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Ⅴ - 충북 청주시 문의면과 현도면을 중심으로 -

        김진식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Chinese-translated village names are reflecting the etymology of natural village names by exemplifying the legally eight villages of Munui-myeon and Hyeondo-myeon, Cheongju-city in Chungbuk province. In Kim(2013), some names of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in this district were not fully studied. In this study, the other names of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are fully discussed in Munui-myeon and most Hyeondo-myeon villages names. New villages would be officially named in various ways. However, the most common ways was to use names of natural villages, already existing. In this study, I explicated the way of using native words as well as hybrid words, if necessary, in naming villages. When a natural village’s name of a native tongue is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the borrowed Chinese character(Chaja-pyogi) must be used for naming the village. In Chaja-pyogi, there are ways of Eumdokbeop, Eumchabeop, Hundokbeop, and Hunchabeop. Among them, the way of Eumdokbeop or Hundokbeop is a standard, but there are many exceptions. In this study, the villages names which were wrongly Chinese-translated in the way of Eumchabeop or Hunchabeop are studied. 본고는 청주시 문의면과 현도면의 8개 법정리 이름을 대상으로, 자연리 이름의 어원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이다. 김진식(2013)에서도 문의면 2개 법정리 이름을 포함했지만, 당시는 지면에 한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고는 문의면 나머지와 현도면 법정리 이름을 함께 다루었다. 법정리를 명명할 때 가장 흔하게 이용되는 방법이 기존 자연리 이름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이 비교적 손쉽기도 하거니와, 지명 자체가 가지고 있는 보수성을 되도록 손상하지 않으려는 배려 때문이기도 한 것이다. 물론 자연리 이름에는 고유어․혼종어․한자어 등 다양하다. 특히 고유어로 된 자연리 이름을 법정리 이름으로 한역할 때에는 음독법․음차법․훈독법․훈차법 등 차자표기 방식이 적용된다. 이 중 음독법이나 훈독법에 의한 방법이 올바른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예가 대부분이다. 본고는 음차법이나 훈차법에 의해 잘못 한역된 이름을 분석할 것이다.

      • KCI등재

        法定里 漢譯 地名 硏究 Ⅲ-忠北 淸原郡 加德面과 文義面을 中心으로-

        김진식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Chinese-translated names are reflecting the etymology of natural village name, by targeting 6 names of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of Gadeok-myeon and Munui-myeon in Cheongwon- gun.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should be named in various ways. In this paper, I will deal with the method by using an original word of natural village name. It will cover a half breed word as well, if necessary. When a natural village name made with a native tongue is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the borrowed Chinese character declaration must be used. In this case, it is an accurate way to read Korean translation for Chinese character. Therefore, I analyze the process of Chinese-Korean translation by focusing on Chinese words, which have been wrongly translated so far. Furthermore, in the previous research(Kim, 2010a, 2011), Kim discussed the above matter based on Naesu-eup, Ochang-eup, Nangseong-myeon, Miwon-myeon in Cheongwon-gun. The Further research will be continued to study the village names of the whole Cheongwon-gun areas, as it will suggest a standard for naming the legally registered villages. 이 글은 淸原郡 加德面과 文義面의 6개 법정리 이름을 대상으로, 그 한자 이름이 자연리 이름의 어원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이다. 법정리를 命名할 때에는 기존 자연리 이름을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물론 이 때에도, 자연리 이름은 고유어․혼종어․한자어 등 다양하다. 본 연구는 이 중 고유어로 된 자연리 이름을 이용하는 방법을 논의 대상으로 삼되, 필요한 경우에는 혼종어로 된 경우도 다룰 것이다. 고유어로 된 자연리 이름이 한역화할 때에는 차자 표기 방식이 적용된다. 차자 표기는 音讀法․音借法․訓讀法․訓借法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훈독법에 의한 한역화가 올바른 방식이다. 본 연구는 잘못 한역화된 것들을 대상으로 삼아, 그 한역화 과정을 분석한다. 필자는 김진식(2010a, 2011)에서 淸原郡 內秀邑과 梧倉邑, 琅城面과 米原面의 법정리 이름을 대상으로, 이런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후속 작업으로, 淸原郡 전 지역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 KCI등재후보

        지명 '명량(鳴梁)'과 '노량(露梁)'의 어원 고찰

        김진식,Kim, Jin-Sik 국제언어인문학회 2006 인문언어 Vol.8 No.-

        Place names are generally composed of first half and second half, whether the originality of those names comes from Korean or Chinese. The first half, modifying the second half, represents the naming flexibility of the name, while the second half of the name points out its directive object, which refers to a branch of the name. For example, 'Myeong' in 'Myeongryang' and 'No' in 'Noryang' represent their naming flexibility while 'Ryang', constituting the second half, points out the name's directive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tymology of place names, 'Myeongryang' and 'Noryang', by figuring out the meanings of those two elements. In order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the second half, 'Ryang', other examples presented in the related literature have been examined. The finding indicated that 'Ryang' means 'dol', or 'do', which refers to 'moon(door)'. Furthermore, it is found out that the meaning of 'Ryang' has been transferred from 'dol' or 'do' to 'moon(door)', furthermore, to the straits. Upon looking into the origins of those names on the field, it is interpreted that 'Myeong Ryang' has been meant as a door in which huge and rough waves cry out, and 'No Ryang' has been meant as a door in which huge and rough waves rise up.

      • KCI등재

        시장수요예측 모델을 활용한 서울시 수소차 충전시설의 입지선정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김진식,장국진,이주연,정명석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2022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Vol.18 No.2

        Hydrogen is expected to be widely applied in most sectors within the current energy system, such as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nd is expected to be economically and technologically utilized as a power source to achieve vehiclebon emission reduction.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of hydrogen charging station infrastructure will not only support the distribution of hydrogen electric vehicles, but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a hydrogen logistics system. Therefore, This paper suggest additional charging infrastructure areas in Seoul with a focus on supply according to the annual average growth rate (CAGR), centering on Seoul, where hydrogen vehicles are most widely distributed. As of February 2022, hydrogen charging infrastructures were installed in Gangseo-gu, Gangdong-gu, Mapo-gu, Jung-gu, and Seocho-gu in downtown Seoul. Next, looking at the number of hydrogen vehicles by administrative dong in Seoul from 2018 to 2022, Seocho-gu has the most with 246 as of 2022, and Dongjak-gu has the highest average growth rate of 215.4% with a CAGR of 215.4%. Therefore, as a result of CAGR analysis, Dongjak-gu is expected to supply the most hydrogen vehicles in the future, and Seocho-gu currently has the most hydrogen vehicles, so it is likely that additional hydrogen charging infrastructure will be needed between Dongjak-gu and Seocho-gu.

      • KCI등재

        Hook Wire를 이용한 폐결절의 위치선정 및 생검

        김진식,황재준,이송암,이우성,김요한,김준석,지현근,이정근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6

        배경: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보편화되면서 기존의 단순흉부촬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작은 폐결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렇게 발견된 폐결절중 크기가 작거나 폐실질 내부에 위치한 결절은육안 및 촉진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생검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원에서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시행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31명의 환자(남자 17명, 여자 14명)에서34개의 폐결절을 대상으로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 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한 후,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Hook wire의 이탈 여부, 개흉술 전환 빈도, 위치선정 후 수술시작까지의 시간, 수술시간, 수술 후 합병증, 대상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34예 중 12예는 간유리 병변이었으며 22예는 고형의 폐결절이었다. 병변 크기의 중앙값은 8 mm (범위:3∼23 mm)였으며 병변 깊이의 중앙값은 12.5 mm (범위: 1∼34 mm)였다. 위치선정 후 마취 시작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86.5분(41∼473분)이었으며, 수술시간의 중앙값은 103분(25∼345분)이었다. 1예에서 wire의 흉강 내 이탈이 있었으나 성공적으로 목표 병변을 절제하였다. 4예에서 흉막유착으로 인해 개흉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목표 병변을 찾지 못해 개흉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조직학적 진단에서 전이성 암이 15예로 가장 많았으며, 원발성 폐암 9예, 비특이적 염증소견 3예, 결핵성염증소견 2예, 림프절 2예, 활동성 결핵 1예, 비정형 샘 증식증 1예 및 정상폐조직 1예로 보고되었다. 결론: 폐실질 내에 위치한 간유리 음영 및 폐결절의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위해 본원에서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 Hook wire를 삽입하여 폐결절의 위치를 선정한 후 폐 생검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이 방법이 정확하면서 최소침습적이고 합병증 발생 및 진료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술기라고 생각한다. Background: A chest computed-tomography has become more prevalent so that it is more common to detect small sized pulmonary nodules that have not been found in previous simple chest x-ray. If those detected nodules are undersized or located in pulmonary parenchyma, it is difficult to accomplish a biopsy since it is vulnerable to explore them either grossly or digitally. Thus, in our hospital, a thoracoscopic pulmonary wedge resection was performed after locating a lesion by means of hook wire with CT-guided. Material and Method: 31 patients (17males and 14 female patients) from December in 2006 to June in 2010 became our subjects; their 34 pulmonary nodules were subjected to the thoracoscopic pulmonary wedge resection after locating a lesion by means of hook wire with CT-guided. Also we analyzed a possibility of hook wire dislocation, a frequency of conversion to open thoracotomy, time consumed to operation after location of a lesion, operation time, post operation complication, and histological diagnosis of the lesion. Result: 12 of 34 cases were ground glass lesion, whereas 22 cases of them were solitary pulmonary lesion. The median value of the lesion was 8mm in size (range: 3 to 23 mm), while the median value was 12.5 mm in depth (range: 1 to 34 mm). The median value of time consumed from location of the lesion to anesthetic induction was 86.5 minutes (41∼473 minutes); furthermore the mean value of operation time was 103 minutes (25∼345 minutes). Intrathoracic wire dislocation was found in one case, but a target lesion was successfully excised. Open thoracotomy was performed in four cases due to pleural adhesion. However, there was no case of conversion to open thoracotomy due to failure to detect a target lesion. In histological diagnosis,metastatic cancer were found in 15 cases, which were the most common, primary lung cancer were in 9 cases,non-specific inflammation were in 3 cases, tuberculosis inflammation were in 2 cases, lymph nodes were in 2 cases,active tuberculosis were in 1 case, atypical adenomatous hyperplasia was in 1 case and normal lung parenchymal finding was in 1 case, respectively. Conclusion: In our hospital, in order to accomplish a precise histological diagnosis of ground-glass lesion and pulmonary nodules in lung parenchyma, location of pulmonary nodules were exactly located with hook wire under chest computed-tomography, which was followed by lung biopsy. We concluded that this was an accurate, minimally invasive and valuable method to minimize the complications and increase of cost of medical service provided.

      • KCI등재

        ACMS 모형을 활용한 정책변동 분석

        김진식,양승일,유홍림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3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ACMS 모형을 건강보험통합정책에 적용하여 정책변동의 요인을 입체적으로 조명해 본 뒤, 이를 토대로 시사점들을 고찰해 보는데 있다. 분석 결과, 옹호연합에게 재원 또는 제약으로 작용하는 외적변수 중 국민의 찬반대립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분은 통합주의옹호연합에게 재원으로 작용하는 유리한 국면에 놓여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외적변수에 영향을 받는 옹호연합은 일정한 신념체계를 공유하게 되는데 조합주의옹호연합은 사유재산권의 정당성 등을 공유한 반면, 통합주의옹호연합은 공유재산권의 정당성 등을 공유하게 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정책대안흐름인 보사부장관의 통합보고가 촉발기제로 작용하여 정책변동의 창이 열리게 되며, 창에서는 시발기, 확산기, 통합기에 걸쳐 양 옹호연합 간 치열한 상호작용이 벌어지게 된다. 결국, 조직 및 재정 통합을 모두 담고 있는 국민건강보험법이 국회에서 가결됨에 따라 정책변동의 창은 닫히게 되고, 건강보험정책은 조합주의정책에서 통합주의정책으로 변동하게 되었다. 이를 근거로 한 시사점은 첫째, 시민・사회단체 등 비공식적 참여자가 과거에 비해 정책변동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둘째, 정책변동과정에서 각 옹호연합 간 치열한 상호작용 속에서도 일정한 경계적 질서가 존재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특정변수는 복잡한 정책현상에 있어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 우리나라의 사례에 있어서도 ACMS 모형을 활용한 논리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다섯째, 건강보험통합정책의 변동과정을 ACMS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ACMS 모형에서 시사하는 주요 연구결과물과 모두 일치하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