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기감지기의 설치위치별 작동특성에 관한 연구

        강두호(Doo Ho Kang),황의홍(Euy Hong Hwang),최한빛(Han Bit Choi),최돈묵(Don Mook Choi)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화재감지기는 화재 시 생성되는 연소생성물을 감지하여 화재사실을 인지한다. 특수한 목적의 용도를 제외하고는 주로 열과 연기를 이용한 화재감지기를 사용하고 최근 연기감지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제품검사에 대한 불합격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재감지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 기준(NFSC 203)에 따라 설치방법이 규정되어 있는데 연기감지기는 30m 이내마다 1개 이상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NFSC 203 해설서에는 0.5~1㎧의 속도의 내부풍속 조건을 가정하여 30~60s 이내에 어떤 위치에서도 화재감지가 가능해야함을 규정의 근거로써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기감지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작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연기감지기와 비교대상으로써 열감지기 및 열전대를 설치한 Mock-up에서 목재화원을 이용한 화재실험을 실시하고, 연기감지기의 특성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조건의 Mock-up에 가시거리를 구현한 화재시뮬레이션(FDS)을 실시하였다. 실험과 FDS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감지기의 작동과 연소생성물의 확산특성을 확인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열감지기 및 열전대를 통해 측정된 온도값은 순차적으로 상승하였고, 연기감지기를 통해 측정된 감광율과 가시거리는 순차적으로 변화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과 FDS의 DB의 연기감지기의 감지시간에 NFSC 203의 해설서 명시된 복도에서의 내부풍속 값과 감지기 기술기준의 감도시험 풍속값을 적용하여 연기감지기의 작동시간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해설서의 기준을 적용한 풍속 값을 대입하였을때 감지시간이 초과됨을 알 수 있었고, 감도시험기준을 적용한 풍속 값은 시간 내에 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실제 화재 발생 시 맞바람 급⋅배기설비의 작동 등 풍속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 되면 감지기가 작동하기 어려워져서 Fail-safe의 관점에서는 안전을 확보했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감지기의 설치간격을 줄이거나 내부풍속조건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감지시간의 지연을 방지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 국내외 일산화탄소 화재감지기 시험기준 분석

        강두호(Doo Ho Kang),황의홍(Euy Hong Hwang),최한빛(Han Bit Choi),이성은(Sung Eun Lee),최돈묵(Don Mook Choi)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최근 2018년 강원도 강릉펜션 일산화탄소 누출 사고, 2019년 전주 여인숙 화재 사고 등 일산화탄소로 인한 인명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화재들에서 인명사고의 주된 원인은 일산화탄소 등 유독가스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한 일산화탄소의 발생을 감지하고 경보하기 위해서 국내외에서는 관련 연구 및 법령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실규모 일산화탄소 화재감지기 시험 관련기준(이하 CO 관련기준)을 분석함으로써 국내에 일산화탄소 화재감지기 도입 시 요구되는 시험기준을 모색하고자 한다. 국내 규격으로는 소방청고시(화재안전기준,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등)와 KS 규격(KS B 7240-6)을 확인하였고 국내 기준과 연관성이 있는 미국(UL 268,217), 국제(ISO 7240-6,9) 그리고 영국(BS EN 54-26)의 규격을 확인하였다. 국내 기준과 연관성이 있는 국외 기준을 분석하여 CO 관련기준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소방청 고시로써 감지기의 우수품질기준 및 세칙은 UL 268/217과 유사성을 확인하였고 해당 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polyurethane foam smoldering test 및 cooking nuisance smoke alarm test에서 CO 관련기준이 제시되고 있다. KS 규격 중 KS B ISO 7240-6에서만 화재시험인 Test File 2,3,9를 제시하여 CO 관련기준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국제표준규격인 ISO 7240-6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만, ISO 7240-6에서는 각각 화재시험에서 유효성 기준에 일산화탄소 profile을 제시하였지만 profile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KS 규격 중 KS B ISO 7240-6과 유사한 표준규격으로 ISO 7240-9, BS EN 54-26 등에서는 유효성기준 등 세부기준에 대한 설명이 존재하였다. 결론적으로 KS 규격에서는 일산화탄소 화재감지기에 대해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NFSC 등 소방청고시에도 CO 관련기준을 반영하도록 정책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관련 국외 표준규격 및 기준을 참고하여 국내 실정에 맞도록 일산화탄소 화재감지기를 복합형화재감지기 등의 형태로 반영하는 방향도 고려해야 한다.

      • 거주공간 내 그람음성 세균 분포 현황

        배일권(Il Kwon Bae),강두호(Doo Ho Kang),김선민(Seon Min Kim),배영민(Yeong Min Bae) 한국구강보건과학회 2017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Vol.5 No.1

        Indoor environments of house and family member can become contaminated with potential variety bacteri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ccesses the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indoor environments of house contaminated bacterial strains. We sampled living room floor, bathroom floor, bathroom knob, bottom of bathtub, refrigerator, refrigerator handle, desk, table, sink, bottom of shoes rack, hand of family member, nose of family member, and toilet bowl. All samples were cultured on blood agar media (BAM) and MacConkey agar media (MAM). The colonies grown on each media were identified with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a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using MALDI Biotyper and 16S rDNA sequencing. Fifty-five isolates on BAM and MAM were identified as Acinetobacter soli (n=8), Acinetobacter lwoffii (n=6), Acinetobacter baylyi (n=3), Acinetobacter pittii (n=3), Acinetobacter baumannii (n=3), Acinetobacter junii (n=2), Acinetobacter radioresistnes (n=1), Aeromonas hydrophila (n=3), Aeromonas jandaei (n=1), Enterobacter cloacae (n=5), Enterobacter aerogenes (n=4), Klebsiella pneumoniae (n=1), Moraxella osloensis (n=1), Massilia timonae (n=1), Pseudomonas oryzihabitans (n=5), Pseudomonas aeruginosa (n=2), Pseudomonas mosselii (n=1), Pseudomonas stutzeri (n=1), Raoultella ornithinolytica (n=2), Serratia marcescens (n=2).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oor environments of house and family members were contaminated with variety nomal flora and nosocomial bacteria.

      • 목재화원을 이용한 구획환경에서 일산화탄소의 화재감지특성

        최한빛(Han Bit Choi),황의홍(Euy Hong Hwang),정수빈(Su Bin Jung),이지호(Ji Ho Lee),강두호(Doo Ho Kang),이성은(Sung Eun Lee),최돈묵(Don Mook Choi)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연기감지기는 에어컨 실외기실, 다목적실, 취침시설로 사용하는 장소 등에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소형주택 또한 그 대상이다. 2022년 2월부터 주택법 시행령 등에서 도시형생활주택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면서 원룸형 주택이 소형주택으로 명칭이 변경되고, 면적 또한 50㎡에서 60㎡로 증가했다. 면적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소형주택의 수가 과거 원룸형 주택의 경우처럼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거실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다양한 가연물 등에 의해 화재로 인한 피해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형주택을 재현한 구획환경에서 목재화원을 이용한 화재 초기단계를 구현하여 일산화탄소의 화재감지특성을 확인하였다. Mock-up은 60㎡ 이하의 소형주택으로써 연기감지기의 적응성이 있는 복도와 다목적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원이 시작되는 Room1에 광학농도계를 설치하였으며, 각각의 위치(Point)에 일반형 및 아날로그형 연기감지기와 일산화탄소를 측정할 수 있는 환경 센서를 설치하여 화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일산화탄소의 수치는 ISO 기준인 최소 60ppm 이상, 분당 상승률은 1ppm/min 이상을 준용하였다. 화원의 크기는 목재 기둥(6개) 180 ± 10g을 사용하였으며, 초기 착화를 위해 에틸알콜 10ml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구획환경에서 발생한 목재화원을 이용한 화재 초기단계에서 각각의 위치에 설치된 일반형 연기감지기가 작동하였을 때 각각의 위치에서 일산화탄소의 측정값이 ISO 기준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산화탄소의 측정값이 60ppm 미만의 농도이면서 분당 상승률이 1ppm/min 미만일 경우 화재감지용으로 적응성이 있는지는 단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일산화탄소를 화재감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농도 및 분당 상승률에 대해 ISO 기준을 준용하고,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농도 및 분당 상승률의 경우를 위해 사용하여 연기감지기와 복합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 시나리오 역할 게임을 통한 신속 시스템 설계/검증 방법 : 패키지 응용 시스템을 대상으로 for Package Based System Implementation

        예도경,이용재,강두호,최열현 한국경영과학회 1998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

        Recently, many enterprises wish to preoccupy competitive positions in the market by motivating themselves towards CALS(Commerce At Light Speed), and try hard to achieve system implementation with the use of new concept-based backbone systems such as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or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However, unfortunately there is an inevitable discrepancy during implementation period between package vendors and customers due to lack of clear methodology and misunderstanding about system. In some cases, consensus on partially verified system design invokes customers’ continuous change demands and often it tends to result in unnecessary project delays. PDM application system implementation project of the company L has been studied here to solve these sorts of problems. The major yields of this work are achievement of a willing approval from customers and rapid system design under a time-limited and conceptually defined project scope, and finally, through fully verified system design, we were able to reach successful system im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