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에 전이된 활막육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1 예 보고 -

        강동욱,민성기,강길현,강대영,Kang, Dong-Wook,Min, Sung-Kyi,Kang, Gil-Hyeun,Kang, Dae-Yung 대한세포병리학회 1993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4 No.2

        Synovial sarcoma us a rare malignant neoplasm of the soft tissue arising in the lower extremity, inguinal area, and upper arm. The majority occurs in patients between the age of 15 and 40 years. The histologic diagnosis is based on the classical biphasic type with the distinct epithelial and spindle cell components. We have recently encountered a case of metastatic synovial sarcoma of the lung diagnosed by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A 34-year-old man was admitted because of a palpable mass on the antero-lateral side of the right tibia for 3 years. On admission, a well demarcated metastatic pulmonary nodule, measuring 5 cm in diameter, was also identified in the simple chest X-ray. Resection of the lower leg mass revealed typical histologic features of biphasic synovial sarcoma. Aspiration cytology of the pulmonary nodule revealed numerous clusters of spindle cells admixed with groups of epithelial cells. The epithelial cells had moderate-sized, round to oval shaped, and hyperchromatic nuclei. The cytoplasm was clear, but not distinctive. Interspersed tell elements were fibroblast-like spindle cells having elongated hyperchromatic nuclei.

      • 웨이브릿 패킷 영역에서의 방향성 벡터양자화

        강동욱,Kang, Dong-Wook 대한전자공학회 1998 電子工學會論文誌, S Vol.s35 No.6

        A method is proposed for directional vector quantization using the wavelet packets. After partitioning the wavelet packet coefficients into 9 edge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s, it encodes and transmits locally dominant edges. The directions of the edges are encoded with a variable length coding and conditional switching of codebooks, while the contents of them with the vector quantization followed by the variable length index coding. The proposed algorithm is superior to various conventional image coding algorithms in the sense of PSNR, which is relatively more significant at very low bit rate such as 0.1~0.3 bpp. As the proposed algorithm preserves the edge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or the human visual system, it also provides the reconstructed images of good subjective quality even at very low bit rate. 웨이브릿 패킷을 이용한 방향성 벡터양자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영상에 대한 웨이브릿 패킷 계수들을 대응되는 방향에 따라 9개의 에지로 분할한 후, 국지적으로 지배적인 에지들을 부호화하여 전송한다. 에지의 방향은 조건부 부호책 교환이 있는 가변길이부호화를 통하여 부호화하며, 에지의 내용은 벡터양자화와 그 인덱스의 가변길이부호화를 이용하여 부호화하였다. 제안된 부호화기법은 기존의 여러 영상압축기법에 비하여 PSNR 성능이 우수하며, 특히 0.1~0.3 bpp의 낮은 부호율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욱 우수하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인간시각특성상 가장 중요한 에지 정보들을 보전함으로써, 낮은 부호율에서도 우수한 주관적 화질을 나타낸다.

      • KCI등재

        리놀레산 대사체들의 글루쿠론산 결합화합물 합성

        강동욱,Kang, Dong Wook 대한화학회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6

        리놀레산과 그 대사체는 여러 가지 다양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고, 카복실산 작용기를 갖는 물질이다. 일반적인 카복실산 화합물들은 간에서 UGT Glucuronosyl transferase 효소에 의해서 글로쿠론산이 결합된 대사체의 형태로 발견된다. 결과적으로 리놀레산 대사체들의 잠재적인 대사체로 이 화합물들의 글루쿠론산 결합화합물들이 될 수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리놀레산의 대사체로 알려진 두 종류의 에폭사이드 대사체와 두 종류의 다이올 대사체에 글루쿠론산의 결합 반응을 통하여 네 종류의 잠재적인 리놀레산 대사체들을 합성하였다. Linoleic acid and its metabolites have various medicinal effects with carboxylic acid functional group. General carboxylic acid compounds are discovered as glucuronide metabolites by UGT glucuronosyl transferase at liver. Consequently, glucuronides of linoleic acid metabolites are expected as potent conjugated metabolite. A previous study reported two epoxide metabolites and two dihydroxy metabolites of linoleic acid. There are prepared their glucuronic acid conjugated compounds as potent linoleic acid metabolites.

      • KCI등재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형사소송의 상소절차에 미친 영향

        강동욱(Kang, DongWook) 한양법학회 2009 漢陽法學 Vol.28 No.-

        The Constitutional Court established at Sep. 1988 in Korea. It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extension of the human rights during last twenty years. Korea has been transformed from authoritarian society to democratic one since the 6.29 Declaration in 1987. In respond to this change the Criminal Procedure Act has been amended to improve the criminal judicial system and to obtain proper penalty right on the criminal procedure. Especially the June, 2007 amendment Criminal Procedure Act has achiev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curing the criminal procedure system for guaranteeing the defending right of the suspect and the accused as a whole. Such transformation undeniably has been support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for securing human right so far. The conclu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s to procedures of trial has put the assurance of the due process of law and the human right in the first place.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about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bout proceedings of criminal appeal. And then I will study how the law and the system have been transformed around them.

      • KCI등재

        기획논문 -대소헌 조종도의 행적과 사상 : 대소헌(大笑軒) 조종도(趙宗道)의 성학과정(成學過程)과 의리정신(義理精神)

        강동욱 ( Dong Uk K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8 No.-

        忠毅公 大笑軒 趙宗道 (1537~1597)는 남명 선생의 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아 招諭使 金誠一 (1538~1593)과 함께 왜적을 물리치는데 큰 공을 세웠고, 1597년 丁酉再亂 때 안음현감 郭준(1551~1597)과 함양 黃石山城에서 왜장 加藤淸正이 인솔한 적군과 싸우다 장렬히 순국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대소헌은 어릴 때부터 家學 또는 지역의 先輩 학자들로부터 익힌 공부를 비롯해 본격적으로 남명에게서 배운 학문의 지결을 몸소 실천하였다. 곧 義理精神을 근간으로 한 그의 학문적 바탕이 국가가 누란의 위기에 처했을 때 목숨을 초개같이 버려 仁을 이룰 수 있었다고 본다. 대소헌은 평소 국가에 재난이 있으면 관직이 있고 없고를 막론하고 선비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평소 배운 대로 실행하여 하늘의 떳떳함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세상을 잊고 자신만을 깨끗이 간직하는 것을 능한 일로 삼아 명예만 얻으려는 사람은 옳은 것이 아니고 문무를 겸비하고서 옳은 일에 몸 바칠 각오가 되어 있는 사람이 올바른 선비라고 주장을 했다. 이러한 주장을 말로만 한 것이 아니라 몸소 실천함으로서 선비의 전형을 보여준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Chunguigong Daesohun Cho jongdo was pupil of scholar Nammyung, who made a big contribution to defeat the enemy Japan with Choyousa Kim seongil (1538~1593) by raise up forces at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he is widely known for one who died heroic for our country when he fight with a Japanese general Kato Kiyomasa′s troops with Hyungam of Anum, Jung Jun, in Hwangsuk mountain fortress in Hamyang at 1597. Jungyoujaeran. Since childhood, Cho jongdo put summary of learning from scholar Nammyung, including study from home and local elder scholar, into action in earnest. That is, His basis of learning on the basis of loyalty spirit made him to sacrifice himself for the good of others when country was in danger. Cho jongdo insist that when their country is in danger, the one who figure himself a Seonbi (classical scholar) must execute depending on his usual learning to uphold justice of the heaven regardless of position. Also, he insist the proper Seonbi is not who seek only his honor through forget the world and keep himself purely, but who is good at both literary and martial arts and determine to sacrifice for the good. And we can say he is the one who show the model of Seonbi by practicing that insistence in person.

      • KCI등재

        기획논문 : 冥學硏究(명학연구)의 發展史(발전사)

        강동욱 ( Dong Uk K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개소 주년을 맞아 남명학연구소를 중 20심으로 지금까지의 남명학 연구에 대해 시기별로 발전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1990년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설립을 기준으로 1990년 이전과 남명학연구소 설립 후인 1990년부터 2011년까지를 남명선생 탄신 500주년이 되는 2001년을 기점으로 삼아 전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에서 남명 조식 선생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점은 1980년대 후반이다. 1980년대 후반 김충렬 교수에 의해 학계에 알려지기 시작한 남명학은 1990년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설립을 기점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남명 중심의 연구에서 범위를 확대해 남명 제자들을 통해 남명사상의 계승 양상을 구명해 남명 정신이 우리나라 선비 정신의 본보기로 인식하게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01년 남명탄신 500주년을 맞아 남명학과 다른 학파와의 비교를 통해 16세기 유학사에서 남명학의 특징을 학계에 널리 알렸으며, 외국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남명학의 국제화에도 많은 기여를 했다. 지금껏 경상대학교 남명학 연구소를 중심으로 남명과 남명학파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남명학 연구의 발전 과제도 적지 않다. 20여년 동안 ‘남명’ 이란 주제로 수많은 연구 성과물들을 세상에 내놓았지만 아직 남명 선생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인지도는 적어도 경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굳이 퇴계선생과 비교하지 않더라고 남명의 정신과 학문이 우리나라 대표적인 선비정신의 표상으로 전 국민들이 인식할 때 까지 관계자들의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Korea, Nammyeong Josik teacher research began in earnest on the point is in the late 1980s. In the late 1980s, Nammyeonghak known in academia for the first time by Professor gimchungryeol has been a breakthrough, nammyeonghak Institute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founded in 1990 to begin. Nammyeong center to broaden the scope of the study, so Succession patterns of Nammyeong thought revealed by his disciples, so the spirit nammyeong Korea as an example of the scholar to recognize the spirit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2001, at 500 anniversary of the birth of nammyeong, nammyeonghak and by comparison with other schools in the 16th century, yuhaksa nammyeonghak widely in academia have been notified of the feature, through exchanges with foreign scholars contributed much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nammyeonghak. So far as R & D Cente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nammyeonghak nammyeonghak nammyeong and steps are being par for the study. Nammyeonghak development challenges, but also myriad of research. Over 20 years ``nammyeong`` as the subject of numerous research results released to the world, but still nammyeong teacher awareness of the general public does not seem to be at least in Gyeongnam is terrible. Compared with the teacher, even if you do not bother Toegye, nammyeong the spirit of the country, and leading academic scholars in the spirit of former officials until people recognize that you need constant attention and looks. Nammyeong for teachers identify academic efforts of the past 20 years has been recognized in academic circles. But for the disciples of nammyeong research, research on nammyeonghak par soon have a lot yet further support. A study of some of his disciples as revealed Naeam actively progressed, but, for many students, including suwoodang research is the beginning stage. Study of young researchers to improve conditions there is an urgent task. Nammyeonghak Institute, focusing on hanmunhak and their emissions, but many young researchers, nammyeonghak personnel involved in the research that is just a few. Different circumstances, but the active support of school authorities to create conditions through research and young researchers to concentrate on their studies nammyeonghak also think it`s important to create an atmosphere.

      • KCI등재

        국민참여 형사재판의 대상사건에 관한 비판적 고찰과 대안

        강동욱 ( Dong Wook Kang ) 한국법정책학회 2013 법과 정책연구 Vol.13 No.2

        ‘사법의 민주화’라고 하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2007년 국민참여재판이 시행된 이후 5여년이 지났다. 이에 따라 대법원에서는 2012년 7월 12일 국민사법참여위원회를 구성하여 2013년 3월 6일 최종안을 마련하였다. 국민사법참여위원회에서는 지난 5년 동안 국민참여재판제도가 전반적으로 잘 운영되어 왔으며 형사재판제도의 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해왔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는 점에 대하여 의견을 같이하고 대상사건을 포함하여 기존의 제도를 대부분 그대로 유지하면서, ‘배심원평결의 효력’과 ‘실시요건’ 등 일부 쟁점이 있는 부분만 수정을 하였다. 그러나 법문화와 현실이 전혀 다르고 배심제나 참심제의 전통을 갖지 못한 우리나라에서는 국민참여재판제도의 도입의 필요성여부와 그 형태 및 제도개혁을 논함에 있어서 사법에 대한 시민참여라고 하는 요소 외에, 우리나라 법문화를 고려한 실용주의 관점에서 사법절차의 합리성과 효율성의 극대화 도모라고 하는 차원에서도 접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법제도의 근간을 유지하면서 국민참여재판제도의 도입취지의 실현을 도모함과 동시에 국민의 법인식과 우리나라 사법현실을 고려하여 국민참여재판 대상사건을 경미한 민생치안범죄 위주로 변경하고, 성폭력사건과 소년사건 및 자백사건을 제외하되, 공소장변경의 경우에 대한 보완이 요구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민참여재판에 관한 현행 법제 및 기존의 논의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대상사건과 관련한 합리적인 입법안을 제시하였다. Civic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Act, the law related to 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were first conducted in Jan. 1st 2008 in our country. This Act regarded as a drastic change of the korean judiciary system. Our citizens` participation system is a mixed form of the pure jury system in common law countries of Anglo-American legal system and lay judge system of the continental countries, Germany and Japan etc. The introduction of this system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democracy that calls for people`s active engagement in decision-making processes in the legislature, the administration and the judiciary. Specially, this system was designed to promote citizens` participation in trials as part of ongoing legal reforms. Therefore the introduce of this system aimed to reinforce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judicial process and to enhance the transparency and credibility of the judiciary. But, at that time, the Supreme Court promised they will make this system into the suitable form for Korean situation after 5 years` test periods. So, the Supreme Court worked out the revised plan Civic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Act after several deliberations of Citizens` Judical Participation Committee. But this system come face to face the crisis because of low rates of application, high rates of withdrawal and high rates of exclusion. According to the current law, citizens` participation is limited to the felony case and it is held only if defendants want. It is generally esteemed it is reasonable. But on the other hand, some people criticized about the problem of the subject range of application in Art. 5. So, I will exercise debates about the subject range of citizen participation criminal trials and suggest the revised bill about its subject range that suits our society and circumstances in this paper.

      • KCI등재

        민간조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 -국회 관련법률안을 중심으로-

        강동욱 ( Dong Wook Kang ) 한국법정책학회 2013 법과 정책연구 Vol.13 No.3

        민간조사제도는 공권력이 개입할 수 없는 곳에 수익자 부담주의 원칙에 의거하여 민간조사원에게 사건 등을 의뢰하여 그 침해를 구제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민간조사원이 조사결과를 향후 수사기관 등에 그 증거자료로 제시하는 등의 역할을 함으로써 국가 치안활동의 공백을 메꾸어 주는 주요 영역으로 인정되면서 각국에서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민간조사업과 관련된 법률의 부재로 인하여 흥신소, 심부름센터 등이 사실상 민간조사원의 업무 중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이들에 의한 사생활 침해는 물론, 불법채권추심 협박(공갈), 청부살인 등 각종 불법행위 등을 유발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서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민간조사제도의 합법화를 통해 이들의 활동에 대한 적절한 규제와 통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19대 국회에 제출된 민간조사제도의 신설을 내용으로 한 입법안들을 중심으로 그 제도의 도입에 따른 논점에 대하여 검토를 하였다. 첫째, 민간조사원의 업무는 인권침해소지가 많다는 점에서 구체적으로 특정할 필요가 있지만 법률보다는 시행령을 통해 규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민간조사업에 대한 관리감독을 위해 관리기구를 새로이 설립하기 보다는 기존의 국가기관을 활용하는 방법을 택하되, 민간조사업무가 치안행정업무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경찰과의 업무협조의 필요성이 크다는 점에서 경찰청에서 관리감독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민간조사원의 자격요건을 엄격하게 하되, 경찰관 등 조사관련 전문가의 진입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넷째, 민간조사업을 법인으로 한정할 것인가, 아니면 개인에게도 허용할 것인가는 입법선택의 문제이지만 우선은 법인으로 한정하되, 장래적으로는 개인에게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민간조사제도에 관한 독립법률을 제정할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경비업법에서 규율할 것인가 여부는 입법정책의 문제에 불과하므로 민간조사제도의 빠른 도입을 위해 유리한 방안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ivate investigation means that the individuals or the corporation(ex. private firms), as private status, investigate the facts or cases requested by ordinary citizens on behalf of national organizations(ex. police etc.). Since the private investigation began in the 19th century, it has been assumed a leading place among private security in most other countries, U.K., France, U.S., Canada and Japan etc. In these countries the private investigation is defined by laws and regulations. However our country don`t hav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private investigation. So, the private investigation by detective agency or errand center etc. has been going on through the illegal or inappropriate methods and process. Therefore, also in our country, the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 to control such illegal or inappropriate private investigation. And we have to immediately enact the law as to the private investigation. I argue about the content of this legislation as follows;First, the scope of the private investigation business be fixed by the legislations. Seco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ve to be in charge of the regulatory and supervisory function for the private investigation for the efficiency of the private investigation business. Third, the qualification of a private investigator should be strictly defined by the legislations to improve and enhance the quality of the private investigation. And it should be to make engagement of the experienced workers, the police etc., a breeze. Finally, the private investigation business should be allowed to the individual as well as the corporate body. But whether to enact the Private Investigation Act or revise the Security Service Industry Act for the introduction of the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is nothing but a problem of the legislative policy.

      • KCI등재

        군사법절차에 있어서의 심판관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강동욱 ( Dong Wook Kang ) 한국법정책학회 2011 법과 정책연구 Vol.11 No.4

        군사법절차에 있어서는 군이라고 하는 집단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그 이념으로서 군기강유지와 군지휘권 확립이 요청됨에 따라 일반형사사법절차와 다른 특성이 인정되고 있다. 이에 헌법 제110조 제1항에 근거하여 「형사소송법」과 달리 「군사법원법」을 제정·시행하고 있다. 동법에서는 일반 형사사법절차와 달리 ``심판관 제도``와 ``관할관의 확인조치`` 및 헌법 제110조 제4항에 근거하여 비상계엄하의 군사재판은 사형을 선고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심제로 하는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군사법 절차에 있어서의 이들 제도에 대하여는 헌법상 요구되는 공정한 법관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나 평등권의 침해에 해당한다거나 군사법절차에 있어서 지휘관의 과도한 개입과 부당한 영향력 행사 등, 사법권의 자의적 운영과 불투명성으로 인하여 많은 폐단이 있다는 지적이 있으며, 이에 「군사법원법」의 폐지가 주장되기도 하였다. 최근에도 군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수반하여 다시 「군사법원법」의 개정을 비롯한 군사법절차의 개혁이 논의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군사법원의 심판관 제도와 더불어 관할관의 확인조치 제도의 존폐에 대한 논의가 그 중심이 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중에서도 군사법절차에 있어서의 심판관 제도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더불어 개선방안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군사재판을 일반법원이 아닌 군사법원에서 담당하도록 하는 것은 비단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일반화되어 있는 것이며, 그동안 군사재판에서 왜곡되었던 부분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라면 평시라고 하더라도 군사법원자체의 폐지보다는 내부적 개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군의 특수성을 고려한 심판관제도 또한 무조건 폐지하는 것보다는 그 운영방법을 개선하여 군의 특수성도 고려하면서 사법의 적정성도 갖추도록 하는것이 필요하다. 우리 사회의 진정한 민주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군이 국가안보의 유지라고 하는 본연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므로 군사법개혁도 이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진행되어야만 할 것이다. Our military justice system has accepted the U.S. military justice system. But Our military justice system changed greatly through the revision of Military Court Act of 1961, 1981, 1994, 2008 and 2010.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 the convening authority system, judging officer system and the single-trial system under martial law etc, - in this system, unlike in the general criminal judical system. Under our current military justice system the military commander`s authority to deal with the incidents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military-court that tries soldiers for crimes. They supervise the military prosecutor`s offices and the general military courts as a convening authority. But this system is being widely criticized because it interrupt the right to receive a fair prosecution or trial of th accused. Most people don`t trust our military judical system because they believe that commander intervene excessively in the military judicial procedure. So, the request of reforming the military judiciary system has been presented in recent years. And reforming of the military justice system is esteemed one of the efforts for the democratization and social development in our country. Some of jurists advocated the abolition of Military Court Act, especially convening authority system and judging officer system to make the democratized justice system. And they assert that development of democratic society in our country can be completed by democratization of the military. But, the armed forces exist to secure the scared mission of nation security and the defense of the land. Therefore the military judicial system also should serve to help to enforce military-discipline and to maintain fighting strength. So, I oppose the abolishment of Military Court Act and judging officer system because I think we have to preserve the uniqueness and mission objectives of the military in the military judicial system. Instead of that,I will suggest the several improvement of judging officer system 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judgement and to guarantee the independence of the military judiciary in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