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승일본어에 있어서의 조건표현 습득에 관한 고찰

        가와구치게이코 ( Kawaguchi Keiko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日本硏究 Vol.0 No.77

        본고는 한국 초등학교에 다니는 한일 국제결혼 가정 자녀들(한일 이중 언어 아동)을 대상으로 일본어 발화 데이터에서 볼 수 있는 조건표현 「たら·と·ば」의 습득양상에 주목하여 분석 고찰한 것이다. 습득양상 특징을 형식과 의미용법의 양면에서 분석하여 또 성인 일본어 학습자(L2학습자)와의 습득양상과 비교하였다. 「たら」는 L2학습자와 같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형식면에서 L2학습자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의미용법면에서는 L2학습자보다 비가정적 용법이 많았지만, 고학년이 되면 가정적용법과 동등하게 사용하였다. 「と」에 관해서는 L2학습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부정형 ない+と」형식은 본고에서 고빈도로 사용되고 있다고 말 할 수 없는 결과를 나타나, 그 원인은 「부정형 ない+と+だめ/いけない」라는 형식의 한정된 사용에 있다고 추측했다. 의미용법면에서는 L2학습자와 같이 비가정적 용법이 많은 경향이 보인다. 가정적 용법은 학년이 올라갈 수 록 많아지고, 인지적사고력 발달에 따사서 사실적 표현에서 가정적 표현으로 확대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ば」는 대부분 「言えばいい」「すればいい」라는 특정한 형식이 사용되고 있다. L2학습자에서 볼 수 있는 「あれば」는 하나도 없었고, 「ばいい」는 「たらいい」보다는 사용빈도가 많았지만 언어입력의 주로 되는 어머니의 출신지 및 방언사용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사용 구별의 기준이 되어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 의미용법면에서도 L2학습자와 달리 「비조건적 용법」만 관찰되고 L2학습자에 비해 보다 한정적인 사용실태를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quisition of Japanese conditional expressions of Korean-Japanese bilingual children who attend Korea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its forms and meanings, the acquisition of three conditional expressions (-tara, -to, -ba)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data of adult learners of Japanese(L2 Japanese learners). By comparing these data,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s a heritage language. In case of [-tara], which was used the most, it shows the similar tendency of L2 Japanese learners. In case of [-to], the use of [negative form-nai+to] was not clearly observed. On the analysis of its meanings, both [-tara] and [-to] have a tendency to increase its use as moving up through the grades. In case of [-ba], mostly [ie+ba+ii] and [sure+ba+ii] forms are observed, and it can be said that Korean-Japanese bilingual children use [-ba] more restrictively than L2 Japanese learners.

      • 일본어회화수업의 자기평가활동: 학습에 미치는 효과

        가와구치게이코 ( Keiko Kawaguchi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33 No.-

        본고에서는 일본어 회화수업에 도입된 자기평가활동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일본어 회화의 자기분석 report, 학습의 self-reflection sheet, 학기말에 실시한 앙케이트, 그리고 follow-up interview에서 얻은 결과를 통해, 자기평가활동은 학습자의 자율성과 학습의욕을 높이고 일본어 발화에 자신감을 주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우선 자기평가의 장점, 문제점을 검토한 다음 활동의 개요를 소개하고, 마지막에 자기평가활동을 학습과정의 일부로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reports on a study that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students` self-assessment practices incorporated into a Japanese conversation course at a university in Korea. Findings from the students` self-analysis reports, self-reflection sheets, end-of-semester subject questionnaires and follow-up interviews suggested that the self-assessment practices had positive effects on promoting learner-autonomy and motivation, and increasing learners` self-confidence in speaking Japanese. This study outlines the rationale of self-assessment and procedures of the self-assessment practices implemented in the Japanese course, analyzes the findings from the self-assessment practices, and finally suggests that self-assessment practice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classroom.

      • KCI등재

        한일국제결혼가정 자녀를 둘러싼 계승일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가와구치게이코 ( Keiko Kawaguch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7 No.1

        본고는 한국(서울·경기도지역)의 학교,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일국제결혼가정의 자녀를 대상으로 모어·계승일본어교육 실태를 조사하여 그 현황과 과제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1)공립초등학교, 2)다문화가족지원센터, 3)각 지역의 커뮤니티의 의한 교실, 4)NPO의 4개로 분류하였으며 담당강사 총 16명에게 개인인터뷰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한국에서 계승일본어교육이 점점 가정의 영역 외에서도 전개되기 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각각의 운영상/교육상의 문제점 도 밝혀져서 앞으로의 실천적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도 계속 증가하는 한일자녀들의 일본어계승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가정내뿐만 아니라 공교육, 지역에서 더욱 활발한 교육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직 교육방법을 정립되지 않은 교육실천면에서의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of Japanese heritage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f Korean-Japanese families, especially in the area of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adopts individual semi-structured interviews as main methodology for research and analysis. The 16 interviewees are teachers of Japanese who teach Japanese heritage language at 1)elementary school, 2)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3)classes organized by the Japanese community, and 4) a class organized by NPO. Through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Japanese heritage language education outside homes has been developing. At the same time, some problems and challenges in organizing and managingthe courses of Japanese have been found, which suggests some practical strategies for further possible implementation. There should be more opportunities for children of Korean-Japanese families to learn their heritage language. More research in the heritage language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effective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