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오프라인 통합형 백과사전 구축 사례 연구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을 중심으로-

        강경표 한국박물관학회 2020 博物館學報 Vol.- No.38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n the making of an integrated online-offline encyclopedia with the Encyclopedia of Korean Folk Culture. This study traced the process of ongoing development from the first dictionary planned and published in the offline format through online dictionaries to the policies of reinforcing communicability. A special focus was put on the activation of online dictionaries, which have an advantage for popular service and are open to various scalable attempts,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data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s well as resulting policy changes. The first change involved the broadening scope of content acceptance in offline dictionaries. The scope was expanded to “dictionaries containing everything that people will need” to extend to more periods and classes and cover all the items of a given topic. The second change took place online. A search-friendly environment was built including web standardization along with a system to connect content with outside agencies and promote its uses. The present study offered a case of making an integrated online-offline encyclopedia for integrated synergy between offline and online dictionaries based on the Encyclopedia of Korean Folk Culture. 이 글은 ‘온․오프라인 통합형 백과사전’1) 구축 사례에 관한 연구로 국립민속박물관의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최초 민속문화의 지식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기획된 인쇄본 사전이 지식보급의 확대를 위해 온라인 사전으로 확장되고, 이후 정보 전달력 강화를 위한 보유 자료 분석과 이용자 분석을 통해 구축한 ‘온․오프라인 통합형 백과사전’에 대해 다루고 있다. 특히 데이터의 축적과 정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중적인 서비스를 하기에 유리하며 여러확장적 시도가 가능한 온라인 사전의 활성화와 이에 따른 정책적 변화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 첫 번째 변화는, 사전 편찬 정책에 대한 것으로, 백과사전의 수록 콘텐츠의 수용 범위를 넓힌 것이다. 시대와 계층을 보다 확장하고, 해당 주제에 대해 빠지는 항목이 없는, 이른바 “있을 것은 다 있는 사전”으로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것이다. 두 번째 변화는 온라인 부분에 대한 것으로, 이용자 증대와 해설을 뒷받침하는 데이터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에 따라 웹 표준화 작업 등검색 친화 환경을 구축하고 외부 기관 등과 연계하여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본 글에서는『한국민속대백과사전』을 대상으로 인쇄본 사전과 온라인 사전의 통합적 시너지를 위한 온․오프라인 통합형 백과사전 구축 사례를 연구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정체상황에서의 강제 차로변경행태 분석 (도로공사로 인한 차로폐쇄 시뮬레이션 기반)

        강경표,이광훈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1

        Due partly to lack of actual lane-changing data and partly to few studies on simulation functions to consider the lane-changing behavior, it may result i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mulation-based and real condition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stimate the set of mandatory lane-changing models and to analyze their features, depending on the merge control strategies under the lane-closed work zone operations. To achieve them, first, the elaborated calibration is required to simulate the mandatory lane-changing behaviors with the actual field data. Second, one can estimate their models with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s, to obtain traffic variables as well as the lane-changing frequencies under the various levels of work zone traffic conditions. As a result, one can state that the well-calibrated simulation has the potential to properly reflect the target mandatory lane-changing behaviors. In addition,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e set of proposed models is not practicable but preliminary result needed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the actual traffic conditions and lane-changing maneuvers and to develop their practical models for the actual applications. 교통상황에 따른 차로변경관련 현장자료의 부재와 더불어 기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반영여부에 대한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특정 교통 및 도로조건하에서의 차로변경행태를 무시한 시뮬레이션 자료나 연구결과는 실제 상황과 비교하여 많은 차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자료를 기반으로 강제 차로변경행태모형을 추정 및 분석하여 기존 시뮬레이션 툴의 반영여부를 알아본다. 이를 위하여, 대상 시뮬레이션 네트워크는 도로공사 시 차로폐쇄로 인한 강제 차로변경상황을 고려하였으며, 실제 교통자료를 이용한 미시적인 시뮬레이션 보정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제 도로공사 시 교통류 처리를 위한 교통운영기법 중 하나인 합류제어전략에 따른 강제 차로변경행태를 대상 시뮬레이션 툴에 반영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교통자료를 가지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강제 차로변경행태를 추정하였다. 모형의 분석결과, 미시적 보정작업을 거친 시뮬레이션 툴은 도로공사 시 차로변경행태를 합류제어전략에 따라 적절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본 연구에서 추정된 강제 차로변경행태모형은 추후 실제 교통상황과 차로변경행태간 상호관계를 규명하고 신뢰성 있는 모형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에 해당한다. 따라서, 추정된 모형의 파라메터 값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모형자체의 적용성을 논할 단계가 아님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속도로상의 독립적인 반복 및 비반복정체의 영향비교

        강경표,장명순 대한교통학회 2007 대한교통학회지 Vol.25 No.6

        지금까지 고속도로 상에서 반복 및 비반복정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이들이 독립적으로 발생했을 때 교통정체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큰 이유는 반복 및 비반복정체시 교통상황에 자료수집이 부족했으며, 뿐만 아니라 이들의 영향을 독립적/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분석도구의 효과적인 사용이 미비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고속도로 구간의 교통정체시 수집한 교통자료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반복 및 비반복정체의 독립적인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로서 대상구간에 따라 비반복정체가 반복정체보다 고속도로기능을 크게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교통정체시 실시간 교통정보제공을 위한 기존 ITS기술들의 현장평가결과로서 안정적인 교통정체에서는 정보의 정확성은 높으나, 정체가 시작되거나 해소되는 시간대 또는 비반복정체시 제공되는 교통정보의 정확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반복정체의 중요성과 더불어 제시하고 있는 반복 및 비반복정체의 영향분석 방법론은 향후 대상 고속도로의 정체해소를 위한 개선사업의 투자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impacts of independent recurrent and non-recurrent congestion on freeway networks. The main reason is due partly to the lack of traffic data collected during those periods of recurrent and non-recurrent congestion and partly to the difficulty of using the simulation tools effectively. This study has suggested a methodology to analyze the independent impacts of the recurrent and non-recurrent congestion on target freeway segments. The proposed methodology is based on an elaborately calibrated simulation analysis, using real traffic data obtained during the recurrent and non-recurrent congestion periods. This paper has also summarized the evaluation results from the field tests of two ITS technologies, which were developed to provide drivers with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under traffic congestion. As a result, their accuracy may not be guarante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s such as the non-recurrent congestion. In summary,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non-recurrent congestion compared to recurrent congestion, and the proposed methodology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c foundation for prioritizing limited government investments for improving freeway network performance degraded by recurrent or non-recurrent cong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