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velopmental Changes of Recessive Genes-mediated Cucumber mosaic virus (CMV) Resistance in Peppers (Capsicum annuum L.)

        민웅기,유재황,안수현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2

        Cucumber mosaic virus (CMV)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iral diseases in pepper (Capsicum annuum L.), and severalgenes for resistance were reported in Capsicum spp. In Korea, a single dominant gene that is resistant to CMV Fny and CMV P0has been used for breeding. Recently, a new strain (CMV P1) was reported that could infect cultivars resistant to both CMV Fnyand CMV P0. Therefore, breeding of more robust CMV-resistant cultivars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inheritanceof CMV P1 resistance and analyzed the location of the resistance loci. After CMV P1 inoculation of various germplasms and breedinglines, one accession (ICPN18-8) showed no visual symptoms at 15 dpi (days post inoculation) but was susceptible after 45 dpi,and one resistant line (I7339) showed resistance until at 45 dpi. The latter line was used for tests of resistance inheritance. A total of 189 F2 plants were examined, with 42 individuals showing resistance at 15 dpi and a phenotype segregation ratioclose to 1:3 (resistant:susceptible plants). In a lateral ELISA test at 45 dpi, 11 plants showed resistance, and the segregationratio was changed to 1:1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sistance in C. annuum ‘I7339’ is controlled by two different recessivegenes; we named these resistance genes ‘cmr3E’ and ‘cmr3L,’ respectively. To locate these two resistant loci in the pepper linkagemap, various RAPD, SSR, and STS markers were screened; only nine markers were grouped into one linkage group (LG). Onlyone RAPD primer (OPAT16) was distantly linked with cmr3E (22.3 cM) and cmr3L (20.7 cM). To develop more accurate markersfor marker-assisted breeding, enriching for molecular markers spanning two loci will be required.

      • 白德産과 隣近 山地의 植物相

        閔雄基,張珍成,全正壹,金輝,崔道烈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2002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2

        영월군과 평창군의 경계에 위치한 백덕산 지역을 중심으로 2001년 4월부터 9월까지 6회에 걸쳐 채집, 조사하였다. 백덕산과 인근 사갓봉(삿갓봉), 솟때봉, 739고지에서 채집된 식물은 모두 90과 154속 243분류군이었다. 본 조사 지역에서 확인된 특정식물종 중 5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4등급 6분류군, 3등급 16분류군, 2등급 12분류군, 1등급 21분류군으로 모두 55개 분류군의 특정식물종이 확인되었다. 백덕산에서는 총 43개 분류군의 특정식물종이 관찰되었다. 확인된 특정식물종을 등급별로 나누어 등급별 종수와 등급별 평가점수를 곱하여 합산한 산지별 평가점수는 소권역 전체의 총점이 234점이었고 백덕산이 20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솟때봉 36점, 사갓봉 20점, 739고지 12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권역에서 발견된 특정식물종 중 4등급에 해당하는 개벼룩, 점현호색, 가지괭이눈, 산겨릅나무, 꽃개회나무 등은 대부분 인위적 및 자연적인 위협 요인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나 계곡의 등산로에 인접한 도깨비 부채는 답압에 의해 부분적으로 훼손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Baek-deok-san(alt. 1,350 m) and adjacent regions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Pyeongchang-gun and Yeongwol-gun in Gangwon province, from April 2001 to Sept. 2001. The purpose of out study was to enlist vascular plant species of Mt. Baek-deok-san Sa-gat-bong(1,029m), Sot-dae-bong(833m) and 739 peak(739m) and to inventory rare and endangered plants. During the exploration, we found 90 families, 154 genera, and 243 taxa(including species, subspecies, varieties and forms). The flora of Mt. Baek-deok-san included forty-three taxa as endangered species. Each sites were scored by the standard points which could be estimated by the multiplication the number of taxa and their grade. It was shown that Mt. Baek-deok-san had the highest score, 200 points, which were followed by Sot-dae-bong(36 points), Sag-at-bong(20 points), and 739 peak(12 points). There were seven species(Syringa wolfii, Moehringia lateriflora, Corydalris maculata, Chrysosplenium ramosum, Rodgersia podophylla, and Acer tegmentosum), of the 4th level of conservation priority. It seems to be there are no apparent artificial or natural threat at hand. However, Rodgersia podophylla population faced the anthorpogenic threat.

      • 雲達山의 植物相

        閔雄基,張珍成,全正壹,金輝,崔道烈,金承昆 서울대학교 수목원 2001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Undal (alt. 1,097.2m) located on the northwestern side of province Gyeongsangbuk-do, near Myngyeong-si city, from April 2000 to Sept. 2000. Total number of vascular plants discovered in Mt. Undal were 70 families, 154 genera, and 243 taxa(including species, subspecies, varieties and forma). Major vegetation was Acer pictum var. mono - Quercus mongolica -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The overall forest stand age of this area was 40 to 50 years, and occasionally ca 70 years old Abies holophylla trees were found. Although, there were no rare and endangered speices, we found two species of level IV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 Anemone koraiensis Nakai, Anemone reflexa. Steph. et Willd.

      • 大岩山의 植物相

        閔雄基,張珍成,全正壹,金輝,崔道烈,鄭承洙 서울대학교 수목원 2000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20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s. Dae-am, Dae-woo, Baek-suk, and Sa-myung located on the east side of DMZ in province Yang-gu-gun, from July 1999 to August 2000. Although two hundred and fifty eight vascular plant taxa (70 families 167 genera) were recorded, this was only a part of representatives in this community because of the restrictin of collections within the military zone. The overall forest stand age of this area was 40 to 50 years, but occasionally ca 70 years old trees were found. We reported 11 taxa of th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this area. The Yong-neup, the only high altitude (alt. 1,200m) moore in south Korea, are located in the peak of Mt. Dae-am-san. Some species of this moore (Carex chordorrhiza Ehrh., Carex limosa L., and Gentiana jamesii Hemsl.) - were only found in south Korea. This moor would suffer vegetation change by natural moorland succession and human disturbances. The long-term monitoring of variation of annual vegetation, species distribution, number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individuals of rare species are recommended for the wetland conservation.

      • KCI등재후보

        동북아시아 지역의 문화 연계수단으로서 크루즈 관광루트의 관광학적 의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웅기,유광민,김남조 동북아관광학회 2014 동북아관광연구 Vol.10 No.3

        동북아시아 지역은 근대화 과정에서 새롭고 다양한 서구 문화가 유입됨과 동시에동질적 지역 문화의 블록화가 이루어진 복잡한 공간적인 문화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동북아시아 고유의 문화권 교류를 위하여 동북아시아 크루즈 관광루트 개발계획은 이지역의 물리적, 공간적 연계 뿐 아니라, 한반도의 분단된 민족 간 화해와 협력이라는정치문화적 차원에서도 새로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오랜 기간 지속된 이질적인역사, 문화를 서로 이해하고, 융합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할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사회적 효용성에 근거하여 동북아시아 해안지역을 중심으로크루즈를 이용한 관광지 발굴 및 정보제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그린투어리즘 연구의 담론 분석

        민웅기 한국여가문화학회 2007 여가학연구 Vol.5 No.1

        한국사회에서의 그린투어리즘 연구는 주로 농촌 지역 중심의 관광농원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기존의 다양한 연구담론들을 분석해 보면, 실질적 정책 실현과 관련된 연구가 다소 정체되어 있으며, 추진 주체에서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역시 미흡하다. 또한 그린투어리즘의 발현을 둘러싼 사회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적 시각의 연구나 보다 큰 국가형성과 이에 근거한 정책 형성과정의 거시적 분석틀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21세기 지속가능한 사회에서 건전한 여가문화의 한 수단으로 그린투어리즘이 발전하여 새로운 생활방식의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연구 담론과 차별적인 색다른 분석 방법 역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樹木園 所藏標本을 中心으로 한 國內 木本 植物의 分布地와 識別 (Ⅳ) : 진달래科

        全正壹,張珍成,閔雄基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1998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18

        진달래과에 속하는 7개 속중 남한에는 진달래속과 산앵도나무속 2속만이 분포한다. 진달래속(Rhododendron)에는 R. brachycarpum(만병초), R. micranthum(꼬리진달래), R. dauricum(산진달래), R. mucronulatum var. martimum(반들진달래),·R.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진달래), R. mucronulatum var. ciliatum(털진달래), R. tschonoskii(흰참꽃), R. yedoense for. poukhanense(산철쭉), R. weyrichii(참꽃나무), R. schippenbachii(철쭉꽃) 등이 관찰되었다. 이중 Yamazaki이외의 학자들에 의해 제안된 종이하 분류군중 R. mucronulatum var. taquetii, R. yedoense var. hallaisanense, R. brachycarpum var. tigerstedtii (Nitzelius) Davidian, R. brachycarpum var. roseum Koidz 등 4변종은 각각 R. mucronulatum var. ciliatum, R. yedoense for. poukahense, R. brachycarpum 등의 변이로 이명처리가 타당한 듯 하다. 한편, R. parvifolium은 R. lapponicum의 변종인 R. lapponicum var. parvifolium (Adams) Yamazaki로 처리된다. 종전까지 독립된 속으로 인정된 Oxycoccus(애기월귤속)와 Hugeria(산매자나무속)속은 산앵도나무속(Vaccinium)으로 포함시키고 있다. 따라서, 남한에는 산앵도나무속(Vaccinium)에 속하는 종은 V. koreanum(산앵도나무), V. uliginosum(들쭉나무), V. oldhamii(정금나무), V. bracteatum(모새나무), V. japonicum(산매자나무) 등 5종이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형태적 형질을 재조사하여 검색표를 재작성하고 분포도를 제시하였다. To clarify the taxonomy of two genera (Vaccinium and Rhododendron) of Ericaceae, herbarium specimens collected from South Korea past forty years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leaf, flower and fruit morphology.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s among Rhododendron taxa showed that ten taxa could be recognized. The current study rejected several varietal status R. mucronulatum var. taquetii, R. yedoense var. hallaisanense, R. brachycarpum var. tigerstedtii, R. brachycarpum var. roseum mainly proposed by Yamazaki. On the other hand, R. parvifolium justified varietal status, i.e., R. lapponicum var. parvifolium (Adams) Yamazaki, Also, a plausible suggestion was that the entities of genera Oxycocus and Hugeria must be united and recognized under the genus Vaccinium. Results from this current study of Rhododendron and Vaccinium in south Korea showed that R. brachycarpum, R. micranthum, R. dauricum, R. mucronulatum var. martimum, R.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R. mucronulatum var. ciliatum, R. tschonoskii, R. yedoense for. poukhanense, R. weyrichii, R. schippenbachii, V. koreanum, V. uliginosum, V. oldhamii, V. bracteatum, and V. japonicum were recognized respectively. Finally using a key and a limited sample of the Arboretum herbarium (SNUA) specimens to all taxa, the distrbution maps were provided here.

      • KCI등재

        지역관광지의 공유경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탐색적 고찰 : 지역사회 기반 숙박 및 차량 공유경제서비스 운영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민웅기,김상태 한국지역문화학회 2019 지역과 문화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쟁점 중 하나인 공유경제서비스가 지역관광지 내 공유경제네트워크 구축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정착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 탐색적 수준에서 분석했다.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숙박 및 차량 기반 공유경제서비스에 대해서 호의적인 태도는 지역공유경제서비스의 네트워크 및 지역주민교육의 필요성, 지역경제활성화에 대한 신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고, 소비자 스스로의 공유경제서비스에 대한 지식, 정보 학습의 열망이 매개되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지역의 관광자원개발 과정에서 구축될 수 있는 공유경제서비스 활성화는 지역사회, 지역주민들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소비자의 공유경제에 대한 정보 및 지식의 학습이 함께 구현되어야만 지역관광지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 지역사회의 공유경제 네트워크를 통한 관광지 및 관광자원 개발은 소비자와 지역주민의 상호작용을 통한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시민의 비대칭적 관광불평등 구조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적 배제 및 결핍 현상을 중심으로

        민웅기 한국관광진흥학회 2023 관광진흥연구 Vol.11 No.3

        This study discusses the tourism inequality structure of multicultural citizens who are classified as vulnerable tourists among members of society and aim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overcome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 members exposed to asymmetric policy, industrial,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s of their tourism activitie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in-depth interviews was used to explore the discrimination multicultural citizens experience in tourism activities and their discourse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is social exclusion which can be overcome with human/material goods/service support, institutional environmental support, and non-material/subcultural support, and the second category is a deficiency that comes from intrinsic, interpersonal, and structural constraints in tourism activities. The analysis leads to policy suggestions to overcome the asymmetrical neutral system that causes tourism inequa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promote tourism based on publicity. Considering the individuality and collective nature of multicultural citizens, both material resources and psychologic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multicultural citizens and existing citizens. Specifically, policy support for multicultural citizens is for material resources support: economic support, language education, and granting accessibility through administrative system maintenance based on individualit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working hours and available vacation time intervals, maintenance of support system and establishment of the network through tourism information, etc. based on collective nature. Policy support for existing citizens, meanwhile, is mainly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expansion of education for cultivat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psychological education for emotional bonding with multicultural citizens based on individuality; civic education for mutual exchange between mainstream culture and subculture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overcome cultural exclusion based on collective nature. Through the above policy concepts, institutional efforts should be made to stably build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capital. 본 연구는 사회구성원 중 관광약자로 명명되는 다문화시민의 관광불평등 구조에 대해 논의하고, 관광과관련한 비대칭적인 정책적, 산업적, 사회문화적 환경에 노출된 그들의 사회적 차별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직접적인대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실제 다문화시민들이 관광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차별구조에 대해 고찰했다. 분석과정을 살펴보면, 다문화시민의 관광불평등 관련 담화 주제 중에서 첫 번째 주제군에 속하는 직접적인 인적·물적 재화 및 서비스 지원, 제도적 환경의 지원, 비물질적·하위문화 지원으로 극복될 수 있는 사회적 배제의 범주와 두 번째 주제군에 속한 관광활동 제약요인으로서의 내재적, 대인적, 구조적 요인으로 구성되는 결핍의 범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했다. 이상의 분석내용을 토대로 다문화가족의 관광불평등을 유발하는 비대칭적 뉴트럴 체계의 극복과 공공성에 기반을 둔 관광 진흥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면, 관련 정책들은 다문화시민의 개별성과 집단성을 함께 충족함은 물론, 물화된 물적 자원의 지원과 심리적 지원이 다문화시민과 기존 생활권에서 활동하는 시민에게 함께 구현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문화시민들을대상으로 한 정책 성격은 주로 물적 자원의 지원과 관련된 부분이다. 개별성에 기초한 지원 정책으로는 경제적 지원, 언어교육, 행정체계의 정비를 통한 접근성 부여 등이 있으며, 집단성에 근거한 정책적 지원으로는노동 및 휴가의 조정, 관광정보를 통한 지원 체계의 유지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이 도출되었다. 기존 생활권에서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정책적 지원은 주로 심리적·정서적 지원 형태로 나타난다. 개별성에 근거한 지원정책으로는 다문화감수성을 함양하는 교육의 확대, 다문화 시민과의 감정적 유대를 위한 심리교육 지원 등이 있으며, 집단성에 근거한 지원 정책으로는 주류문화와 하위문화의 상호교류를 위한 시민교육과 문화 배타성 극복을 위한 문화 다양성 교육이 이에 해당된다. 이상 논의한 정책 개념을 통해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자본의 안정적 구축을 위한 제도적 노력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