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의 살충제 감수성 변이-에스테라제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력

        김용균,이준익,강성영,한상찬 한국응용곤충학회 199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6 No.2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은 야외집단과 실내집단들간에 살충제 감수성에서 큰 변이를 보였다. 조사된 모든 약제에서 야외집단은 비선발 실내집단보다 높은 약제 저항능력을 보였다. 약제 선발된 실내집단은 선발 약제에 대해 저항능력을 높게 발현시켰다. 이러한 약제 저항능력의 변이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와 에스테라제 활력 변이와 비교 분석되었다. 약제 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력이 낮아지고 에스테라제활력은 높아졌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Km(Michaelis-Menten constant)값은 약제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기질에 대한 이 효소의 친화도가 낮아졌다. 이 효소의 효소활력 변이는 같은 집단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기질에 대한 이 효소의 친화도가 낮아졌다. 이 효소의 효소활력 변이는 같은 집단 내에서 발육단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어 2, 3, 4령충보다는 5령충에서 특히 Km값이 증가하였다. 파밤나방의 에스테라제는 6.5% 비변성조건의 겔에서 21개 밴드를 보였다. 이중 E2, E7, E8, E11, E16, E7 밴드들은 약제저항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발현 빈도수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파밤나방의 살충제 감수성변이에 해독효소활력증가와 작용점변환이 포함됨을 나타낸다. There was a great variation in insecticide susceptibilities among field and laboratory populations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iibner). Unselected laboratory population, which had been reared for 6-7 generations in our laboratory without exposure to insecticides, was more susceptible than its parental field population in all tested insecticides. Two selected laboratory populations with parathion or deltamethrin showed much higher insecticide tolerance than did the unselected laboratory population in their own selection insecticide. The variation of the insecticide susceptibilities was highly correlated with esterase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ies. Field and the selected laboratory populations had lower acetylcholinesterase activities and higher esterase activities than did the unselected laboratory population. Acetylcholinesterase of the field and the selected laboratory populations had higher Km values than did that of the unselected. In a population, Km values were varied among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cetylcholinesterase of the fifth instar larvae had the highest Km value among those of the other larval stages. Twenty one esterase bands were separated on 6.5% nondenaturing polyacrylamide gel from the whole body extracts of the fifth instar larvae. E2, E7, E8, Ell, El6, and El7 esterase bands were developed more frequently in the insecticides-selected populations than in the unselected pop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ariation of insecticide susceptibilities of the beet armyworm includes both biochemical mechanisms: target site insensitivity and enhanced activity of detoxification enzyme.

      • KCI등재

        배추좀나방(Pulltella xylostella L.)의 deltamethrin 저항성 기작에 관한 에스테라제의 역할

        김용균,장동걸 한국응용곤충학회 199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5 No.1

        배추좀나방의 deltamethrin에 대한 약제 저항성 기작을 알기 위하여 에스테라제의 활성과 조성을 분석하였다. 0.1$\mu\textrm{g}$의 deltamethrin으로 매 세대 선발하였을 때 선발세대의 진행에 따라 배추좀나방 4령충의 약제감수성은 줄었고 에스테라제 활성을 증가했다. Deltamethrin으로 선발된 또는 선발되지 않은 서로 다른 배추좀나방 집단들의 약제감수성과 에스테라제 활성간에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이들 요인들간에 상관계수는 0.9918(P=0.0082)로 정상관을 보였다. 전기영동(6% gel)의 결과 17개의 에스테라제 밴드가 분리되었다. Deltamethrin에 대해 선발된 집단들은 비선발 집단에 비해 적은 숫자의 에스테라제 밴드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4개 밴드(E3, E4, E11, E12)는 deltamethrin 선발집단에서만 나타난 밴드였다. General esterases were analys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o see their role in deltamethrin resistance mechanisms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Selection with 0.1 g of deltamethrin in each generation induced the moth to decrease susceptibility to the insecticide and to increase esterase activities of the fourth instar larvae. Both characters were highly correlated so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LDSo @g) of deltamethrin and esterase activities (~M/min/pg) was 0.9918 (P=0.0082). Nondenaturing PAGE (6%) separated 17 esterase bands from the whole body extracts of the fourth instar larvae. Deltamethrin-selected populations had fewer esterase bands than had the unselected. Four esterase bands (E3, E4, Ell, and E13) were, however, specific to deltamethrin-selected populations.

      • KCI등재

        三馬의 滑稽本에 나타나는 가능동사에 관한 고찰

        金鎔均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3 비교일본학 Vol.29 No.-

        본고에서는 언어의 생성이라는 점과 표현의 단순화라는 점에 착목하여 중세후기 즉 室町期(1333~1603)에 새롭게 발생하여 근세후기에 이르러 진전된 발달 양상을 보 이는 가능동사에 대하여, 근세후기 文化期(1804~1817)의 구어자료로서 그 가치가 입증 된 三馬의 滑稽本 5種(『戯場粋言幕の外』『酩酊気質』『浮世風呂』『浮世床』『大千世界 楽屋探』)을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滑稽本 5種에 출현하는 가능동사의 다양한 분 석 결과를 토대로 遲速 차이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관점(문체와 활용형, 음절수, 단순 동사와 복합동사)에서 접근하여 거기에 나타나는 전체적인 경향과 그 원인을 검토하 고, 또한 선행 연구(가능동사의 진행 정도, 긍정표현과 부정표현의 사용 양상)와 비교 하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몇 가지 특징적인 사실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정리하면 대체로 다음과 같다. ① 가능동사는 상당히 진전된 발달 양상을 보인다. ② 문체적인 면에서 보면 회화문의 변화 속도는 지문보다 빠르다. ③ 활용형에서 보면 미연형, 종지․연체형, 연용형, 이연형의 순으로 진행되고 있다. ④ 음절수에서 보면 소음절 동사의 변화 속도는 다음절 동사보다 빠르다. ⑤ 단순동사의 변화 속도는 복합동사보다 빠르다. ⑥ 부정표현의 변화 속도는 긍정표현보다 빠르다. 바꾸어 말하면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하여 文化期 三馬의 滑稽本에 보이는 가능동사 는 진일보한 발달 양상을 보이면서 문체, 활용형, 음절수, 단순동사와 복합동사, 긍정 표현과 부정표현 간에 따라 다양한 遅速 차이를 보이면서 진행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술한 사실①과 ⑥은 선행 연구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②③④⑤는 본고를 통하여 새롭게 확인된 사실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판본광언기(版本狂言記)에 나타나는 ラ行下二段活用의 4단화현상(四段化現象)에 관한 고찰(考察)

        김용균 한국일본어문학회 2007 日本語文學 Vol.33 No.-

        本稿では、江戶中期の上方語資料の版本狂言記に現われる敬語ラ行下二段活用(「くださるる」 「しやるる」 「なさるる」 「めさるる」)の四段化現象について考察して見た。特に、全體的傾向を中心に版本狂言記3種(『續狂言記』(1700)『狂言記外五十番』(1700)『狂言記拾遺』(1730))の四段化の實態の分析結果に基づいて、當時の近松世話淨瑠璃及び、上方繪入狂言本の傾向との比較を中心に考察するとともに、遲速差の原因についても檢討して見た。その結果、幾つかの特徵的事實が明らかにされたが、四段化の全體的傾向を中心にまとめると、大略次のようである。①單語別に見ると、「しやるる」、「めさるる」、「くださるる」、「なさるる」の順に四段化が進んでいる。②活用形別に見ると、命令形、終止·連體形、連用形、未然形の順に四段化が進んでいる。③文體的な面から見ると、會話文の四段化は地文の四段化より早い。④位相的な面から見ると、男性語と女性語間による四段化の遲速差は見られない。⑤版本狂言記の四段化率は同種資料の『狂言記』(1660)の四段化率より高いが、近松世話淨瑠璃及び上方繪入狂言本の四段化率より低い。つまり、このような考察を通して版本狂言記に現われるラ行下二段活用の四段化は單語、活用形、文體によって樣樣な遲速差を見せながら進んだということと、位相による遲速差が見られないということが確認できた。さらに、このような結果を通して同種資料の『狂言記』の四段化率より高いことと近松世話淨瑠璃及び、上方繪入狂言本の傾向との共通点と相違点が分かり、特に資料、文體による遲速差が見られるという新しい事實も確認できた。

      • 들깻잎 추출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청 중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김군자,김한수,김용균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2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aica Hara)의 잎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을 검색할 기초단계로 이를 계통분리하여 분획물을 분취하고 실험동물에 streptozotocin(이하STZ)으로 당뇨성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혈청중 지질성분을 검색하였다. 당뇨성 고지혈증 쥐에 들깻잎의 각 분획물 100㎎/㎏을 7일간 처리하였을 때 ethyl acetate 분획 투여군에서 현저히 억제되던 체중이 증가되었으며, 체중 대 간장 무게비가 STZ에 의하여 증가되던 경향이 다소 개선되었다. 혈중 glucose의 함량도 ethyl acetate 분획의 처리한 군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ethyl acetate 분획 투여로 STZ 투여에 의해 감소되었던 bleeding time은 다소 증가하였다. 혈청 중 총지질, 중성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감소되었고, Total-, VLDL-, LDL-, HDL-cholesterol 및 동맥경화 지수도 들깻잎의 ethyl acetate 분획의 투여로서 조절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Lycii fructus extract in lead-administered rats. Pb exposed rats were given 1% Pb in the diet. Hematocrit value and DALAD activity were decreased with Pb administration and were higher in the Lyc-Pb group than in the C-Pb group. ALT and AST were increased by Pb added and AST was lower in Lyc-Pb group a than in C-Pb group. Lead content of serum was reduced by Lycii fructus.

      • Pueraria lobata 추출물이 에탄올 급여 흰쉬의 혈청 및 간장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김한수,김근기,김용균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2

        갈근 추출물이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갈근 추출물을 제한없이 주면서 사육하여 얻은 결과, 체중 증가량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이 에탄올-갈근 급여군보다 증가하였고, 식이 섭취량은 갈근 급여군들이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식이효율은 각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간의 무게는 갈근 급여군들이 대조군보다 증가하였고, 신장무게는 실험군들 모두 증가를 보였다. 심장무게는 실험군들에서 감소하였으며, 비장무게는 갈근 단독 급여군에서 증가하였고, 에탄올-갈근 급여군도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 비해 중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FP는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서 증가하였다. Hematocrit Value는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서 가장 감소하였고, 에탄올 -갈근 급여군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청 중의 총 지질과 중성 지질 함량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고, 총 콜레스테롤 함량도 증가경향을 나타낸 반면, 에탄올-갈근 급여군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 비해 혈청 지질 함량이 감소하였다. 간 조직 중의 총 지질과 중성 함량은 갈근 단독 급여군이 가장 낮았고, 에탄올-단독 급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에탄올-갈근 급여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갈근 추출물의 급여로 혈청 및 간장의 지질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ueraria lobata extract water on the lipid contents of serum and liver in ethanol administered in rats. The rats were fed on Pueraria lobata extract without limit and were bred. Weight gain was in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than ethanol- Pueraria lobata group. Feed intake was decreased in Pueraria lobata groups than control group. A dietary efficiency was not difference of every kind groups. The liver weight was increased in Pueraria lobata groups than control group. The kidneys was increased in experiment group. The heart weight was decreased in experiment groups. The spleen weight was increased in Pueraria lobata single group. Ethanol- Pueraria lobata groups was increased in compare with ethanol single group. EEP was increase in ethanol single group. Hematocrit Value was most de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Ethanol- Pueraria lobata groups was increased. Serum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 were higher in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total cholesterol content was increased but, ethanol- Pueraria lobata groups was decreased in serum lipid content than ethanol single group. Liver tissue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 were most lower in Pueraria lobata group and its were in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but, decreased in ethanol-Pueraria lobata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ueraria lobata extract water supplies expected to the lipid contents of serum and liver functional protection effect.

      • 들깻잎 추출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간장 중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군자,김한수,김용균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2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aica Hara)의 잎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을 검색할 기초단계로 이를 계통분리하여 분획물을 분취하고 실험동물에 streptozotocin(이하STZ)으로 당뇨성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간에서의 지질성분 및 효소변동을 검색하였다. 당뇨병의 유도로 간 조직의 lipid peroxide 함량은 증가되었으며 glutathione의 함량은 감소되던 것이 증가되었다. 간장 중 lipid peroxide 생성에 관여하는 aniline hydroxylase 및 xanthine oxidase의 활성이 STZ투여로 증가되었으나 들깻잎의 ethyl acetate분획의 처리로 감소되었으며, 반면에 감소하던 aminopyrine demethylase의 활성은 ethyl acetate분획의 처리로 증가되었다. This study was cnduc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biological activity from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which has been used to aid sthenia, digestion and as a food. After fractionation from Perilla frutescens, it was orally administered in hyperlipemia rats[caused by streptozotocin(STZ)] and we checked their liver tissue lipid content and hepatic enzyme activities. In STZ caused, the increase of hepatic lipid peroxide content was inhibited by treatment with Perilla frutescens ethyl acetate fraction and STZ decreased the hepatic glutathione compared to normal, but it was inhibited by Perilla frutescens ethyl acetate fraction treatment. There were a significant increase in hepatic aniline hydroxylase and xanthine oxidase and decrease in aminopyrine N-demethylase activity when the STZ group compared to normal, but these were controlled by Perilla frutescens ethyl acetate fraction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illa frutescens ethyl acetate fraction treatment suppresses STZ induced changes in the hepatic metabolizing enzyme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