는 지목이 지역별 지가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공개된 대량의 지목, 공시지가, 건축물대장 정보를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설을 입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세분된 지역시장에서는 5가지 지목(전, 답, 임야, 대지, 도로)의 구성비에 따라 지가수준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지목의 지가수준에 대한 영향력은 지역이 종류(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수도권)에 따라 다른 것이 입증되었다. 다만, 상업용 건축물의 4가지 용도별 건축물밀도의 영향력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상업용 건축물의 4가지 용도별 건축물밀도의 영향력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부동산 가격평가 등의 과정에서 객관적인 지가수준 판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발전시키면 2차수준의 대량감정평가를 위한 지가수준계산 모형을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부동산 공시가격의 수평ㆍ수직적 형평성 변화 연구

        강병기,서진형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2 부동산경영 Vol.25 No.-

        In this study, it was checked whether the government's public real estate price realization policy was implemented as announced. In addition, we analyzed how much the tax equity (horizontal and vertical) of the announced real estate price has improved due to the realization. And it was carried out to suggest a direction for desirable policy implementation. For this purpose, data on publicly announced prices and actual transaction prices of apartment houses, detached houses, and land across the country for the past five years were collected. Then,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the optimal methodology for tax equity analysis was selected and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prove the hypothesis,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reflection ratio of the official real estate prices collected was calculated. And outliers were removed according to the modified interquartile range method. And horizontal equity was analyzed through the coefficient of quantile (COD). And vertical equity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Clapp model. In the process of vertical equity analysis,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est the hypothe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analyzed during the verification process, a plan for improving the realization of the announced real estate price policy was suggested. The verification result is as follows. Hypothesis 1 (the rate of reflection of real transaction prices in real estate prices for the past 3 years has risen every year) was partially adopted. Hypothesis 2 (horizontal equity of public real estate prices improved every year due to an increase in the reflection rate of actual transaction prices) was also partially adopted. In addition, the third hypothesis (the vertical equity of the announced real estate price would have improved every year due to the increase in the reflection rate of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was also partially adopted. Using the results of other studies, various measures to improve the realization of published real estate prices are suggested as follows. The first is that it is desirable to calculate the realization rate for detached houses based on the individual house price and the realization rate for land based on the official individual land price. Second,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nounced balance index (COD) and the calculated COD is large, the calculation criteria should be reexamined. Third, a re-examination is necessary because the realization rate of the townhouse villa and the official land price is decreasing. Fourth, since there is a problem in the realization rate or horizontal equity of detached houses and land, the government should intervene more actively in the calculation of the published price of Si/Gun/Gu.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isclose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data including the published price.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부동산공시가격 현실화 정책이 발표한 것과 같이 추진되었는지 여부와 현실화로 인하여 부동산공시가격의 조세 형평성(수평적, 수직적)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 바람직한 정책 추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과거 5년간의 전국의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토지의 공시가격과 실거래가격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조세 형평성 분석을 위한 최적의 방법론을 선정하고 3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입증을 위하여 수집된 부동산공시가격의 실거래가반영률을 계산하고, 수정된 사분위수범위 방법에 따라 이상치를 제거하였으며, 분위계수(COD)를 통해 수평적 형평성을 분석하고, Clapp모형을 적용하여 수직적 형평성을 분석하였으며, 수직적 형평성 분석 과정에서는 분위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가설을 검증하고, 검증 과정에서 분석된 결과를 감안하여 부동산공시가격 현실화 정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검증 결과 최근 3년간 부동산공시가격 실거래가반영률은 매년 상승하였을 것이라는 제1가설은 연립빌라와 토지의 공시가격에서는 채택되었으나, 아파트와 단독주택 공시가격에서는 채택되지 않았다(부분 채택). 실거래가반영률 상승에 따라 부동산공시가격의 수평적 형평성은 매년 개선되었을 것이라는 제2가설의 경우 연립주택과 토지 공시가격은 채택되고 아파트와 단독주택은 기각되었으며, 실거래가격이 30억원 이상인 가격대에서는 기각되었다(부분 채택). 또한, 거래가반영률 상승에 따라 부동산공시가격의 수직적 형평성은 매년 개선되었을 것이라는 제3가설은 실거래가격을 기준으로 구분한 대부분의 분위에서 수직적 형평성 문제가 소폭 완화되기는 했으나, 0.05분위와 0.95분위에서는 매년 역진적 형평성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되었다. 기타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다양한 부동산공시가격 현실화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첫 번째는 단독주택에 대한 현실화율은 개별주택가격을, 토지에 대한 현실화율은 개별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며, 두 번째는 발표한 균형성 지수(COD)와 계산된 COD의 차이가 크므로 산정 기준을 재점검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정부의 발표와는 반대로 연립빌라와 토지 공시지가의 현실화율이 감소하고 있으므로 재점검이 필요하고, 넷째는 시․군․구청장이 공시하는 단독주택과 토지의 현실화율이나 수평적 형평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정부에서는 시․군․구의 공시가격 산정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하며, 다섯째는 공시지가 산정 과정에서 수직적 형평성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실거래가격 공개에는 공시가격을 병기하는 등이 방법을 통해 공시가격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적통계 프레임워크 기반의 신규 지적통계 지표 개발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에 관한 연구

        강병기,김재명 한국지적학회 2019 한국지적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index of cadastral statistics with the use of a variety of spatial information included in Korea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telligence System. Previous studies and relevant laws were reviewed to define cadastral statistics and come up with the framework of cadastral statistics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establish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riteria of cadastral statistics index fitting the framework. And then, according to the framework, the index development direction, and the criteria, a variety of spatial information managed by Korea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telligence System was applied to compile  304 types of cadastral statistics index for new development. To review the validation of 304 types of cadastral statistics index, this researcher made sample statistics in simulation. For statistics of the sample statistics, its faithfulness and usefulness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view result, fitness of the 304 types of cadastral statistics index was analyzed. As result, As the statistics which can be developed as new cadastral statistics index, there were six types of stock statistics and two types of flow statistics. Regarding the drawn eight types of statistics index, their development usefulness and development validity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relevant works, opinions of relevant experts, and framework.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below Statistics of land use, Statistics of publicly notified individual land price, Statistics of land move, Statistics of cadastral register opening types of new cadastral statistics index.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ology of developing these types of statistics index. 본 연구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에 포함된 다양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지적통계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된 것으로, 선행연구와 관련 법령 등을 검토하여 지적통계를 정의하고, 지적통계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작성하였으며, 프레임워크에 적합한 지적통계 지표 개발 방향과 기준을 설정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작성된 프레임워크와 지표 개발 방향, 기준 등에 따라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다양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신규 개발이 가능한 지적 통계 지표 304종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304종의 지적통계 지표의 타당성을 점검하기 위해 우선 시뮬레이션을 통해 표본 통계를 작성하였으며, 작성된 표본 통계에 대해 통계로서의 충실성과 유용성을 점검하였다. 충실성 및 유용성 점검 결과를 근거로 304종의 지적통계 지표에 대한 통계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한 결과 신규 지적통계지표로 개발이 적합한 통계는 현황(stock)통계 6종과 변동(flow)통계 2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8종 통계 지표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관련 전문가의 의견, 프레임워크 등을 감안하여 개발용이성과 개발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토지이용현황통계, 개별공시지가수준통계, 토지이동통계, 지적공부등본열람통계의 신규 지적통계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이들 통계 지표를 개발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 특집 - 역사적 문화환경의 보존과 재생 : 도시속의 역사문화 환경 (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 in Urban )

        강병기 대한건축학회 1996 建築 Vol.40 No.7

        최근에 우리 국민은 우연찮게 도시 속에 자리하는 역사와 문화적 자산에 관하여 새삼 생각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었다. 그 첫째는 구 조선총독부건물의 철거를 둘러싼 찬반 논의였고, 두 번째는 경부고속전철노선의 경주 시가지 통과안에 대한 찬반 논의였다. 구 조선총독부건물의 경우는 서울이라는 도시 속에 어찌 보면 오랫동안 존재해 왔고 좋건 나쁘건 역사적 의미를 가져왔던 구조물을 철거하여 서울이라는 도시에서는 물론 이 지상에서 말소해없애고자 하는 결정이었다.

      • KCI등재

        지역별 지목 구성비율이 지가수준에 미치는 영향

        강병기,김선주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8 부동산경영 Vol.17 No.-

        본 연구는 토지시장에서 지목이 시장 지역의 지가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공개된 대량의 지목, 공시지가, 건축물대장 정보, 통계 정보를 분석하 여 활용하였다.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설 을 입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시군구 지역에서는 14개 지목의 구성비에 따라 지가수준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에 지역요인 변수를 추가할 경우 모형의 설명력이 크게 높아진다. 기 타 건축물이용밀도나 지역의 유형(대도시, 중소도시 등)의 영향력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향후 부동산 가격평가나 타당성평가 과정에서 객관적인 지가수준 판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국민은 보다 효율적인 부동산활동이 가능해질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land prices on land price level in the market area. A large amount of landmarks, public land prices, building register inform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land price level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14 branches in urban area. In addition, when the regional factor is added to the model,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increases significantly. Other buildings have a smaller impact on the density of use and type of area (large cities, small cities,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objective price level determination in the course of the real estate price evaluation and feasibility evaluation, which will enable more efficient real estate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