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후 울분장애의 이해

        고한석,한창수,채정호,Ko, Han-Suk,Han, Chang-Su,Chae, Jeong-Ho 대한불안의학회 2014 대한불안의학회지 Vol.10 No.1

        Reactive disorder is a group of diagnosis with a definitely known etiology and whose etiological factor is essential to the diagnosis. In DSM system, such reactive disorders are listed as adjustment disorder, acute stress disorder, brief psychotic disorder with marked stresso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However, a growing number of individuals is suffering from a prolonged feeling of embitterment after exceptional negative life events and this condition could be diagnosed neither PTSD nor adjustment disorder nor depressive disorder in the context of DSM-IV diagnostic system. This clinical condition can be described as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PTED). PTED is a reactive disorder triggered by exceptional, though normal negative life events such as conflict in the workplace, unemployment, death of a relative, divorce, severe illness, or experience of loss or separation. The common feature of such events is that they are experienced as unjust, as a personal insult,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violation of basic beliefs and values. The central psychopathological response pattern in PTED is a prolonged feeling of embitterment. In particular, the core emotion of embitterment can lead to the rejection of treatment. Therefore, "wisdom therapy" as a new treatment approach specifically designed for PTED has been developed. It is assumed that many patients suffering from PTED are often misunderstood and misdiagnosed. This review would help to introduce PTED into the clinical field in psychiat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금속판과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장관골의 감염성 불유합의 치료

        고한석 ( Han Suk Ko ),강영훈 ( Yeong Hun Kang ),김덕원 ( Deok Weon Kim ),하정구 ( Jeong Ku Ha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1

        목적: 장관골의 감염성 불유합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던 경우를 고찰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3월부터 2004년 2월 까지 본원에서 장관골의 감염성 불유합으로 진단되어 금속판 내고정술과 동종 해면골 이식술을 시행 받았던 10예에 대하여 후향적 고찰을 하였다. 치료는 먼저 괴사조직의 철저한 변연 절제술과 세척후에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로 이루어졌고, 2례에서는 가교 금속판 고정법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동종 해면골 이식이 6예에 이루어졌으나, 창상의 상태에 따라 내고정 후 4주 뒤에 시행되기도 하였다. 결과: 10예 중 9예에서 방사선적 유합을 평균 6.8개월에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이전에 감염증의 치료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금속판 내고정술은 감염성 불유합의 치료에 이용되는 견고한 고정 방법으로 유용한 방법이며, 삽입물이 감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일반적 우려는 가교 금속판 고정술이나, 사전 철저한 변연 절제술, 해면골 이식등의 동반 술기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internal fixation with plate in treating infected nonunion of long bon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1993 to February 2004, ten patients who underwent internal fixation with plate and cancellous bone graft on account of infected nonunion of long bone were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medical treatment were composed of thorough and adequate debridement of necrotic tissue, irrigation and plate fixation. Two patients were operated on with bridging plate method. Autologous cancellous bone graft was performed in 6 patients. In 2 cases, it was performed 4 weeks after internal fixation. Results: In 9 patients, radiographic union appeared on the average of 6.8 months and infections were cured before union occurred. Conclusion: Internal fixation with plate is a useful method for the solid fixation in the treatment of infected nonunion. The general concern was that the inserted hardware worsened the infection, which was overcomed with the operative techniques as bridging plate, debridement and cancellous bone graft.

      • KCI등재
      • KCI등재

        고관절 치환술 후의 합병증 : 감염된 인공 고관절의 치료

        고한석 ( Han Suk Ko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4

        인공 관절의 감염은 수술 전에 주위 깊은 검사와 수술계획을 요하는 주요한 합병증이다. 즉각적인 진단과 조기에 수술을 하도록 하며, 특히 급성 감염과 혈행성 감염의 경우 이는 더욱 중요하다 하겠다. 완벽한 진단 방법은 없지만 임상적 검사와 혈청학적 검사, 방사선 검사 및 세균학적 분석을 포괄적으로 이용하여 진단을 할 경우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철저한 병력 청취와 임상 검사, 위험 인자의 파악과 더불어 환자의 증상, 감염의 증후 및 ESR, CRP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방사선 검사의 경우 주기적인 간격으로 촬영한 일련의 필름을 비교하여 다른 진단을 배제시키고, 이를 기초로 필요한 추가 검사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치료도 시작되어야 한다. 여러 가지 새로운 영상기법이 있지만 아직까지 인공관절 감염의 진단에 단독적으로 신뢰할 수는 없다. 수술 전에 세침 흡입 검사를 시행해야 하고 만약 음성이라고 하더라고 감염의 가능성이 높다면 반복 시술을 고려하여야 한다. 수술적 처치의 역할은 분명하며 최근에는 2단계 재치환술이 지지를 받고 있고, articulating spacer를 사용하여 높은 감염 치유율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비구골절의 수술적 치료

        고한석 ( Han Suk Ko ),전태환 ( Tae Hwan Jeon ),김병직 ( Byung Jik Kim ),임영 ( Young Lim ),서정국 ( Jung Guk Seo ),주석규 ( Suk Kyu Zoo ),김진환 ( Jin Hwan Kim ) 대한고관절학회 1993 Hip and Pelvis Vol.5 No.1

        Acetabulum consisting of the hip joint is the most important weight bearing joint in the lower extremity. The principle of treatment for this fracture must be restored the hip function which require accurate anatomical reduction and firm internal fixation followed by early joint moton. But because of the difficulties in the evaluation <@k classification of the fracture and in the exposure & reduction, treatment of displaced acetabular fracture have been controvirsal. Recently many authors stressed that surgical operation is often required to achieve the accurate anatomical reduction of fractured acetabulum and reported its good results. Authors reviewed and analysed 24 patients with displaced acetabular fractures by surgical treatment who had displacement of minimum 3mm after skeletal traction, which were treated at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Inje University, Seoul Paik Hospital from Jan. 1987 to Jan. 199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l. According to Letournels classification, the most common type was posterior wall fracture, the second was transverse with posterior wall fracture, and pelvic bone fracture was the most common associated injuries. 2. Surgical approaches were Kocher-Langenbeck in 14 cases, Ilioinguinal in 5 cases, Obsorne and Moore in each 2 cases, triradiate trochanteric 1 case. 3. The satisfactory result was achieved in each 17 cases of patients with congruent reduction clinically & radiologically and in 14 cases clinically and in 15 cases radiologically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 KCI등재

        시멘트를 사용한 인공 고관절의 재치환술시 방사선 소견과 수술소견의 비교관찰

        고한석 ( Han Suk Ko ),정우석 ( Woo Suk Jeong ),김병직 ( Byung Jik Kim ),김영롱 ( Young Yong Kim ) 대한고관절학회 1995 Hip and Pelvis Vol.7 No.1

        Since the use of the Charnley hip prosthesis, the component loosening has been the most cause of failure. The roentgenographic appearance of the bone cement junction in total hip arthroplasties has recevied frequent attention. The incidence of loosening as a mode of clinical failure is consistently much lower than the incidence of radiolucent lines. One study shows aseptic loosening of the acetabulum component necessitating revision occurred in 6 percent of all 322 acetabular component, while 2 percent of all 322 femoral component.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an attempt to compare observations on plain radiographs with those made during the exchange operation in a series of total hip arthroplasties revised for various reasons. In a series of 29 patients, 30 cases who have admitted for revision at Seoul Paik Hospital from March 1992 to March 1994 by late loosening after being performed cemented total hip athropasty were studies about the radiographic analysis, correlation of the real and radiographic measurement of cement and bone contact. The Result as follows; 1. The mean age at revision was 56 years old and the average time to revision was 12.3 years.

      • KCI등재

        오토 황제의 원수정 강화 정책 연구 - 원로원 및 군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한석 ( Ko Hanseok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8 서양고대사연구 Vol.53 No.-

        서기 69년 1월, 오토는 근위대의 지지를 바탕으로 갈바를 제거하고 제위를 쟁취하였다. 그가 보여주었던 여러 정책들은 네로 혹은 갈바, 비텔리우스와는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새로운 관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토 황제의 치세를 면밀히 분석하여, 그가 자신의 원수정을 강화하기 위해 제국의 두 축이었던 원로원과 인민, 그리고 군대를 적극적으로 포용하려 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즉위 직후 오토는 네로의 이미지와 자신을 연결시켜 평민의 지지를 획득하면서도, 이전에 숙청된 이들의 복권을 통해 네로와는 달리 국정 운영의 동반자로서 원로원의 권위를 인정하였다. 또한 즉위 전부터 근위대를 물심 양면으로 지원하는 한편, 즉위 이후에는 그들의 현안을 해결해줌으로써 군대의 확고한 지지를 획득하였다. 이와 더불어 군사지도자뿐만 아니라 종교 지도자로서의 이미지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정권의 정당성을 적극 홍보하였다. 이는 아우구스투스가 원수정 체제를 확립해가는 과정에서 보여주었던 행보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오토의 치세에 공화정의 회복이라는 명분과 1인 지배 체제라는 실상 사이의 균형이라는 원수정의 핵심이 명확하게 드러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January 69 A.D., Otho removed Galba and took the throne with the support of the praetorian guards. It is worth noting that many of the his policies were very different from Nero or Galba or Vitelius. In this paper, I argue that Emperor Otho tried to embrace the two pillars of the Roman empire - the Senate and the army - to strengthen his principate by analyzing his reign and his policies. Soon after the coup, Otho connected himself with Nero’s image to win the support of the common people. However, unlike Nero, he recognized the authority of the Senate as a partner in state administration through the reinstatement of those previously purged. He also gained firm support of army by aiding the praetorian guards before the throne, and by addressing their pending issues after the throne. In addition, he actively used his image as a religious leader as well as a military leader to promote the legitimacy of his principate. This was similar to Augustus’s progress in establishing a system of the Principate, which clearly revealed the core idea of a balance between the cause of a republic’s recovery and the reality of a monarchy in the reign of Otho.

      • KCI등재
      • 소아 기관지 천식 환자의 비염 발병 예측에서 호기산화질소의 역할

        고한석 ( Han Seok Ko ),최선희 ( Sun Hee Choi ),나영호 ( Yeong Ho Rha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2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2 No.2

        목적: 호기산화질소 (exhaled nitric oxide, FeNO)의 농도는 비침습적인 하기도 염증의 지표로 천식 환자에서 기관지 과민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천식 없이 비염 등의 아토피 관련 질병이 있는 경우에도 증가한다. 기관지 과민성을 보이는 하기도 질환인 천식과 상기도 질환인 비염은 알레르기 관련 염증 반응 및 그 밖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서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천식 환자의 비염 발병의 예측에서 호기산화질소 측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5년 4월부터 9월까지 경희 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에서 천식으로 진단되어 호기산화질소의 농도, 총 호산구 수 그리고 혈청 총 면역글로불린 E를 측정했던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1년 7월에 전화 설문조사 및 진료 기록을 통하여 비염 증상(맑은 콧물, 코막힘, 코가려움증, 재채기)의 여부와 의사가 진단한 비염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ver 18.0을 이용하였다. 결과: 총 53명 중 36명의 환아 (67.9%)에서 비염이 발병하였다. 호기산화질소의 평균 측정치는 연구군에서 29.4 parts per billion (ppb) 이었으며 대조군에서는 13.6 ppb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3, T-test) 그 외 말초혈액 총 호산구 수, 혈청 총 IgE, 아토피피부염의 과거력, 아토피 관련 질환의 가족력은 연구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호기산화질소의 측정은 소아 천식 환자에서 향후 비염 발병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검사로 생각한다. Purpose: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NO) has been widely reported as a marker for airway inflammationin, and FeNO have shown increased levels in the non-asthmatic patients with other atopy related diseases, such as rhinitis.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asthma, which is often associated with airway inflammationin allergic rhinitis. It has been suggested that asthma is associated with rhinitis, which is a link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airways, beyond allergy associated inflammation in the respiratory tract.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FeNO measurement, as a risk factor of allergic and nonallergic rhinitis in children with asthma. Methods: Fifty-three children included in this study were diagnosed as asthma from April through August 2005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They conducted FeNO monitoring, total eosinophil count and serum immunoglobulin E at that time. We put a question to the participants`` parents about the doctor diagnosed participants`` manifestations (sneezing, nasal congestion, nasal itching, rhinorrhea), via a telephone interview survey or at the outpatient department in July 2011.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ver. 18.0.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rhinitis, among the 53 children, was 67.9%. The means of FeNO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being higher in children who have rhinitis symptoms and lower in asymptomatic children. (mean±SD, 29.4±24.6 to 13.6±11.8 parts per billion; P=0.003; T-test) Conclusion: To take the measurement of FeNO value in asthmatics may be a tool in the predictor of the causes of rhin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