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배추의 유통실태 분석과 물류체계 효율화 방안

        한관순 ( Gwan Soon Han ),이래협 ( Rae Hyup Lee ) 한국식품유통학회 2013 食品流通硏究 Vol.30 No.2

        국민의 식탁에서 먹거리 원재료 중 하나인 배추·무와 같은 엽근채류 생산은 재배규모(파종면적·경작관리)와 수확기 배추가격의 예측에 의한 작목선택과 규모설정보다는 주로 전기의 배추가격에 기초하거나 파종시 농민의 주관적 판단과 경험에 의존해 재배하다보니 식재면적의 증감 폭이 크고, 기상여건에 따라 생산량 변동이 심하여 수급불안과 가격 급등락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 2010년 작황부진에 따른 배추, 상추, 열무와 같은채소류 가격의 폭등에 따른 소비자 지출의 증대, 지난 1999년부터 2009년까지와 2011년의 배추 값은 생산원가도 되지 않는 저가격으로 산지폐기 된 양이 막대하며, 이에 따라 재배의 근간이 흔들리고 생산의욕의 저하를 야기하는 등 배추를 재배하는 농업인의 최대 현안이며 과제가 되고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farmers` shipping pattern of Chinese cabbages from Dangjin Province. It focuses on logistics efficiency and system improvement in forwarding cabbages from Dangjin Province to Garak Wholesale Market. For this study, agro-logistics department of Seoul Agricultural & Marine Products Corporation researched shipping channel from Dangjin province to Garak Wholesale Market. This study provides problems and improvement in logistics system and augmentation of supply capacity through analysis of the production cost, logistics cost and system for radish and Chinese cabbages. First of all, too expensive distribution cost results in an abnormal situation that the ratio of the farm`s side(production cost) among the price is forced to be much less than the ratio of distribution cost. These include ① insufficient mechanical loading within wholesale markets, ② high empty vehicle transferring rate, ③ low processing at the farm, ④ low stockpile rate and insufficient cold transportation, ⑤ delayed logistics within wholesale market, and low joint logistics rates. Given these, in case of the wholesale market distribution, it is advisable that ① to introduce the posting price system of Chinese cabbages ② to expand agro-SCM for fostering of food processing business and enhance of transport efficiency through high processing of radish and Chinese cabbages(simplification of Agricultural logistics standard, planning in product and shipping of agricultural products) ③ to reduce logistics cost by revitalization of the shuttle and linkup transportation and the shipping scale-up projects using heavy traffic of 25ton ④ to reduce logistics cost by joint purchasing in procuring for farm materials ⑤ to introduce consistent mechanical loading developed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⑥ to build complex logistics facilities offering many items of logistics equipments including cold preservation, pre-cooling, refrigeration vehicle ⑦ to build efficient parcel collection and delivery systems at Chinese cabbages-producing district

      • KCI등재

        가락시장 청과물 저온유통체계 선진화 과제와 발전 방안

        한관순(Han, Gwan-Soon) 한국물류학회 2021 물류학회지 Vol.31 No.1

        지구 온난화로 인해 2020년 여름 54일간의 긴 장마와 38∼40℃에 이르는 고온다습한 날씨는 가락시장에 출하된 배추⋅양배추⋅파⋅피망⋅딸기⋅버섯 등 청과물이 쉽게 짓무르거나 부패되어 손실 피해가 늘어날 수 있다. 반대로 –15∼-20℃로 하강하는 혹한의 날씨는 가림막 시설이 설치된 청과물 경매장의 내부 온도가 –5℃ 이하로 떨어져 상품이 어는 피해가 발생한다. 이외에도 가락시장은 오픈한지 35년 이상 경과되어 시설이 노후화되었음은 물론, 사방이 오픈된 개방형 시설로 각종 해충과 쥐 및 먼지 등을 통제할 수 없어, 품질⋅위생관리 측면에서 시장은 여러 문제와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농산물의 저온(정온)관리가 가능한 폐쇄형 시설을 도입하는 등의 가락시장 도매권역 시설현대화사업추진(2021∼31년)에 따른 “가락시장 청과물 저온유통체계 선진화 과제와 발전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산지는 지난 ‘10년부터 현재까지 저온저장시설과 저온차량의 구입을 지원하는 저온유통체계구축사업의 추진으로 비교적 양호한 저온시설 확충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농산물의 절반 이상이 도매시장을 통해 유통되는 현실에서 가락시장의 저온유통체계 미비는 품질하락과 안전성을 떨어뜨리고 식품손실을 유발하여 높은 유통비용의 원인이 되고 있다. 도매시장이 저온유통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이유는 첫째 산지와 도매시장간(경매장→중매인점포→소매상) 상호연계성 없는 콜드체인 추진은 일관된 온도관리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며, 둘째 도매시장의 취급량 감소에 대비한 산지 조달처 개발 및 납품처 다양화가 필요하며, 셋째 일관된 저온유통으로 품질ㆍ위생관리를 위한 유통주체들의 노력이 절실함은 물론, 온ㆍ오프라인 유통업체들 간 신선식품의 판매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시대에 고품질ㆍ안심할 수 있는 차별화된 농산품을 공급하는 스마트 시장으로 활성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매시장의 저온유통시설 확충을 위한 설비도입의 과제는 공통과제와 경매장 공조 효율화를 위한 과제<표 10> 및 저온화ㆍICT기술 고도화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나아가 가락시장의 저온유통체계 구축 고도화 방안으로 HACCPㆍISO22000 인증제도 도입으로 신선식품의 품질ㆍ위생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와 교육ㆍ훈련이 필요함과 일관된 선도(온도)관리를 위해 유통주체들 간 긴밀한 협업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전국 최대의 도매시장인 가락시장은 신선도(≒시간)라는 제약 속에 수급균형을 통해 거래를 실현하는 운영상의 어려움이 있다. 가락시장 청과물의 저온유통 고도화 방안을 4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온유통 시스템 기술(H/WㆍS/W)의 고도화 방안, 둘째 신선식품 저온유통은 3가지의 운영조건에서 운용될 필요가 있으며<표 17>, 셋째 상온품 대비 저온품 차별화로 저온품의 가격보상제 추진의 필요성ㆍ한국 실정에 적합한 에너지 저감형 저온유통체계의 도입ㆍ저온물류비 저감화(low cost operations of cold chain)목표의 실현 및 신선식품 저온유통비용 산정을 위한 통계DB 정비가 필요, 넷째 지속가능 발전 목표(SDGs)가 국내외적으로 중시되는 환경에서 가락시장은 친환경에 대한 배려(에너지 사용 저감, CO2 배출ㆍ쓰레기 발생억제)가 그 어느 때보다 요청됨을 살펴보았다. 가락시장의 저온유통체계 선진화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표 18>에서 보듯이 유통기한 연장에 따른 기존 10∼35%의 식품손실 감소와 공급가능 시장범위 확장에 따른 판매기회 증대, 생산지와 소비지간 연계 역할의 수행으로 가치창출 및 품질관리의 강화로 위험회피를 통한 거래처로부터 신뢰확보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본 연구의 주요 성과를 토대로 향후 과제에서 연구의 저변이 확대된다면, 국내 공영도매시장의 시설현대화사업과 관련해 정비계획수립의 가이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global warming, long rainy season and hot humid summer of South Korea can cause fruits and vegetables to rot. Furthmore, in winter, the product freezes due to cold weather, which can drop to -15 to -20 degrees Celsius, resulting in lower value. Garak Wholesale Market has limitations in terms of quality and hygiene, such as an open system without control over infectious sources as well as old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hallenges and development of the cold chain system of fresh products in the Garak Wholesale Market by modernizing the wholesale area facilities. The market has shown relatively good expansion of cold chain system. However, since more than half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distributed through the Garak wholesale market, it is still insufficient to meet the expect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ffline temperature management, the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suppliers is necessary. This study explained the common issues of equipment installation to expand cold chain system in the market and sophistication of ICT technology.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oduction the HACCPㆍISO22000 certification system for education and training, and raising awareness on the quality and hygiene management of fresh food is essential. In addition, it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close collaboration between distribution entities for consistent freshness management. Garak Wholesale Market, the largest one in Korea, has several operational challenges to maintain freshness of the product. First, the cold chain logistics technology (H/WㆍS/W) must be advanced. Second, the cold chain logistics of fresh food must meet strict operating condi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price compensation system for the products to differentiate from ordinary ones. Fourth, it is also necessary to maintain a statistical database for realization of the goal of low cost cold chain system. Finally, energy saving approaches and eco-friendly facilities which are suitable for the domestic circumstances should be introduced. As shown in <Table 18>, the cold chain system in the Garak wholesale market is expected to reduce food loss by 10 to 35 percent. At the same time, it increases sales opportunities by expanding the range of supply markets and strengthening quality control by avoiding risk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guide for the establishment of maintenance plans for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s in the domestic public wholesale market.

      • KCI등재

        신선농산물 물류효율화를 위한 콜드체인 시스템의 고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관순(Han, Gwan-Soon) 한국물류학회 2015 물류학회지 Vol.25 No.4

        국내 경제의 저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식품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 확충이 절실한 시점에서 낙후되어 있는 분야인 “신선농산물 물류효율화를 위한 콜드체인 시스템의 고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선농산물의 저비용 운영을 위한 저온유통체계의 고도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농산물 콜드체인 발전의 전제조건으로 국내 콜드체인 유통실 태와 고비용 구조분석 및 고도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콜드체인 유통 관련 문헌조사와 통계를 수집하여 그 실태(청과물 콜드체인 유통비율이 3∼7%)를 파악하였다. 또한 콜드체인 업계가 당면하는 문제점을 살펴보기 위해 콜드체인 주요 업 종별(운송업, 보관업, 농산물 종합물류업, 유통업체, 컨설팅업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과제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콜드체인의 고비용 구조의 분석을 위해 ‘D기업’사례를 중심으로 상온창고와 저온창고 설립비용의 비교분석과 상온차량과 저온차량의 구입비 및 운용비용의 비교분석을 통해 저온유통체계의 고비용 구조 요인을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농산물 물류효율화를 위한 저온유통 활성화 전략 관련연구 및 저온물류기업 시장진입 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low growth in the domestic economy amid continuously, a new engine of food industry is needed. Especially, in a study on cold chain system for efficient distribution of fresh agricultural product, we should necessarily consider sophisticated methods m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nhance operation strategies of cold chain system at low-cost. First of all, as a major prerequisite to develop Korean agricultural cold chain system, the actual distribution condition and high-cost structure are specifically analyzed and also practical Enhancement plan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In terms of methodology, research results and statistics of cold chain logistics were collected for understanding the reality; only 3 to 7 percentage of fruit and vegetable products is distributed through the cold chain system. While examining the problem we are facing thoroughly, the author conducted a survey also on the employees of major industries in Cold chain; Transportation, Storage, Logistics, Distribution and Consulting industries. Thus, it is meaningful that the proposed blueprint and action plans in this paper are based on both scientific study and fieldwork. In addition, through case study of D company, analysis of high-cost cold chain system structure is implemented. Specifically, author did comparative analysis of establishment cost between general temperature facilities and low temperature one. Therefore, this study would support a further study on cold chain activation strategy. And furthermore, it would help Logistics company enter cold chain market. Consequentially, this research can be helpful to develop efficient logistic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 KCI등재

        신선물류의 선진화 과제와 발전 방안 - 저온저장 및 운송업계의 사회적 책임으로 중심으로 -

        한관순(Han, Gwan Soon) 한국물류학회 2018 물류학회지 Vol.28 No.4

        신선식품에 대한 소비자 안전성 요구의 증가로 물류서비스 수준 향상이 절실한 시대에 공산품 물류에 비해 뒤떨어져 있는 “신 선물류의 선진화를 위한 대응전략 모색과 발전을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최근 소비자의 식품안전 요구의 증대에 따라 신선물류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신선물류 프로세스의 핵심을 이루는 저장 및 운송업계의 선진화를 위한 과제와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신선물류 선진화의 전제조건으로 신선식품의 유통 특성과 품질관리의 어려움 및 저온관리의 효과분석, 식품유통의 품질(안심⋅안전)관리와 비용 간의 상충관계분석, 식품안전의 사회적 책임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핵심은 우선, 식품안전의 사회적 책임 실현을 위해 보관업계가 준수해야 할 ‘저 온물류센터의 보관 요구사항’에 대해 분석⋅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운송업계가 준수해야할 ‘위생적 운송요건’에 대해 살펴보았는 데,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 및 고찰이 아직 없는 실정으로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구의 방법은 신선물류 프로세스 가운데 저온저장 및 운송 관련의 식품안전에 관한 문헌조사와 통계 데이터 등을 수집⋅검토하여 유통현황과 R&D 기술수준을 파악하였 다. 본 연구는 청과부류의 신선물류 선진화와 발전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향후의 연구 방향 및 과제로는 농식품 콜드체인 운송 서비스 가이드라인의 제정을 비롯해 청과물의 품목별 특성을 고려한 농식품 안전의 향상을 위한 신선물류업계의 단체표준 운영요 건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가 이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needs of consumer safety for fresh agricultural products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improvement of logistics service has became an urgent issue. Compare to logistics of industrial goods, fresh logistics is far underdeveloped. Thus, research on advancement and development plan is needed. I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storage and shipping industry which is the core of the fresh logistics process. Before presenting the strategies, uniqu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y in quality control of fresh agricultural products were examined. At the same time, 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 management, and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management and cost of food logistics were analyzed. Social responsibility and need for food safety were also discussed. As part of the study, storage requirements of cold chain logistics center was established to fulfil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food safety. Hygienic qualification which the transportation industry must adhere to was reviewed. To my knowledge, this is the first national study about the issue.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and reviewing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which are related to cold chain storage and techniques, and analyzing the status of domestic distribution industry and R&D technology. Through this study, the desirabl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fresh logistics of fruits and vegetables was debated. In the futu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standard Agrifood cold-chain shipping guideline and a standard operating requirements for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setting the criterion.

      • KCI등재

        농식품 동북아 물류 허브 육성과 수출확대 전략

        한관순(Han, Gwan-Soon) 한국물류학회 2011 물류학회지 Vol.21 No.1

        우리나라 농식품 업계의 당면과제인 수출 확대를 위해 “농식품 동북아 물류허브 육성과 수출확대 전략”을 연계하여 추진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의 수출입시 물류특징을 비교하여 ‘07년 대비 ’09년에는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농식품 수출물류인프라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내 산지유통조직의 저온유통체계 구축 미비로 취급물량의 예냉처리율이 6.7%이고, 신선농산물의 집하운송시 냉장차 이용률이 27.8%에 불과한 실정으로 수출입 대기 중의 품질유지를 위해서 공․항만의 저온창고 정비 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농수산물 수출물류비 분석결과 전체 기업의 평균 7.3%보다 2.7%P 높은 10.0%로 나타났으며, 그것도 운송비가 대부분인 75.7%로 나타나 운송비를 중심으로 한 물류비 절감이 절실한 실정이다. 농식품업체의 수출확대를 위한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운송비의 절감, 선도유지가 가능한 운송수단과 저온물류센터의 확보 및 주요 공․항만에 일괄수출입서비스가 가능한 종합터미널의 구축, 일․미․중․구주․러시아에 해외공동물류센터의 구축 등 수출물류인프라 개발의 필요성과 그 운영의 효율화(판매영업의 전담 및 관리 물류전문인력의 배치), 국내 수출업체들간 과당경쟁에 따른 가격덤핑을 들 수 있다. 또한 농식품 물류인프라의 확충은 세계의 항만 물동량에서 동아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04∼08년 동안 48.1%에서 50.5%로 꾸준히 확대되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농식품 수출 핵심요소 기술별 기술수준과 격차 및 핵심요소기술의 우선순위 등을 고려할 때, 농수산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생산 및 가공기술의 개발과 수출시장 개척도 중요하지만, 앞으로는 물류허브 및 인프라개발에 대한 전략 강구로 日, 中과 차별화된 대응방안이 절실함을 살펴본다. 농식품 동북아 물류허브는 경쟁력 있고 매력적인 식품으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고, 일․중․아세안 국가들 및 전 세계를 대상으로 수출확대를 위해 물류체계의 고도화를 통한 부가가치 증대와 물류비 절감을 이룩하고, 심화되는 글로벌 경쟁 속에서 국경을 초월해 수출대상국 소비자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리드타임을 줄이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시스템을 갖춘 물류허브 구축과 수출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efficient strategies relating to fostering for Logistics Hub and extending Agro-food exports in North-East Asia. The main ideas of this research is how to make efficient Logistics Hub and Agro-food export. There are several conclusions have been settled as below. ① Finding a right direction for Agro-food export market and investment extension.; there is a problem of overseas market disruption because of separation in a form of logistics aids by regional govern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strategic plan of assistance in consideration of market efficiency instead of direct one. ② Securing Agro-food safety at local production level and exporting stage, and Introducing and procuring post-harvest management and processed technology. ③ Explaining about location of Logistics Hub and development of infra structure, and Building export logistics centers from long term view. ④ Building 'Logistics information network system' based on electronic tags(RFID) for Agro-food export. ⑤ Suggesting that some innovations should be necessary ; Setting new measures to reduce export logistics cost, being equipped with logistics education systems, adopting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and inducing uniformity in quality and grade of Agro-food. ⑥ Transferring from low cost logistics technology to quality reinforcing logistics technology. ⑦ Establishing of agro-food logistics(export logistics) statistical database for low logistics cost and accurate export policy.

      • KCI등재

        가락시장 식품 폐기물 발생 요인과 감축 및 자원화 관리체계

        한관순(Han, Gwan-Soon),김보송(Kim, Bo-Song) 한국물류학회 2022 물류학회지 Vol.32 No.2

        최근 들어 폐기물 특히 식품의 손실⋅폐기물의 감축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특히 서울시)의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오늘날 식품의 손실⋅폐기 문제는 식품의 공급에서 단순히 양을 줄이는 일뿐만 아니라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GHG)를 증가시켜 기후변화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전 세계 식품산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21∼37%에 이르며, 전체 산업제3위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배출원이다. 식품 분야 탄소배출 감축 대책은 단순히 생산단계에 머물거나 반응과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는 소비단계의 식품손실⋅폐기 감축에만 정책 초점과 관심을 집중할 게 아니라 생산→ 유통→ 소비→ 폐기를 포함하는 푸드시스템 관점에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매시장 중 가락시장 유통과정 최적화로 청과물의 손실⋅폐기 발생 요인 분석과감축 및 자원화 관리체계 개선 방안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는데 최종 목적이 있다. 2010년전국 33개 도매시장 연간 식품쓰레기 발생량은 133,250톤으로 청과물이 8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010년 가락시장의 식품쓰레기 발생량은 25,587톤으로 전국 도매시장의 19.2%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전국 도매시장의 쓰레기 발생량은 64,548 톤으로 줄어 ‘10년에 비해 42.9%나 감소하였다. ‘20년 가락시장 식품폐기물은 7,034톤으로 줄어 그 감축률이 47.4%로 전체 도매시장보다 쓰레기 감축률이 4.5%나 높다. ‘20년 가락시장 농수산물 쓰레기는 전국 공영도매시장의 농수산물 쓰레기 75,635톤의 14.4% 를 차지하여 ‘10년에 비해 4.8%나 감소하여 더 높은 비율로 쓰레기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가락시장이 여타 도매시장보다 앞서식품폐기물 감축을 위한 노력이 소기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폐기물 감축과 자원화를 위한 가락시장의 주요 관리체계는 농산물 포장화, 청과시장(2010년) 및 수산시장(2020년)의 쓰레기종량제 시행, 쓰레기 분리와 분리수거, 쓰레기 무단투기 단속, 벌크출하→파렛트단위 출하 등 물류체계개선, 팔다 남은 농산물의푸드뱅크 기부 확대 등을 들 수 있다. 가락시장은 이러한 관리체계의 도입으로 여타 도매시장보다 높은 괄목할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방법은 공영도매시장의 쓰레기처리 현황과 감축 및 자원화와 관련된 국내외 문헌조사와 통계 데이터 등을 수집⋅분석및 검토하여 발생 요인 및 처리 현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가락시장 식품폐기물 발생 요인과 감축 및 관리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와 관련된 미래의 주요 연구과제로는 자원과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식품폐기물 수집⋅운송 시 저온유통체계의 도입, 처리(감축 및 재활용)의 효율화를 위한 실시간 통계 DB 공유, 효율적 처리를 위한 처리시설 간 협업 네트워킹 및 공영도매시장의 책임성 강화 등 식품폐기물 처리로 순환경제사회 구축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유용하게활용되길 기대한다. Recently, the government have made huge efforts to reduce waste. The increase in food loss and waste not only reduces the overall supply of food, but also increases greenhouse gases, exacerbating global warming. The global food industry emits up to 37% of GHGs, the third largest source. Measures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the food sector should be implem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ystem encompassing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disposal rather than merely focusing on one part of it.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 loss and waste of fresh food in Garak Wholesale Market (GWM) and examine how the management system and distribution process can be improved to reduce it. In 2010, 85% of the annual food waste generated in the nationwide wholesale market was fruits and vegetables. GWM generated 19% of the garbage. But in 2020 the disposal rate of fruits and vegetable in GWM decreased by 4.8% compared to 10 years ago. This represents GWM made efforts earlier than other wholesale markets. The efforts can b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1. Packaging of agricultural products 2. Implementations of the volume-based waste disposal system for green grocery and seafood 3. Separate collection of waste 4. Control of illegal dumping of garbage 5. Improvement of logistics system 6. Encouraging donation of stocked agricultural products. As the method of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earch and statistical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Factors that generate food waste in GWM were examined and waste management and reduction measures were discussed. Introduction of a low-temperature distribution system when collecting and transporting food waste that reduces resource and energy consumption, sharing of a real-time statistical database for efficient treatment (reduction and recycling), collaborative networking between facilities for efficient treatment, and strengthening of accountability in public wholesale markets, and contributing to the construction of a circular economy society through food waste treatment will be a major research topic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to find a food waste treatment method that reduces resource and energy consumption.

      • KCI등재

        수박 물류효율화를 위한 산지와 가락시장의 유통실태분석과 과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관순(Han Gwan Soon)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1

        수박은 지금까지 밭에서 수확 후 바로 가락시장으로 반입되어 시장 내에서 선별과 등급별 포장을 해왔다. 수박은 다시 우든칼 라에 재포장된 후, 경매를 통해 소매상으로 분산되는 방식이 2015년까지 지속되었다. 이 방식은 수박의 출하와 유통이 낱개나 상자단위로 이뤄지고, 하역과 선별작업이 인력으로 이루어져 유통시간 지체와 시장혼잡을 유발하고 하역기계화율이 6.4%에 불과하는 등 비효율적이었다. 이에 반해 농협유통 등 대형유통업체는 이미 15년 전부터 수박을 파렛트에 적재해 출하 및 유통시킴으로써 물류효율화의 진전을 이루어 하역기계화율이 99.5%에 이른다. 도매시장과 대형유통업체(이하 농협유통)의 유통경로별 유통비용 비교분석 결과에 의하면, 도매시장 경로가 농협유통 경로에 비해 유통비용이 7.5%나 높게 나타난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지에서 가락동 도매시장으로 출하되어 유통되는 수박의 물류효율화를 위한 유통실태 분석과 과제의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수박 물류효율화 추진으로 생산자나 출하자에게 기대되는 주요한 효과는 1∼2일에 이르는 유통시간 단축과 품질관리로 농가수취가격의 향상과 운송비의 인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산물출하(A)방식에 비해 산지부터 선별⋅우든칼라 포장 후 파렛트에 적재해 출하는 B방식, 산지선별⋅종이박스 포장 후 파렛트에 적재해 출하하는 C방식의 경우에 각각 26%, 87%의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산지와 가락시장의 물류효율화를 위한 물류인프라 확충차원에서 파렛트를 이용한 수박의 출하와 유통이 정착될 때까지 최소 2년간 한시적인 정부지원이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방법은 산지 현장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수박 유통관련 문헌조사와 통계정보를 수집하여 유통실태를 분석한 결과, 농협유통 경로에 비해 도매시장 경로의 물류관리 수준이 낙후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본 연구는 향후 수박 이외의 과채류를 비롯한 청과물 등의 물류효율화 추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Until now, watermelons were delivered to the Garak Wholesale Market right after harvesting. In the marketplace, they were sorted by each grades and packed separately. After that, they were double-packed in wooden box to supply to retailers. This system lasted until 2015. In that system, shipping and distribution of the products should be done respectively and manually. These obstacles induced time-delay and market congestion. Contrariwise, a large-scale distributor such as Korea Agricultural Cooperative Marketing Inc.(hereinafter referred to as KACM Inc.) has already achieved logistics efficiency by utilizing pallets to ship and distribute watermelons from 15 years ago. As a result, their cargo handling mechanization rate reaches up to 99.5%.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the costs of wholesale market are 7.5% higher than those of KACM Inc.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ctual conditions of distribution of watermelons and to improve logistics efficiency. The anticipated effects for each economic player are summarized in Table 14. By adapting new methods to the field, it is the most anticipated for the producer that the rise in receipt-price and reduction in shipping time-costs would occur. However, new method B and C suggested by this study would cost additional expense comparing with the typical method A, as mentioned in Table 12. Therefore, government needs to stabilize the introduction of pallet-using distribution for watermelons. The method of research is based on a field investigation of production area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anagement level of Garak Wholesale Market logistics is inferior to that of KACM Inc. by literatur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This research would be contributive to promote improvement projects of the logistics for Watermelon but also for other fruit and vegetables.

      • KCI등재

        대파의 물류 선진화 과제와 발전 방안

        한관순(Han, Gwan Soon)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1

        Welsh onions (green onions) are an essential ingredient for Korean dishes.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the welsh onions were distributed and handled in large quantities and shipped from the original production area to the Garak whole market. Therefore, making the logistics system more efficient is the key to improving product quality. In the past, there were two main distribution systems. In the first method, green onions are directly delivered to Garak whole market without any packaging and the bundle work is performed in places near the market. In the second method, green onions are prepared, sorted and packaged locally and the packaged ones are delivered to the market. When it comes to the first methods, distribution time is frequently delayed and congestion in the market is generally increased. As a result, quality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To solve the problem, from October, 2018, Garak whole Market started to package welsh onions in 10㎏ boxes or vinyl(nets) bundle:1㎏×10tier and to ship it in units of pallets. After that the products loaded and unloaded with mechanized machinery, such as fork-lifts. To analyze the expected effects of the change of the distribution system from the previous methods to newly adapted pallet system, the distribution status and logistics cost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logistics cost analysis by shipment methods, compared to the first unpacking method, the logistics cost for pallet shipping have increased. In other words, when shipped in a pallet of 10kg of plastic packaging, the cost increased by 13 Korean won per 1kg. In addition, logistics costs increased by 159 Korean won per 1kg when the welsh onions packaged in 10kg cardboard boxes. As the system of shipments and transactions was improved, the loading time is reduced from 2 hours to 10 minutes, the total waiting time of shipping vehicles was reduced from 8 hours to 10 minutes which is approximately 98% reduction. Furthermore, introduction of specialized freight forwarder (3PL) reduced total shipping costs up to 20%. In the retail stage, the time required for distribution to large-scale customers was shortened, and the sales of pallets became easier. At the wholesale stage, the final price of welsh onions rose by 44%. This is expected to motivate pallet shipmen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workers who unload the products to the wholesale market. In addition, the space efficiency of the green onion auction hall is expected to improve and the pallet shipment rate of Garak whole market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usable containers will not only lead to a reduction in total logistics costs, but also can be expected to becom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logistics system.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worth building a pallet shipment system.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ogistics improvement by using pallet for agricultural products could be more useful for efficient distribu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including green onions. 양념채소인 대파는 식탁에 없어서는 안 되는 기본 식재료이다. 대파는 대량으로 유통되는 대표적 농산물로서 주산지에서 가락시장으로 출하되어 유통되는 비중이 높아(‘18년 33.9%) 물류체계 선진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다. 지금까지 대파는 산지에서 50∼55% 가량은 ‘무단(단으로 묶지 않음)’으로 운송해 가락시장 인근 작업장에서 1㎏ 단묶음 작업을 하여 출하하는 형태와 45∼50% 가량은 산지에서 수확·조제·선별 후 1㎏ 단묶음 작업해 출하하는 형태로 구분된다. 이러한 비포장의 산물로 출하된 대파가 가락시장에서 차상거래 됨에 따라 판매가 끝나는 다음날 03∼04:00까지 차량이 시장에 장시간 대기하여 그에 따른 시장의 혼잡가중과 유통의 지체로 신선도 저하 등의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여러 문제의 개선을 위해서 가락시장은 ‘18년 10월부터 대파의 10㎏ 묶음 포장화(1㎏×10단)를 비롯해 파렛트 단위로 출하하고, 이를 지게차로 하역하는 하역기계화로 전환해 10㎏ 비닐(망)포장이나 박스포장 단위가 아니라 파렛트 단위로 경매하는 하차거래를 추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지부터 가락시장까지 대파의 유통체계 전환(비포장·차상거래→ 파렛트화·하차거래)에 따른 유통현황 분석(<그림 7>→ <그림 8>)과 과제의 파악, 그리고 하차거래 시행 전후의 물류비 비교분석과 그에 따른 기대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출하 방법별 물류비 분석결과에 의하면, <표 13>에서 보듯이 대파의 산지(강원 평창)→ 가락시장으로 8톤 트럭운송의 경우, 비포장·차상거래는 총물류비가 3,689,000원(A), 10㎏ 비닐포장+ 파렛트화(B)는 4,349,600원(B), 10㎏ 골판지상자포장+파렛트화(C)는 4,389,600원으로 산정되었으며, 이를 1㎏당 비용으로 환산 시, 각각 527원, 544원, 686원으로 분석되었다. 대파의 파렛트 출하에 따라 기존 방식에 비해 1㎏당 각각 17원(B-A), 159원(C-A)의 물류비가 증가되었지만, 상품성 향상, 철저한 선별, 거래 편의성 증가에 따라 1㎏당 대파의 출하자 수취가격이 각각 366원(B-A), 689원(C-A)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어 하차거래 시행이 바람직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파의 출하와 거래가 새로운 방식으로 개선됨에 따라 <표 16>에서 보듯이 우선, 출하단계의 상차시간 단축(2시간→ 10분), 출하차량의 판매·분산까지의 대기시간 단축(평균 7∼8시간→ 10분으로 약 98%↓), 전문 화물운송업체(3PL)에 의한 운송비의 인하(5∼20%)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도매단계에서는 출하자의 대파 수취가격이 44%정도 상승해 파렛트 출하에 대한 동기부여 및 도매시장 대파 하역의 기계화로 하역원의 다른 품목으로의 작업 전환과 근로자 삶의 질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소매단계에서 대규모거래처로 분산시간의 단축 및 파렛트 단위 거래로 판매가 용이한 점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대파 경매장 공간효율의 향상(35%)과 가락시장 파렛트출하율의 지속적 견인(‘16년: 10.6%→ ‘17년: 21.5%→ ‘18년: 33.5%)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물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일본·EU가 대파의 포장을 위해 반복사용 용기를 이용한 물류비 절감과 친환경을 위해 적극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는 향후 연구의 과제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대파의 물류 선진화 과제와 발전 방안’의 주요 성과를 토대로 향후 과제 연구의 진척이 이뤄지면, 대파를 비롯한 청과물 유통의 효율화에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딥러닝 기반 교통 비디오 분석 및 시각화

        서성원(Seongwon Seo),송은재(Eunjae Song),이동기(Donggi Lee),류동준(Dong June Ryu),남광우(Kwang Woo Nam) 대한공간정보학회 2022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5

        사거리 등에 설치된 교통 카메라는 도로상에 이동하는 차량과 사람에 대한 모든 정보를 영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도시의 도처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안전한 도시를 위해 중요한 교통정보 인프라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인력에 의해 모든 정보를 계속적으로 감시하는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복합적 이상 상황을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교통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들이 딥러닝 기반의 영상 인식 기술들과 결합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이 논문은 딥러닝 기반의 교통 영상 분석과 시간 통계 분석 가시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교통 카메라에서 수집되는 영상을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인식하고, 이 인식한 정보들을 시간상에서 통계적으로 가시화 함으로서 교통정보 관련 의사결정권자가 일반적인 딥러닝 인식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파악할 수 없는 다양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시스템과 차별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