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에 대한 타당성 분석

        김영한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김영한, 2012)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척도에 대한 수렴타당성과 변별타당성을 검증하고 교차타당성을 학교의 장애영역별,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등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광주, 부산, 대전, 인천, 충남, 충북, 경남 등의 국공립 및 사립 특수학교 교사 39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과 e-mail를 통해 이뤄졌으며 수렴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중등교사 교직헌신척도(노종희, 2004)와 적응유연성 척도(김성훈, 이안수, 2011)를 같이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for WIN, AMOS 20.0 등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는 수렴타당성, 변별타당성, 교차타당성을 모두 확보할 있었다. 그러므로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는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헌신을 측정하고자 하는데 매우 타당성이 높은 도구라는 것을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analyzed the validity of special school teacher commitment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98 teachers of 22 special schools in Seoul, Gyeonggi, Busan, Daejeon, Incheon, Chungnam, Chungbuk, and Gyeongnam.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by the post & e-mail from February 2013 to April 201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0.0 for WIN,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nverge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Commitment to Teaching Questionnaire(Noh, 2004) and Resilience Scale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Kim & Lee, 2011).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mparing average variance extract and the square of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 Last, the cross validity was verified by investigation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latent means about their disability categories of special schools, educational career, grade of class. So, it was proven by cross validity that the special school teacher commitment questionnaire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ir disability categories of special schools, educational career, grade of class.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에대한 타당성 분석

        김영한,최용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07 special class teachers in Seoul, Busan, Ulsan, Daegu, Kyungnam, Kyungbuk, and Chungnam.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by the post-mail or e-mail. As we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0.0 for WIN,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verge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Resilience Scale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and The Commitment to Teaching Questionnaire. Second,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mparing average variance extract and the square of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 Finally, the cross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investigation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latent means about their educational career, grade of class. Thus, it was proven by cross validity that th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could be used regardless of their educational career and grade of class.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김영한, 최용재, 2013)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척도에 대한 수렴타당성과 변별타당성을 검증하고 교육경력별, 학교급별 등으로 교차타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부산, 울산, 대구, 경북, 경남, 충남 등의 특수학급 교사 40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과 e-mail를 통해 이뤄졌으며 수렴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적응유연성 척도(김성훈, 이안수, 2011) 및 초중등교사 교직헌신척도(노종희, 2004)를 같이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for WIN, AMOS 20.0 등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는 수렴타당성, 변별타당성, 교차타당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 적응 탄력성 척도는 그들의 교직 적응 탄력의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데 매우 타당성이 높은 도구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 KCI등재

        동아시아 FTA 형성을 위한 최적협상정책방향 연구

        김영한 한국국제통상학회 2004 국제통상연구 Vol.9 No.2

        최근, 한일FTA의 양국간 공식협상에 합의함에 따라, 동북아 경제통합은 이론적 논의의 단계를 넘어서, 실질적 협상의 단계로 접어들었다. 한편 특혜무역협정으로서의 FTA체결의 효과는 다자주의에 근거한 시장개방과는 그 효과가 판이하다. 특히 FTA협상국가들 간의 기술력 격차 및 경제규모의 격차가 있을 경우, 협상참가국가들 간에 상이한 효과가 예상되는 만큼, 향후 FTA협상 시에는, 상대국별로 우리의 사회후생 및 장기적 산업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동아시아FTA형성을 협상전략은 크게 대내협상과 대외협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내협상측면에서는, FTA체결의 결과 불가피하게 초래될 국내산업구조의 재편과 관련하여, 농업 및 노동집약적 산업 등 비교열위부문의 고부가가치화 및 비교우위부문으로의 업종전환 등 근원적인 산업구조조정정책과, 사회안전망구축을 위한 재정투자를 통하여, FTA정책에 대한 사회적 합의도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FTA형성을 위한 대외협상은, FTA형태와 관련된 거시협상전략과 협상의제설정과 관련한 미시협상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거시협상전략으로는, 한일FTA를 먼저 체결하고, 향후 중국 및 동남아국가들을 포함한 동아시아FTA를 체결하는 순차적 FTA협상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이 방안은 현실적 체결가능성은 가장 높지만, 동태적인 동아시아 국제분업구조의 재편효과 측면에서는, 한국산업구조의 비교우위부문 확보 및 고부가가치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에 매우 부정적인 효과를 낳을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동남아 및 중국이 배제된 한일FTA의 체결시한을 조기에 설정하지 않고, 한일FTA와 동남아 및 중국과의 FTA체결의 시간적 간격을 최소화하여야 할 것이다. 즉 한일FTA협상과 함께, 한-아세안 FTA, 한중FTA 등 고부가가치산업에서 한국이 비교우위를 보이고 있는 국가들과의 FTA협상을 조기에 출범시키는 Hub & Spoke 협상전략을 통하여 한국의 협상력을 제고시킴과 함께, 협상초기부터 동남아를 포함한 광역FTA가 되도록 협상을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한일FTA협상에서의 미시협상전략부문에서는, 일본의 협상수익(agreement payoff)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큼, 협상시한을 사전에 설정하지 않고, 관세인하협상과 기술 및 자본이전, 그리고 일본의 배타적 유통구조 개선협상을 연계하는 연계협상전략(issue-linkage strategy)이 최적의 협상전략으로 확인되었다. 즉 협상시한을 사전에 설정하지 않고, 양국간제반 경제협력의제들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포괄협상전략(cross-over deal making strategy)을 구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recent agreement to launch the formal government level negotiation to form the Korea-Japan FTA, the regional, the economic integration in the East Asian region became not mere a theoretical issue, but a political rea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optimal FTA negotiation strategy to maximize the social welfare as well as the dynamic economic efficiency in terms of industrial structure with special consideration of the technical asymmetry and the market size asymmetry. Based on a simple model assuming three countries with asymmetric technology and the linear demand function,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it is optimal to take the Hub & Spoke strategy in the negotiation of the formation of FTA, i.e., the simultaneous negotiation of FTA formation with each major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and ASEAN. This simultaneous negotiation strategy increases the negotiating power of Korea in addition to the least structural distortion of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in the region.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issue-linkage strategy, which integrate the technology and capital transfer issue into the FTA negotiation agenda, is the optimal micro-negotiation strategy.

      • KCI등재

        의미 중심적 쓰기 지도가 초등학교 저학년 쓰기 장애아의 의미표현적 쓰기와 관습적 쓰기에 미치는 영향

        김영한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02 지적장애연구 Vol.4 No.-

        본 연구는 총체적 언어 학습법의 일환인 의미 중심적 쓰기 지도가 초등학교 저학년 쓰기 장애아의 의미 표현적 쓰기와 관습적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사례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밝혀 초등학교 저학년 쓰기 장애아의 효율적인 쓰기 지도 학습법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3명의 초등학교 저학년 쓰기 장애아를 대상으로 하여 약 10주 동안, 20회기의 실험 절차가 진행이 되어 나온 결과를 살펴보면 의미 중심적 쓰기 지도는 대상 아동의 의미 표현적 쓰기의 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었으며 관습적 쓰기에서도 구두법을 제외하고 전반적인 영역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의미 중심적 쓰기 지도가 쓰기 장애아의 의미 표현적 쓰기와 관습적 쓰기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eaning-centered teaching method on meaning-expressional and conventional writing ability of primary students with writing disabled. The practice used in this study was a reorganized and programmed which based on Nakayama and his fellow(1996)'s Jeong-Hee Back(1997)'s writing teaching program that was applied to meaning-centered method of young children. The version of method in this study was reorganized and programmed by this researcher to fit the primary writing disabled students. for this purpose, 3 students(2 boys and a girl) with writing disabled were selected, based on the K-WPPSI, the writing expression subtest of the Basic Academic Skill Test. They were all elementary students in the 2~3 grade at Ulsan and Busan city. Instructional effects were investigated using A-B design. During baseline, students' pre-instructional response rate on writing were assessed, After instruction for 20 times, the post-instructional probe were administered 3 week following the end of instru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meaning-centered writing teaching method had an effect on meaning-expressional writing ability in the 5 measurements of primary students writing disabled.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in the conventional writing ability conservation of primary students writing disabled by the meaning-centered writing teaching method, except the writing of symb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