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주택의 관리활동에 대한 거주자 의식 연구 - 에너지절약 의식 및 태도를 중심으로 -

        강나나,한정원,Kang, Na-Na,Han, Jeong-Won 한국주거학회 201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3 No.4

        Managing apartments is critical not only to handling the physical deterioration over time, but also to the quality of community life, social environment and ultimately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housing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residents' awareness of apartment management, and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activities and residents'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by comparing an apartment with active management and an apartment without it. This study examines 1) management activities of two subject apartment complexes, and 2) how management activities affect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Surveys were conducted of the residents, and SPSS statistics package was utiliz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is study found that management activities of apartment complex have positive influence on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ir hous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to develop effective guidelines and manual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of apartment houses, in order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the apartment management.

      • KCI등재

        Annexin I Stimulates Insulin Secretion through Regulation of Cytoskeleton and PKC Activity

        강나나,Jong Hak Won,Young Min Park 한국통합생물학회 2009 Animal cells and systems Vol.13 No.1

        In previous studies, we found that Annexin I (Anx I) was co-secreted with insulin in response to glucose, and that extracellular Anx I stimulated the release of insulin via the Anx I binding site in rat pancreatic islets and the β-cell line. However, the role that Anx I plays in the insulin secretion was not establish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nsulin secretion pattern in response to Anx I and the involvement of the cytoskeleton or PKC in Anx Istimulated insulin secretion in MIN6N8a cells. The peak time of insulin secretion in response to Anx I treatment corresponded with the second phase insulin secretion by glucose in the perifused pseudoislets. In addition, Anx I-stimulated insulin secretion was not affect by readily releasable pool depletion.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nx I treatment was associated with movement of the reserve pool of insulin. Furthermore, Anx I-stimulated insulin secretion was attenuated by treatment with a microfilament inhibitor, cytochalasin B, as well as by PKC down regu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x I may be a regulator of second phase insulin secretion.

      • KCI등재

        『옥루몽』에 나타난 보살의 역할과 역할 변화에 담긴 의미 연구: 前代 敍事 傳統의 계승과 변주의 관점에서

        강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규장각 Vol.58 No.-

        본 연구는 『옥루몽』에 형상화된 보살의 역할이 前代 敍事의 傳統을 어떻게 계승 또는 변주시켰는지를 밝히고, 그러한 역할의 변화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보살은 고전서사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존재로, 작품에 따라 선택되는 보살의 유형과 역할은 단일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후대로 가면서 보살의 역할은 본래의 직능을 넘어서는가 하면 성격이 확장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특징에 주목한 연구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는다. 이에 본고는 前代 敍事에서도 주목도가 높았던 관음과 문수보살을 주요 조력자로 호명해 서사 전개에 적극적으로 관여시킨 『옥루몽』을 중심 연구대상으로 삼아 前代 敍事의 傳統이 고전소설의 시대에 어느 정도까지 변화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옥루몽』이 조선후기에 창작된 非불전계 소설임에도 초월적 조력자로 보살을 호명한 이유와 작중 보살에게서 확인되는 역할상의 변화가 의미하는 바를 규명해보았다. 『옥루몽』에 나타나는 觀音菩薩과 文殊菩薩의 역할 차이를 정치하게 논하기 위하여 2장에서는 이전 시기의 서사 안에서 보살의 역할이 어떠하였는지를 먼저 검토하였다. 다만, 여기서 본고는 『三國遺事』가 前代 敍事 傳統으로서의 대표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三國遺事』 소재 보살화현 설화에 나타난 보살의 역할을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三國遺事』에는 관음, 문수, 미륵, 지장, 보현보살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각자가 가진 본래적 속성에 따라 서사 내에서 다른 역할을 맡고 있었다. 비록 미륵, 지장, 보현은 동일한 소임을 수행하고 있었지만, 이 역시 세 보살이 지닌 공통된 속성에 근거한 것이었다. 이로 보건대 『三國遺事』 속 諸菩薩은 유형에 따라 역할 범주를 형성하고 각자의 소임을 대체로 넘나들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3장에서는 앞서 도출해낸, 전대 서사에 형상화되어 있는 보살의 유형별 역할 범주를 기준삼아 『옥루몽』에 나타난 관음과 문수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옥루몽』의 두 보살은 각자의 이름에 따른 국한된 역할만 수행하지 않고, 前代 敍事의 傳統에서 다른 보살의 소임으로 분류되었던 역할을 맡는가 하면 종교적 경계를 뛰어넘기도 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옥루몽』 속 관음과 문수는 표면적으론 다양한 역할 경계를 파괴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들이 지닌 본래적 속성과 前代 敍事의 傳統에 기초하여 외연을 변이ㆍ확장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이렇듯 조선후기에 창작된, 非불전계 소설인 『옥루몽』에서 보살을 작품의 핵심 조력자로 선택하고, 여기서 나아가 역할상의 변이․확장을 시도한 것은 불교에 대한 당대인의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독자의 흥미를 제고하고 대중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고심의 결과로 판단된다. 이 과정에서 『옥루몽』 속 보살의 역할은 분별없고 소박해 보이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는데, 이러한 역할 변화는 불교의 지위가 달라짐에 따라 서사문학 안에서 보살의 성격도 신성한 존재에서 흥미를 유발하는 소설적 도구로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다만, 『옥루몽』의 관음과 문수가 역할 경계를 무분별하게 뛰어넘는 존재가 아닌 前代 敍事의 傳統과 보살의 기본적 속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재창조된 캐릭터라는 사실은 『옥루몽』이 여타 소설에서와는 구별되는 조력자를 만들어 차별화를 꾀한...

      • 식용 풋옥수수 수확 요인시험 장치 제작 및 성능시험

        강나래 ( Na-rae Kang ),최일수 ( Il-su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최용 ( Yong-choi ),현창식 ( Chang-sik Hyu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벼, 밀과 함께 세계 3대 식량작물인 옥수수는 영양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용도가 매우 다양하여 소비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식용옥수수의 재배면적은 06년 13.6 천ha에서 15년 15.3 천ha로 증가추세이다. 옥수수 재배는 식용과 사료용으로 구분되고 있는데, 사료용 옥수수는 기계화되었으나, 식용 옥수수 수확은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노동력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식용옥수수 수확기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풋옥수수 수확기 개발을 위해 시험 장치를 제작하고 요인시험을 진행하였다. 옥수수 수확기는 트랙터 부착형으로 PTO에서의 구동력 전달을 위한 1차, 2차 구동기어박스, 동력 전달 구동 조인트로 구성된 동력전달부, 1차, 2차 옥수수 이송 컨베이어, 가이드 분초관 및 줄기 절단 롤러와 옥수수 수집상자 등으로 구성 설계·제작하였다. 동력전달 구동 조인트는 이동(접힘) 및 작업시(확장) 유동범위를 고려하여 유압실린더에 의해 최대 470 mm 자동 축소 및 확장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이송부는 2차 기어박스 구동부에서 절단된 동력으로 1차 이송컨베이어를 구동시키며 이송된 옥수수자루를 2차 이송부로 공급되어 옥수수 수납상자로 낙하하도록 하였으며 속도조절은 속도조절용 스프로킷으로 교환 장착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수원시 권선구에 소재하고 있는 옥수수 포장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재배양식은 조간 82.8±2.6mm, 주간 26.8±1.4 mm, 두둑 높이 17.6±1.2 mm로 조사되었다. 실험 조건은 PTO 1단 1000rpm, PTO 1단 2000rpm, PTO 2단 1000rpm으로 식용 풋옥수수 수확 요인시험 장치의 미탈과율을 조사하였다. PTO 1단 1000rpm일 때 미탈과율은 3.6%, PTO 1단 2000rpm일 때 5.26%, PTO 2단 1000rpm일 때 8.1%로 PTO 1단 1000rpm에서 가장 안정적인 수확 성능을 보였다.

      • 유리온실용 400 W급 정밀 창개폐모터 성능평가

        강나래 ( Na-rae Kang ),박수복 ( Soo-bok Park ),홍순중 ( Soon-joong Hong ),김용주 ( Yong-joo Kim ),정선옥 ( Sun-ok Chu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우리나라 농지의 총 면적은 2010년 1,715,301 ha 이며, 이 중 시설원예 재배 면적은 90,468 ha로 2014년 기준 농업에서 시설원예농업의 비중은 약 13.2%를 차지한다. 시설원예 기자재 시장규모는 2010년 10조이상이며, 향후 급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국내 농자재 산업체는 국외 선진 산업체 규모에 비해 영세하며 주로 국외 제품을 수입, 판매하고 있으므로 자체 국내 기술의 개발 및 산업화가 시급하다. 온실 창개폐모터는 네덜란드 RIDDER사, DE GIER사, 독일 LOCK사 제품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정밀도가 뛰어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외 선진사 제품을 벤치마킹하여 제작한 400 W급 창개폐모터 및 제어부를 개선하고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선진사 제품을 벤치마킹하여 제작한 개발 창개폐 모터와 창개폐모터 선진사인 RIDDER사 모터를 비교하기 위해 진동실험, PCB 실험, 부하 실험을 진행하였다. 진동실험을 통해 진동 평균 변위, 속도, 가속도를 측정하였으며 개발 모터의 개폐거리, PIPE지름, 과전류 설정값 및 현재 값 측정을 통하여 창개폐모터에 부착하는 PCB 작동 여부 및 신호처리, 동작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부하 실험은 300 kg 부하 조건에서 모터의 내구성을 측정하였다. 진동실험 결과 기존 RIDDER사의 모터 회전체의 불균형으로 인한 진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불균형을 줄이기 위해 케이스를 일반스틸에서 알루미늄으로 변경하여 진동을 2.3 μm 정도에서 0 μm까지 줄여 평균진동속도 0.023 mm/s, 진동가속도 평균 0.256 m/s<sup>2</sup>로 감소시켰다. 동작상태는 정방향, 역방향, 정지 모두 이상없이 표시 되었고, 전류는 1.2 A, 1.3 A로 측정되었다. 회전관성에 의하여 개폐거리 시작점과 끝점이 설정값 대비 약 2~4 mm 차이가 발생하였다. 부하 실험결과 기존의 SCM415C 재질 대신 탄소 함유량과 내 마모성이 좋은 SCM440 계열로 재질을 변경하고 기어의 형상과 모양을 변경하여 기존 양산 제품의 안전율을 0.8~0.9에서 1.3~1.4로 높여서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 선진사 점적관수용 솔레노이드밸브 성능시험

        강나래 ( Na-rae Kang ),최진용 ( Jin-yong Choi ),김진현 ( Jin-hyun Kim ),장정우 ( Jung-woo Jang ),김용주 ( Yong-joo Kim ),정선옥 ( Sun-ok Chu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농작물의 생산량과 품질을 증가하기 위해 효율적인 물관리 기술 및 작물 생육에 적절한 토양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관수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전자밸브 기술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 해외 선진사제품에 의존적이다. 한국 전자밸브는 유량정밀도가 낮아 유량 및 압력 성능시험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 제작한 솔레노이드밸브 테스트벤치를 활용하여 해외 선진사 점적관수용 솔레노이드밸브 성능시험을 진행하였다. 제작한 솔레노이드밸브 테스트벤치에 선진사 점적관수용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였으며 유량 범위는 15~60 m<sup>3</sup>/h로 5 m<sup>3</sup>/h 단계별 제어를 통해 이스라엘 Bermad사, 미국 Rainbird사, 이스라엘 Baccara사, Netafim사 점적관수용 솔레노이드밸브 성능시험을 진행하였다. 솔레노이드 밸브 통과 전· 후 유량, 압력 데이터는 C# (visual basic)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성능시험 결과 Bermad사 솔레노이드 밸브는 15 m<sup>3</sup>/h일 때 압력감소 0.29±0.013 bar, 60 m<sup>3</sup>/h일 때 2.46±0.055 bar가 발생하였고, Rainbird사는 유량 15 m<sup>3</sup>/h일 때 압력감소 0.12±0.031 bar, 60 m<sup>3</sup>/h일 때 2.22±0.068 bar가 발생하였다. Baccara사는 유량 15 m<sup>3</sup>/h일 때 압력감소 0.22±0.046 bar, 60 m<sup>3</sup>/h일 때 2.37±0.048 bar가 발생하였으며 Netafim사는 유량 15 m<sup>3</sup>/h일 때 압력감소 0.51±0.004 bar, 50 m<sup>3</sup>/h일 때 3.33±0.12 bar가 발생하였다. Netafim사 솔레노이드밸브는 유량 50 m<sup>3</sup>/h이상일 때 유량흐름이 불안정하였는데 이는 솔레노이드 밸브 적정유량이 34 m<sup>3</sup>/h이므로 밸브의 과부하로 인한 불안정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