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노인가구의 경제적 변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강변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학주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7 생명연구 Vol.46 No.-

        In this paper, not only impact of the various household level economic factors identified by previous studies on the life satisfaction is examined, but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health variable that affects life satisfaction in the process that the economic factors of elderly households directly determine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ltimately indicat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require the possible change in the current elderly welfare policy and put more weights on economic support and health care for the elderly household. 본 연구에서는 노인가구의 경제적 변인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건강변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노인가구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가구의 경제적 여건과 건강변수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소득활동과 저조한 면역기능 상태를 고려할 때 이들 가구의 삶의질 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요인임에 틀림없다고 판단된다. 특히 노인가구의 경제적 수준을 고려할 때 개인적 차원보다는 가구 차원에서 가용소득과 소비수준이 결정된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며 이에 따라 노인자신의 소득 보다는 가구조정소득, 각종 자산 및 부채지표들을 활용하여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건강변수가 이들 노인가구의 경제적 변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지도 구체적으로 규명될 필요가 있다. 그동안 노인가구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건강변수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최종분석에서는 한국노동패널 2012년 통합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세이상의 노인이 속한 6,570가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일반회귀분석과조절회귀분석결과 가계의 가구조정소득, 금융자산, 건강변수가 노인가구의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변수는 노인가구의 경제적 변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건강한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경제적 수준이 나빠져도 생활만족도의 감소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인구사회학적 변인이나 경제적지원에만 비중을 두는 현행 노인복지정책에 변화가 필요함을 알릴 수 있는계기가 될 수 있으며, 노인을 위한 비경제적 부문에서의 사회참여 및 건강을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마련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노년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건강관련 정책마련을위한 기초자료로서 학문적이며 실천적 함의를 가질 수 있다.

      • KCI등재

        에스닉(Ethnic) 레스토랑 이용고객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 연구

        김학주,김찬우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2

        This study applied the Q methodology to customers using the Ethnick restaurant in Itaewon to understand subjective perceptions of customers using the restaura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subjective structure of the restaurant and to describ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subjective. As a result of type analysis, a total of five were derived. Type 1 (N=4) : Ethnic Food Preferred Type, Type 2 (N=5): Mainland flavour Seeking Type, Type 3 (N=3) : Food Material Sanitary Conditions Type 4 (N=6): The restaurant's Restaurant Service Preference Type, and Type 5 (N=2) : The mood sensibility type were analyzed to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n future studies on Ethnick restaurants, we intend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detailed Q methodological questions and analysis methods based on many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to analyze the various opinions of the respondents in a specific and in-depth manner. 본 연구는 에스닉 레스토랑 이용 고객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서울지역 이태원 중심의 에스닉 레스토랑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에스닉 레스토랑에 관한 주관적 구조를 유형화 하며, 유형들 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분석 결과, 총 5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4) : 에스닉 푸드 선호형 (Ethnic Food Preferred Type), 제 2유형(N=5) : 본토 맛 추구형(Mainland flavor Seeking Type), 제 3유형(N=3) : 식재료 위생 중점형(Food Material Sanitary Concentration), 제 4유형(N=6) : 레스토랑의 서비스 선호형(Restaurant Service preference Type), 제 5유형(N=2) : 분위기 감성 추구형(Mood sensibility Type)으로 각각의 유형마다 다양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에스닉 레스토랑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구체적이며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동가구주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건강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학주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9 생명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on the economic situation and life satisfaction level of children‘s householder.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ype of employment, type of residence, and health status of the children 's householder are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economic stat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current income as a parameter of health status in the process of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child householder. Strengthening life satisfaction or quality of life of a child’s householder would be more effective when it involves not only an effort to increase economic factors such as income and wealth but also a policy effort to maintain the health condition at an appropriate level.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households with better health status may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even if they have the same level of physical assets. Thus, while the welfare system for the economic support of the children’s household is implemented, the program for improving the employment type 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household members including the householder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아동가구의 경제적 실태와 생활만족도 수준을 파악하고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건강요인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해서 확인해 보았다. 분석결과, 아동가구주의 취업유형이나 거주형태, 건강상태 등이 직접적으로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경제적 요인이 아동가구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건강상태가 매개변수로서 경상소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아동가구주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득, 자산과 같은 경제적 요인을 증가시키려는 노력뿐만 아니라 건강상태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려는 정책적 노력이 수반될 때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연구결과는 동일한 수준의 실물자산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건강상태가 더 좋은 가구주의 생활만족도가 더 높을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아동가구의 경제적 지원을 위한 복지프로그램이나 관련 제도를 새로이 시행하려고 할 때 가구주를 포함한 가계구성원들의 취업형태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동시에 병행한다면 그 효과는 배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