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하이쿠의 한국어 번역, 그 시적 리듬에 대한 고찰

        정례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6 호남학 Vol.0 No.38

        <575>의 음수율을 기반으로 하는 하이쿠의 리듬은 한국어역에서는 어떻게 재현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일본의 대표적인 하이쿠 <古池や蛙飛びこむ水のおと>의 한국어 번역 예 7개를 대상으로 그 리듬의 실태와 양상을 통해 그 가능성을 고찰한 것이다.하이쿠의 리듬은 한국의 시조 등에 보이는 ‘4음 1박’과 같은 공통된 리듬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박절 리듬 속의 ‘휴음’의 과다와 그 활용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지고 번역되어 있는 하이쿠 작품인 <古池や>에 대한 7개의 한국어역을 보면, 하이쿠의 형식과 시어의 번역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원시의 <575>의 음수율을 한국어 번역시에서 한국어 리듬으로 자연스럽게 재현해 내고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하이쿠의 시적 표현의 특성의 하나인 ‘점(点)’적인 성격을 표현하기 위해서 조사를 단 하나도 쓰지 않고 시어만 나열하는 방법을 강구한 번역 예는, 원시의 <575> 리듬과는 거리가 멀지만 시적 호소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했을 때, 앞으로 하이쿠를 한국어로 번역함에 있어서는 원시의 의미에 대한 정확한 이해, 그리고 정형시의 구속력, 이른바 ‘창작의 질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율독의 질서’를 어떻게 확립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이용행태조사를 통한 아파트 외부공간 계획방안에 관한 연구

        정례,박희진 한국주거학회 2001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utdoor space of the recent built apartment complex in Ulsan a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apartment outdoor space. Multiple methods were utilized such as questionnaire, observation, behavior-mapping, and photography. The sample consisted of 382 residents living in four apartment complex in Ulsa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PC+. The observation was performed in seven outdoor space, i.e., green area, road area, exercise area, play area, parking area, and approach area.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sidents did not actively involve in outdoor activities and seldom use the outdoor space. Various changes and erosions were observed as a trace, especially near fence and grass area because of unplanned location of entranc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lanning guidelines for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

      • KCI등재

        경력간호사의 신규간호사 이직 의도 관리 경험: 내용분석

        정례,심정하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xperienced nurse’s in manag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novice nurses. The study involved 102 proficient nurses with more than 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orking in the J region,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that included semi-structured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llowing Krippendorff's (2013) content analysis procedure.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four categories: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novice nurses," "Adjusting my level of management for novice nurses," "Standing alone from the perspective of novice nurses," and "Acquiring my own methods of managing novice nurses." These results present various aspects of experienced nurses' experiences in managing the turnover intentions of novice nurses. Therefore,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by suggesting the necessity and direction for a program aimed at enhancing the proficiency of nurses in managing the turnover intentions of novice nurs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芭蕉俳諧における「わび」の 考察

        金貞禮 全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3 용봉인문논총 Vol.22 No.-

        本論考는 일본의 전통적인 美意識의 하나인 「わび」에 주목하여, 특히 松尾芭蕉에 있어서의 「わび」의 미적 구조와 특질을 명확히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우선은, 『万葉集』이래 芭蕉에 이르기까지의 「わび」를 선행연구를 참조로 하여 고찰한 다음, 草庵에서의 은둔생활에서 유랑여행으로 전개되는 芭蕉하이카이(俳諧) 속에서, 「わび」의 전개와 그 변천양상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했다. 「わび (와비)」는 원래 여의치못함을 슬퍼하고, 곤혹스러워하는 기분을 표현하는 말로서, 생활적으로나 미적으로는 부정적인 가치를 지닌 것이었다. 『万葉集』·『八代集』시대에는 이룰 수 없는 사랑의 고통으로부터 오는, 말 그대로 여의치 않은 연애를 한탄하는 「わび」가 그 主를 이루었으나, 중세의 다도에 이르러서는 草庵을 場으로 하는 「貧のわび」로 변해, 뛰어난 다도의 이념으로까지 승화되었다. 특히, 다도의 持戒로서 다도에 있어서 생활규범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わび」는, 이후 근세시대에는 松尾芭蕉(1644~1697)에게 수용되어, 그의 草庵 및 여행생활의 전반을 통해 적극적으로 추구됨으로써 芭蕉俳諧의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芭蕉에 있어서의 「わび」의 전개는, 크게 草庵을 場으로 하는 前期와 여행을 場으로 하는 後期로 나눌 수 있다. 중세 다도에 있어서 草庵의 도입이 「わび茶」의 성립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미 草庵을 場으로 하는 중세 다도의 「わび」의 정신을 깊이 이해하고 있던 芭蕉는 그동안의 시정생활을 청산하고, 草庵으로 은거하여, 물질적 빈곤을 기꺼이 즐기는 「貧のわび」의 생활에 정진함으로써, 일단은 정신의 안주를 보이고 있다. 이 시기의 「わび」의 특징은, 관념적 지적이면서 나아가서는 낭만적이고 탐미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같은 초기의 「わび」는 이후, 『野ざらし紀行』을 비롯한 여러 차례의 여행 중에 묵는 시골의 불편한 숙소와 정든 이들과의 기약 없는 이별에서 오는 「わび」를 체험함으로써 내면적으로 심화되어, 물질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정신의 자유를 만끽하는 「心のわび」의 경지에 다다르게 된다. 그리하여 「마음의 わび를 계승하여 빈자의 정을 어기는 일이 없도록 하라.(心のわびをつぎて貧者の情をやぶる事なかれ)」고, 그의 추종자들에게 「心のわび」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草庵을 비롯한 유랑여행에서의 「わび」의 생활의 실천에 의해서만이 도달 가능한 것이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이는 다도에 있어서의 「わび」가 윤리적 내지 종교적인 것이었다고 한다면, 芭蕉에 있어서의 「わび」는 보다 자유로운 생활 속에서 추구되었던 것을 시사하기도 한다. 芭蕉는 중세의 다도에 있어서 생활규범이었던 「わび」의 정신을 계승하여 「군자에게는 진리를 추구하는 길이 있는데, 부처님의 말씀 등이 그러한 것이고, わびしき(여의치못함)을 즐기는 것은 道(俳諧의 道)에 들어선 보람이다. (君子のまことに究すと宣しみちあるは, 佛の語などはさるものにて, 侘しきを面白がるは, 道に入たる甲斐なり)」(『隨聞記))라고 자신의 道인 俳諧 속에서의 「わび」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芭蕉의 「わび」에 대해 제자 도호(土芳)는 「わび라고 하는 것은 至極함이다 (わびといふは至極なり)」(『三冊子))라고 말하는가 하면, 시코(支考)는 「『奧の細道』에서 여행의 わび를 다하고 云云(奧の細道に行脚のわびをつくし云云)(『俳稽十論))이라고 평가한다. 이러한 論들을 통해서 보건대, 芭蕉의 「わび」는 「わび」 그 자체에 「わび」를 더해감으로써 그 궁극에까지 진력한다는 것에 참된 의미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芭蕉의 생애는 草庵에서의 운둔과 유랑생활의 반복이었다. 그 속에서 그는 고독과 정적을 사랑하면서 無所有·無所住의 인생에 일관했다. 芭蕉俳諧의 최고의 미의식으로 여겨지는 「わび」는, 여의치 않음을 불편해 하거나 한탄하는 것을 초월하여, 오히려 그 속에서 유유자적하며 俳諧를 읊었던 그의 이상과 같은 「わび」의 생활을 기반으로 해서 비로소 획득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같은 사실은 松尾芭蕉에 있어서 「わび」가 보다 실생활에 연관된 美意識이었음을 반증하고 있다.

      • KCI등재

        마쓰오바쇼(松尾芭蕉)에 있어서의 「와비(わび)」의 고찰

        정례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2 용봉인문논총 Vol.22 No.-

        本論考는 일본의 전통적인 美意識의 하나인 「わび」에 주목하여, 특히 松尾芭蕉에 있어서의 「わび」의 미적 구조와 특질을 명확히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우선은, 『万葉集』이래 芭蕉에 이르기까지의 「わび」를 선행연구를 참조로 하여 고찰한 다음, 草俺에서의 은둔 생활에서 유랑여행으로 전개되는 芭蕉하이카이(俳諧) 속에서. 「わび」외 전개와 그 변천양상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했다. 「わひ」とは本來どういう意味を持っものて'あろうか.まず,『日本國語大辭典』を締いてみよう.それによると,「わび(備??)」は,動調「わびる(侘??)」の連用形の名 詞化で.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