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시간 화상 수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실습 교육에 대한 초등학생 및 교사의 만족도 분석

        강두봉,박한숙,Kang, Doobong,Park, Hansuk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실습 교육과정을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운영한 후 학습자 만족도와 교사 심층 인터뷰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실재감, 수업전반, 상호작용, 실시간 화상 수업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재감, 수업전반, 상호작용, 실시간 화상 수업 만족도는 다소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간 화상 수업 참여환경과 수업 만족도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모두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경우 학생들의 개인별 PC 환경 및 수업 교구에서 발생하는 문제, 모둠 활동에서 학생들간의 상호작용, 부진 학생에 대한 개별 피드백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간 화상 수업 참여환경에 대한 사전 안내, 수업 교구의 사전 점검 안내문 및 예비부품 제공, 보조강사를 활용한 부진 학생 및 접속 오류 지원, LMS를 활용한 개별 과제 피드백 실시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learners' satisfac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fter operating a software practical curriculum as a real-time video class for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presence, class overall, interaction, and real-time video class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sence, class overal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with real-time video classes was somewhat hi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real-time video class participation environment and real-time video class satisfaction, but it wa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teachers, it was difficult to respond to problems occurring in each student's individual environment,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individual feedback problems for a sluggish student. To solve this problem, opinions such as preliminary guidance and verification of real-time video class connection environment, error support for sluggish students and individual class participation environment, and feedback on individual tasks using LMS were suggested.

      • KCI등재

        부모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 -

        김영환 ( Kim Younghwan ),이승민 ( Lee Seungmin ),강두봉 ( Kang Doob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부모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선정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 283건의 부모교육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대상, 연구방법의 내용분석을 하였고, 논문별 주요 주제어 빈도분석을 통해 주제어간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네트워크분석을 하였다. 기초적 동향분석 결과, 부모교육 연구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부모교육 프로그램 수행이 포함된 151건의 연구에서 오프라인 형태가 압도적이었다. 논문별 주요 주제어의 전체 빈도분석에서는 `프로그램`, `어머니`, `영유아` 순으로 높게 나왔다. 연구대상별 주요 주제어 빈도분석 결과, 영·유아, 초등학생 연구는 `어머니`가, 청소년 및 기타 연구는 `예비부모`, `부모역할` 등이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네트워크분석에서는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효과`가 영향력 높은 노드로 분석되었고, `교사`, `다문화가족` 등 은 부모교육 네트워크의 중심에 근접하지 않았다. 또한 연구대상별 네트워크분석 결과를 통해 연결정도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제언으로 부모유형 및 생애주기에 따른 부모교육을 위한 청소년 이후 자녀 대상 부모교육 연구와 부모교육 방법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에서 부모교육과정의 설계 및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Parent Education, to provide basic data of Parent Education research and to select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e analyzed the contents of 283 articles related to Parent Education by year,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nd we also analyzed the frequency of major keywords in each article and did Network Analysis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keywords. As a result of the basic trend analysis, the study on Parent Education was the highest in young children and the number of off - lin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overwhelming. In the Frequency Analysis of major keywords in each article, `program`, `mother`, `infant and child` were higher than ot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whole Network Analysis, `effect` was analyzed as a highly influential node except `program`. And `teacher` and `multicultural family` were not close to the center of Parent Education network. In addition, we compared the relative center of degree of conn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etwork Analysi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Parent Education research considering parent type and life cycle should be conducted, discussion about Parent Education method is needed, and a theoretical approach to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as Parent Education course is needed.

      • SW교육 연구 주제 동향 분석

        정주훈 ( Juhun Jeong ),이승민 ( Seungmin Lee ),강두봉 ( Doobong Ka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 No.2

        본 연구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SW교육 관련 연구들이 학계에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2012년 이후 학술지 및 학술발표대회 논문집에 발표된 총 88편 연구물들의 연구주제를 대상으로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해 연구주제들이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앞으로의 SW교육의 방향 정립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