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지조선의 외국극 수용에 대한 연구 방법론의 모색 – 연극 <카르멘>을 대상으로

        김재석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9

        이 논문의 목적은 ‘고고학적 비교 연극 연구’를 소개하고, 토월회의 연극 <카르멘>을 통하여 연구의 실제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외국극 공연대본의 부재는 식민지조선 근대극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제이다. 고고학적 비교 연극 연구는 직접적인 비교 연구가 불가능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모색의 일환으로 구안되었다. 식민지조선에서 이루어진 외국극 공연이 남긴 흔적(traces)을 통하여 해당 공연의 구체적 상황을 재구하고, 공연의 연극사적 의미를 찾아가는 것이 고고학적 비교 연극 연구의 목적이다. 고고학적 비교 연극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수행된다. 첫째는 원작에 대한 연구, 둘째는 작품 유입 과정에 대한 연구, 셋째는 식민지조선 근대극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토월회는 연극 <카르멘>을 1924년에 2회, 1926년에 1회 공연하였다. 특히 윤심덕이 카르멘으로 출연한 1926년의 공연은 토월회 제3기의 임시 해산과 관련이 있어서, 식민지조선 근대극의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토월회가 공연에 사용했던 대본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연극 <카르멘>에 대한 연구 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고고학적 비교 연극 연구 방법을 적용하면, 연극 <카르멘>의 공연 상황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식민지조선 근대극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원작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오페라의 카르멘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고자 하는 당당하고 솔직한 여성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일본으로 유입된 오페라 <카르멘>은 아사쿠사(浅草) 오페라를 거쳐 게이쥬츠자(芸術座)의 연극으로 각색되는 과정에 남성 돈 호세의 이야기로 바뀌었다. 일본에서 인기 높은 신쥬모노(心中物)의 영향이 미친 것인데, 이를 통해 카르멘의 심상은 돈과 사랑 사이에서 변덕을 부리는 요마(妖魔)로 굳어졌다. 이러한 사실은 유입 과정에 대한 연구에서 확인된다. 선행 단계에서 얻어진 결과는 식민지조선 근대극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에 활용된다. 토월회는 남성 중심의 전근대적 인식이 지배적인 게이쥬츠자의 연극 <카르멘>을 수용하면서, 경국지색의 여성에 대한 경계를 담은 작품으로 해석하였다. 그로 인하여, 토월회 공연에서는 돈 호세와 카르멘이 선과 악의 구도 속에 놓이게 되어 남성 중심의 전근대적 인식이 더 강화되었다. 1926년 공연에서는 가수인 윤심덕을 위하여 게이쥬츠자의 게키츄카를 적극 활용하였고, 결국 토월회의 독자적 해석이 거의 없는 일본 공연의 종속적 작품이 되고 말았다. 토월회의 연극 <카르멘>이 지닌 강력한 전근대성과 통속성은 사회적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윤심덕 및 핵심 인물들의 탈퇴로 이어졌다. 그것이 제3기 토월회 임시 해산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Archaeological comparative theater study' and to present its practical use through the study of Towolhoe's Carmen. It is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studying the modern theatre in colonial Korea that the scripts of foreign theatres is not left. In this situation, the Archaeological comparative theater study is groped as the way to solve this problem when it is impossible to study the direct comparison between them. It is the object of the archaeological comparative theater study to reconstruct the concrete situation of the performance by means of its trace which the foreign theatre performance left in the colonial Korea and to find its theatrical meanings. This study is carried out in three parts; study on the original work, the study on the inflow process of the work, and the study on its influence on modern drama in colonial Korea. Towolhoe performed the theatre, Carmen twice in 1924 and once in 1926. Because the performance of 1926 in which Yun Simdeok appeared as Carmen had something to do with third period Towolhoe's temporary dissolution,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modern drama in colonial Korea. It was considered impossible to study the theatre, Carmen, since the script used in the performance of Towolhoe was not left. Through the study on the original work, I confirm that Carmen in opera is a dignified and honest woman who wants to live her life. The opera, Carmen that had come into Japan was adapted into Geijyutuza's theatre through Asakusa opera. In this process, it was changed as the story of a man character, Don José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love-suicide drama. Owing to it, Carmen came to have the strong image of a wicked woman who makes a whim between money and love. Such results are confirmed through the study on its inflow process. The results are utilized in the study on the influence on modern drama in colonial Korea. Towolhoe accepted Geijyutuza's theatre, Carmen which had pre-modern perception of male-dominated and translated this work as the warning to a woman who was beautiful enough to the downfall of a country. Don José and Carmen was placed in a composition of good and evil and the pre-modern perception of male-dominated was more strengthened. In the performance of 1926, the songs used in the performance of Geijyutuza's theatre was inserted for Yun Simdeok, which made this performance the dependent work of Japanese performance with little their own interpretation. Its pre-modernity and inherent vulgarity caused Yun Simdeok's repulsion and worked as the causes of main members' withdrawal and the third Towolhoe's temporary dissolution.

      • KCI등재

        자발적 지역사회운동(社区活动)과 국가의 정치적 동원 시도: 중국 광둥성 푸양시 커피전문점과 청년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재석 한국문화인류학회 2022 韓國文化人類學 Vol.55 No.1

        본 논문은 중국 광둥성 푸양시의 커피전문점인 앙스카페와 지역사회운동인 사구활동(社区活动)을 주도하는 청년회, 그리고 타지(他地)출신 대학생들이 “전통적 공동체 가치의 회복”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연대해 나가는 과정을 분석한다. 앙스카페는 다국적 기업인 스타벅스와의 경쟁에서 지역기반을 강조하는 차별화 전략으로 지역주민 대상의 독서회를 조직하였다. 독서회는 청년회의 활동과 연계하면서 민간이 주도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지역사회운동으로 변모하였고, 여기에 타지출신 대학생들이 가세하면서 참여기반을 확대하였다. 그러나 횡단적 연대에 힘입은 사구활동의 성공은 푸양시 정부와 당의 관리와 정치적 동원의 시도를 불러왔고, 이는 사구활동의 자발성과 독립성을 약화시켰다. 푸양시 당⋅정은 전통문화를 정치적 자원으로 간주하는 중앙정부의 입장을 따라 전통적 공동체 가치를 회복하려는 두 단체의 활동을 지원하였고, 이들을 정부 주도 지역축제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기층치리를 강화하려 하였다. 연구자는 사구활동을 사회치리 강화에 이용하려는 지방 정부의 시도가 청년회 회원들의 의심과 반발, 타협과 수용의 태도를 불러오는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횡단적 연대에 기반한 사구활동이 당⋅정의 위계적 권력과 조우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로 접근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유치진의 록팰러재단 미국 연극 연수에 대한 연구

        김재석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1

        This paper is aimed at reconstructing Yoo Chijin's training for American theater and examining its effects on his theatrical activities. In 1956 he was selected as the Rockefeller Foundation's fellowship and went to America in June. Since then he had been training for about 8 and half months in America and visited European and East Asian theatrical circles for 4 months. Yoo Chijin's memoirs including Dongrang Jaseojeon (Dongrang Autobiography) explained that he went to America accidentally but the training was planned by Charles Burton Faths's push combined with Yoo Chijin's effort. When Charles Burton Faths met Yoo Chijin for the first time in 1948, he judged that Yoo Chijin was the right man who could pursue theater education and community theatre. After that for 8 years Faths had pushed Yoo Chijin by giving him related books and theatrical informations and demanded that he should improve his English ability. Yoo Chijin who withdrew from National Theater representative and needed a breakthrough had a strong will. He had made constant efforts to satisfy Faths's standard and finally he was selected as a fellowship. Yoo Chijin's Training in America consisted of a great deal of content and conducted effectively by the Rockefeller Foundation's active management. After language study, the training had been conducted with two goals. First goal was to collect materials on curricula managed by departments of theater in American universities and various theater schools and to visit them. Second one was to visit representative community theatres and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s. During this training, Yoo Chijin met first rate American theatrical people and could look around representative community theatres, so his confidence in America more deepened. Through American training Yoo Chijin shaped the direction of hid theatrical activities, which could b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he clarified the self awareness as a playwright representing Anti-Communist theater and tried to raise playwright's status by publishing English translation collection of his works. Second he shaped up the goal to found a theater in seoul through his understanding the way to manage a theater by the support of public institutions, visiting representative community theatres. After coming home, he tried to practice the awareness established in American training. Hangangeun Heureunda is the work of his will to continue a role of anti-communism playwright. His goal to establish a community theater was connected with constructing new theater. In this sense, the August of 1958 should be recorded as the time when Yoo Chinjin's theatre activities started in a new direction. 이 논문은 새로운 자료를 통해 유치진의 미국 연극 연수를 재구성하고, 그의 연극 활동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1956년 6월에 유치진은 록펠러재단(the Rockefeller Foundation)의 연수자(Fellowship)로 선발되어 미국으로 떠났다. 그로부터 약 8개월 반 정도 미국에서 연수를 받았으며, 유럽과 동아시아 연극계를 4개월에 걸쳐 시찰하고 돌아왔다. 『동랑자서전』을 비롯한 유치진의 회고에서는 그가 미국 연수를 우연히 떠난 것처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록펠러재단의 찰스 버튼 파스(Charles Burton Fahs)의 추동과 유치진의 노력이 결합된 기획 사업이었다. 1948년에 유치진을 처음 만난 파스는 그가 미국의 연극 교육과 지역사회 연극(community theatre)을 한국에서 추진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하였다. 그 후 8년간에 걸쳐 파스는 관련 책들과 연극 정보를 전하면서 유치진을 추동하였고, 영어 실력의 향상을 필수 조건으로 제시했다. 국립극장장에서 물러난 이후, 유치진은 자신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미국 연수에 강한 의욕을 드러내었다. 유치진은 파스의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으며, 마침내 연수자로 선발되었다. 유치진의 미국 연수는 대단히 알찬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록펠러재단의 적극적 관리에 힘입어 효과적으로 진행되었다. 어학 공부가 끝난 이후 본격화된 연수는 두 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째는 미국 대학교의 연극학과 및 각종 연극학교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과목에 대한 자료 수집 및 견학이다. 둘째는 미국에서 대표적인 지역사회 극장을 방문하여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는 연수 과정 중에 최고 수준의 미국 연극인들을 만났고, 미국의 대표적 지역사회 극장을 둘러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수 과정 동안 미국에 대한 유치진의 신뢰는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 유치진은 미국 연수를 통하여 자신의 연극 활동이 나아갈 방향을 구체화하였는데,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한국의 반공극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자기 인식을 분명히 나타내었으며, 자신의 영역 작품집을 미국에서 출간함으로써 작가적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다. 두 번째는 미국의 대표적 지역사회 극장을 통해 극장 운영과 연극 활동의 새로운 방식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서울에 극장을 건립하고자 하는 목표를 확립하였다. 귀국 후에 유치진은 미국 연수에서 확립한 목표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한강은 흐른다>가 반공극작가의 역할을 지속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으며, 지역사회 극장에 대한 인식은 새로운 극장의 건립 추진으로 연결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1958년 8월은 유치진의 극 활동이 새로운 방향으로 출발한 시점으로 기록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토월회」 연극의 근대성과 전근대성

        한국극예술학회 2011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4

        <P>이 논문은 한국 근대극 형성기에 있어 「토월회」의 위치를 재고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한국 근대극 형성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 단체로 「극예술연구회」를 꼽고 있으나, 「토월회」의 역할도 높이 평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토월회」가 공연한 전체 작품을 모아보면, 전근대적인 작품과 근대적인 작품이 혼재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전근대적 작품 때문에 「토월회」를 상업성이 강한 극단으로 치부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검열을 통과하고 대중성을 확보한 작품으로 극의 교화성을 최대한 발휘하는 공연을 추구했던 「토월회」의 근대극 지향점에서 그 점을 새롭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P><P> 「토월회」의 1기와 2기 공연에서는 일본의 근대극운동을 동류화하는 입장을 취했다. 일본에서 흥행에 성공한 작품을 골라 공연함으로써 교화의 대상인 관객도 확보하고, 공연 수익도 높이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의도한 바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식민지조선의 관객들이 정서적으로 희극보다는 비극에 가깝다는 사실과 서양 근대극의 번안으로 관객을 만족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P><P> 「토월회」의 3기와 4기는 근대극운동의 고유화를 추구하였다. 「광무대」를 전용극장으로 임대하여 의욕적으로 출발하였으나, 극단과 극장의 운영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대중성이 강한 작품을 계속해서 공연해야하는 모순에 빠졌다. 결국 「조선극장」에 전속극단으로 활동해야 할 만큼 세력이 위축되지만, 그동안 공연 경험을 통해 ‘조선정조가 넘쳐흐르는 의미심장한 시대극’에 이르게 된다. 「토월회」의 <아리랑고개>는 한국 근대극 형성기에 아주 중요한 작품인데, 슬픔 속에서도 희망을 놓치지 않는 긍정적 인식이 돋보인다. 서양 근대극의 번역 공연에 머물지 않고, 식민지치하에서 공연 가능한 근대극의 실체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한국근대극 형성에 미친 「토월회」의 영향을 높게 평가하여야 한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