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업의 신용거래제공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누리,박무정,상전 한국재무학회 2013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05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을 대상으로 신용거래의 결정요인과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기업신용을 제공하는 판매기업의 입장에서 실증분석하였 다. 분석결과, 판매기업이 외부로부터 조달한 자금을 바탕으로 신용거래를 제공하여 구매기업의 유동성 제약을 완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재무적 동기 이론을 지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장점유율이 낮은 기업에서 매출촉진을 위한 신 용거래가 존재하는 반면, 생산주기가 길어 제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불균형이 큰 기 업에서는 신용거래가 많이 활용되지 않아 영업적 동기 이론은 부분적으로만 지지되 었다. 한편 가격차별화 이론 및 거래적 동기 이론은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신용거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에서는, 신용거래가 일정수준까지는 기업가치와 양의 관계를 가지지만 일정수준 이상에서는 음의 관계를 가지는 역U자형의 비선형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최적 신용거래 수준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이 경우, 신용거래공급이 과소 한 경우에는 신용거래를 증가시킴으로써, 과다한 경우에는 신용거래를 감소시킴으로 써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게 된다.

      • 중간배당과 결산배당의 정보효과 및 배당락일 주가행태 비교 분석

        누리,상전 한국재무학회 2014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05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투자자들이 배당기준일 전 배당여부 및 지급배당금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배당관련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 그런데, 중간배당은 배당기준일 전 배당여부를 공시하며, 결산배당 사전공시는 배당지급 여부뿐 아니라 예상 지급배당금도 공시함으로써 중간배당제도와 결산배당 사 전공시의 실시는 배당관련 불확실성을 현저히 줄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간배당과 결산배당미 공시, 결산배당사전공시 세 그룹으로 나누어 배당의 정보효과, 배당락오차율, 배당락일 주식수익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간배당제도와 결산배당사전공시가 국내 주식시장에서 배당관련 효율성을 높이 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간배당이나 결산배당 모두 배당공시에 대해 유의적인 양(+)의 초과수익률을 보임으로써 배당의 정보효과를 지지하나, 비정상적인 초과수익률이 배당공시일 뿐 아 니라 그 이후에도 존재함으로써 국내 주식시장이 배당 관련하여 매우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발 견하였다. 결산배당미공시와 결산배당사전공시는 유의적인 배당락오차율이 존재하였는데, 이는 배당 소득세를 감안하지 않은 경우뿐 아니라, 배당소득세를 감안하여 산출한 경우도 동일하였다. 또한, 배당소득세를 감안하고도 결산배당미공시의 배당락오차율은 차익거래가 가능한 수준이었다. 결산배 당사전공시의 배당락오차율이 존재하는 것은 배당락이 결산배당미공시와 같은 날 이루어짐에 따라 투자자들이 인지하지 못하는 이유 때문으로 추정된다. 실제 배당금과 배당소득세를 감안한 배당락 일 주식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중간배당과 결산배당사전공시의 경우 유의적인 수익률이 존재하지 않으나, 결산배당미공시의 경우는 유의적인 수익이 존재하였는데, 이러한 초과수익률은 부분적으로 1월효과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금기 배당금이 전기배당금 대비 증가할 경우 배당락일 수익 률이 가장 높았으나, 금기배당금이 전기배당금 대비 감소할 경우도 배당락일 주식수익률은 유의적 인 양(+)의 값을 보였다.

      • KCI등재

        기업간 신용거래에 대한 실증연구

        박무정(Mujeong Park),상전(Sangjeon Han),누리(Noolee Kim) 한국증권학회 2018 한국증권학회지 Vol.47 No.3

        본 연구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신용거래의 결정요인과 동 거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신용거래를 제공하는 판매기업의 입장에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신용거래의 제공능력이 클수록, 그리고 신용거래의 비용이 낮을수록 신용거래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재무적 동기 이론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외부자금 조달능력, 특히 해당기업의 판매처로부터 제공 받는 거래신용이 물품 판매시 신용거래 제공에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장점유율이 낮은 기업에서 매출촉진을 위한 신용거래가 많이 활용되는 반면, 생산주기가 길어 제품의 품질에 대한 정보비대칭이 큰 기업에서는 신용거래가 많이 활용되지 않아 영업적 동기 이론은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었다. 한편 가격차별화 이론 및 거래적 동기 이론은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신용거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에서는, 신용거래가 일정수준까지는 기업가치와 양의 관계를 가지지만 일정수준 이상에서는 음의 관계를 가지는 역U자형의 비선형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최적 신용거래 수준이 존재함을 보여주며, 판매기업 입장에서 신용거래 공급이 과소한 경우에는 신용거래를 증가시킴으로써, 과다한 경우에는 신용거래를 감소시킴으로써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de credit in the Korean market. Specifically we conduct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trade credit and its effects on firm value using Korean firm level data from the supplier firms’ perspectiv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supplier firms with higher capacity for and lower costs of trade credit provision provide more trade credit, which support the financing motives of trade credit. Also, we find that firms with lower market share provide more trade credit in order to promote sales as conjectured by the operating motive. However, firms with longer production cycle tend to provide less trade credit, which contradict the operating motive theory’s impl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ice discrimination motive and transaction costs reduction motive of trade credit are not supported by the empirical results. For the effects of trade credit on firm value, we find non-linear relation between the two. Specifically,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is an inverse-U-shape relation between trade credit and firm value, which states a positive relation to a certain point and a negative relation beyond 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optimal level of trade credit maximizing firm value exists and firm value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supply of trade credit in case of underinvestment in trade cred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