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 왕자"의 번역읽기와 번역비평. 우리 시대의 번역을 찾아서

        김화영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3 프랑스문화연구 Vol.59 No.1

        본 논문은 원저자의 ‘그때의 책’이 번역가가 속한 오늘의 시대에 더 크게 열린 다양한 해석을 담아낼 수 있는 번역이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외국문학 작품은 자국의 문화적 조류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읽힐 수 있고, 새로운 의미가 산출될 수 있는 만큼, 우리 시대 감수성으로 재해석된 번역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어린 왕자 의 번역 현황을 조사하고 정리하여 비평대상이 되는 번역본을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은 우리 시대의 감수성에 부합하는 번역을 발굴하는 목표에 따라, 2010년 이후 출간본 가운데 모더니즘 시대에 초판을 출간하고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재번역을 한 전성자 번역(초판72/문예, 2020년), 황현산 번역(초판73/열린책들, 2015), 2018년 팝업북 형태로 발간된 김화영 번역(초판07)을 선정했다. 이와 함께 갈리마르사의 어린 왕자 출간 70주년 기념판본, 어린 왕자의 아름다운 역사 를 번역한 정장진 번역(문예, 13)과 기성 번역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을 통하여 새로운 번역을 시도한 이정서 번역(새움, 16)도 검토 대상에 포함했다. 어린 왕자 에는 아이와 어른, 혹은 유년기 기억을 간직한 어른이 모두 존재하기에 어른과 아이라는 이분법적 대립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불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어른과 아이라는 두 세계가 합쳐지면서 새로운 차원의 서술구조와 글쓰기 유형이 혼재되어 나타남에 주목하고 이를 번역비평의 기준으로 삼았다. 검토한 5종의 번역 가운데 원작의 혼종적 서술방식에 주목하여 이를 일관되게 살려낸 번역은 없었다. 전성자, 김화영, 정장진의 번역은 나름의 한계 속에서 번역마다 특색과 장점이 있다면, 황현산의 번역은 번역문학 작품으로 간주할 수 있을 만큼 역자 특유의 문체가 존재한다. 현재로서는 어린 왕자 번역에 관한 한 모범으로 삼을 만한 번역이다. 이정서 번역은 한 마디로 ‘직역’이라는 번역전략을 오용한 전범으로 삼을 만하며, 문학작품 번역에서 가장 중요한 ‘문학성’에 대한 몰이해로 말미암아, 결국 작품을 자기 나름의 견해로 해석한 번역의 사례로 볼 수 있다. Il existe actuellement plus de 200 traductions coréennes du Petit Prince. L’histoire de la traduction du Petit Prince en Corée dépasse plus d’un demi-siècle, depuis la première parution de la traduction d’An Eung-Ryul en 1956. Pendant cette période, l’ère de la guerre froide et du modernisme passe et nous sommes désormais dans l’ère du post-modernisme, de l’intelligence artificielle et de l’après-Covid 19. Notre étude part du besoin de retraduction ou de nouvelle traduction, à mesure que la langue maternelle change et devient obsolète. La retraduction ou la nouvelle traduction révèle que toute langue est une langue d’ici et maintenant, usée par diverses formes et types de traduction, et qui gagne ainsi en validité. Le but de notre étude est donc de chercher la traduction adéquate de lecteur comme sujet de jouissance de la culture et des arts à l’ère du post-modernisme. Nous essayons de lire le Petit Prince de Saint-Exupéry et les cinq versions de la traduction de cet ouvrage du français vers le coréen: celle de Jeon Sung-Ja, celle de Whang Huyn-San, celle de Kim Wha-Young, celui de Jeong Jang-Jin et celui de Lee Jeong-Seo. Tout d’abord, nous examinons si la traduction réalise le mélange de la narration entre l’adulte et l’enfnat. Ensuite, nous examinons si la traduction montre que l’aviateur-narrateur et le petit prince sont les alter ego de l’auteur de cet ouvrage. Enfin, nous observons si les dessins sont tous identiques au texte original, au niveau de leurs formes et de leurs emplacements. C’est un indice d’autant plus pertinent que les dessins contribuent notamment à créer une ambiance merveilleuse pour les enfants. En même temps, le texte fait référence aux dessins et les dessins font référence au texte : ce phénomène de va-et-vient leur permet de se compléter. On pourrait dire que la traduction de Whang Huyn-San est aux antipodes de celle de Lee Jeong-Seo, dans le domaine de la littérarité. La première nous montre un exemple de traduction réussie dans laquelle le lecteur peut entrevoir un être intérieur oublié depuis longtemps, l’enfant éternel qui existe à la fois chez l’aviateur-narrateur et en nous-mêmes. C’est celui de Lee Jeong-Seo qui comporte de nombreuses erreurs dans les expressions fidèles à la traduction littéraire, à ce qu’il revendique de plus fidèle et sincère à l’original. Le reste des traductions, celle de Jeon Sung-Ja, celle de Kim Wha-Young, celle de Jeong Jang-Jin révèlent certains désaccords et différences stylistiques au niveau des éléments fondamentaux des processus traductologiques. Quant aux éléments stylistiques caractéristiques de l’œuvre comme le temps, le discours indirect libre, on retrouve de nombreux points relativement hétérogènes qui ne sont pas nécessairement dus à la différence de style et de goût des traducteurs. Ensuite quant au statut et à la fonction des dessins comme leurs emplacements, leurs tailles relatives, la traduction de Jeon Sung-Ja et celle de Lee Jeong-Seo négligent le rôle des dessins si bien qu’ils changent les emplacements des dessins, ainsi que des déplacements dans le rôle du dessin comme saisie globale, immédiate et synthétique.

      • 해양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연안선박의 지피에스 플로터 사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화영,유영현 한국해양경찰학회 2014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4 No.1

        지피에스 플로터(GPS Plotter)는 간이전자해도가 내장된 항해용 장비로 국내 연 안을 항행구역으로 하는 화물선, 예부선, 어선 등 중소형 선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 다. 1990년대 위험화물운반선의 해양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유조선통항금지구역이 설 정되면서 해당 선박의 항적의 기록·보존을 위하여 지피에스 플로터를 설치하도록 강 제화하였다. 그러나 선박안전법에 해당선박에 대한 선박위치발신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의 설치 규정이 신설되면서 2009년 지피에스 플로터 설치 강제 화 규정이 삭제되었다. 그러나 선박위치발신장치의 설치 대상선박이 아닌 50톤 미만의 예부선, 어선 등 소형선박의 운항자는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지피에스 플로터를 항해장비로 사용하 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지피에스 플로터 제조사의 고객에 대한 사후 관리 서비스 소홀, 선박운항자의 안전의식 부재로 지피에스 플로터에 내장된 간이전자해도의 최 신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선박을 운항하여 충돌 등의 해양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연안을 항행구역으로 하는 중소형 선박에 있어서 지피에스 플로터 사용에 기인하여 발생한 좌초, 충돌 등 해양사고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피에스 플로터 사용에 따른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개선방안 으로 지피에스 플로터의 간이전자해도 최신화 체계 구축, 지방해양항만청과 수협을 중심으로 한 지피에스 플로터 중점 엡데이트 달 지정, 연근해 대축적 해도 및 어업 용 해도 보급 인프라 강화, 간이전자해도 업데이트 체계 및 관리방안 수립 등을 제 안하였다.

      • KCI등재

        발자크에서의 비판력 마비술 : 《 상어가죽 》의 경우 Le cas de " La Peau de Chagrin "

        김화영 한국불어불문학회 1970 佛語佛文學硏究 Vol.5 No.1

        L'importance de l'oeuvre de Balzac dans la litte´rature franc¿aise n'est plus a` e´tablir. Si de son vivant l'e´crivain n'a pas eu une influence pre´ponde´rante sur les oeuvres litte´raires, par contre celui-ci est en train de prendre une juste revanche en exerc¿ant une attirance grandissante sur la litte´rature de notre e´poque par son ide´e philosophique et sociale. Il nous a paru inte´ressant de faire porter l'objet de notre e´tude sur l'art paralysateur du sens critique a` travers "La Peau de Chagrin."chez Balzac et d'en de´gager la technique de roman balzacien. Notre e´tude comprend deux parties. Dans une premie`re partie, nous avons examine´ l'emploi du pronom personnel ope´rant la transposition d'expe´riences entre les personnages du roman et le lecteur. La seconde partie est consacre´e d'abord a` l'analyse des lieux ou` se de´roule le drame, puis a` l'examen des images vagues et berc¿antes et enfin a` quelques conside´rations sur des oppositions de deux mondes polaires. Pour ce qui est de pronom personnel, nous avons ve´rifie´ que Balzac utilise au de´but du roman les personnages sans nom, puis il invite le lecteur a` participer a` la cre´ation me^me en adoptant le pronom personnel "Vous", qui est change´ a` l'insu du lecteur en "Nous" de la ge´ne´ralisation. En appliquant ce proce´de´, il arrive facilement a` nous persuader que la fiction coinci¨de avec le re´el. Cette e´tude nous conduit a` l'examen plus approfondi. Il est tre`s inte´ressant de voir ce drame se de´rouler dans les lieux perticuliers: la maison de jeu, le magasin de curiosite´s, le salon de l'orgie qui se situent hors de la vie quotidienne. Ainsi le monde de Balzac est innonde´ de choses extraordinaires et semble e´merger d'une grande ombre, d'une immense mer d'eau nocturne comme l'atteste les expressions porte´es sur le brouillard, le voile, la poussie`re, la vague, la fluidite´, l'ondoiement, le mouvement... Et aussi par le moyen des oppositions ou des juxtaposition des choses contradictoires, Balzac facilite la de´scription du ve´ritable visage du monde obscure et de la re´alite´. Cette re´alite´ qu'en croyait abord emprunte´e a` l'o´bservation de la vie courante, c'est comme si elle ne demeurait pas exte´rieure, comme si elle e´tait elle-me^me le produit du re^ve, une terre forme´e par la vague et dont l'immobilite´ ne serait qu'une illusion.

      • KCI등재

        보안담당관의 혁신적인 HRD(인적자원개발) 방안 고찰

        김화영,임헌욱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JSE) 2016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대통령령 보안업무규정 제43조의 보안담당관을 대상으로 HRD(인적자원개발) 방안을 마 련하고자 하였다. HRD란 크게 직무훈련, 개인교육, 조직개발 등으로 구성되며 보안담당자의 직무향 상을 위한 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방법으로 보안담당관 직무, 산업보안 교육과정, 보안 관리 표준매뉴얼을 비교 분석하여 보안담당관의 단계별 HRD 훈련내용을 도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HRD scheme for the security officers ruled by Article 43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Codes of Practice. The HRD is mainly consisted of job training, personal training, organization development, etc. It presents training plans for the job improvement of security staffs. Comparing with industrial security training courses, standard manual of security management and duties of security officers, this study draws step-by-step procedures and contents for security officers.

      • 관상동맥질환 위험요인으로서의 대사증후군

        김화영,김미현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인간생활환경연구소 2004 인간생활환경연구소 논집 Vol.- No.2

        Cardiovascular disease has been identified as primary cause of death of the elderly The clustering of several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 such as abnormalities in glucose and insulin metabolism, obesity, dyslipidemia. hypertension, chronic inflammation, hyperhomocysteinemia - has been termed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recent reports from population-based studies, up to 23% of the Korean adult population have feature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sulin resistance has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connecting many of the features - genetic factor, environmental factors, and nutrition - of the metabolic syndrome. Excessive intakes of energy and fat are reported to be the most contributing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in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 studies with Asians including Koreans did not show that energy and fat intakes were the major nutritional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and reported the tendency of undemutrition in the elderly people with metabolic syndrome. Extensive studies are needed to document the mechanism related to dyslipidemia, proinflammatory immune response, antioxidant capacity, and undemutrition as risk factor for metabolic syndrome, especially for Korean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has been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it is utmost importance to identiffy the risk factors of metablic syndrome in the view point of public health

      • 발암 물질 선별 방법에 대한 소고

        김화영 가톨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79 자연과학논문집 Vol.1 No.-

        우리가 발암 과정의 메커니즘을 조금씩 이해하게 됨에 따라 발암 물질을 빠르고 쉽게 선별하는 생체외 실험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기는 하나 아직도 우리 주위에서 범람하는 수 많은 종류의 물질들을 모두 시험하기에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 우리가 생체외의 실험 방법으로 발암 물질의 선별 및 발암과정을 연구하자면 미생물을 이용하기 보다는 동물세포를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며 현재와 같은 섬유 암세포를 이용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암의 발생이 개시되는 상피세포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시급하다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돌연변이 혹은 여러가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어떤 물질이 시험관 내에서 정상세포를 암세포로 변형시켰다 하여도 인체가 그러한 물질에 접하게 되었을 때의 결과는 동물실험을 통해서만 얻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물질을 사람이 섭취하거나 접하게 되었을 때 그 물질들이 흡수된 후 체내분포 상태와 대사과정을 통한 변형 및 배설 등의 과정을 이해하여야 그러한 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말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모두 이해하자면 생체를 이용하는 실험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러나 생체를 이용한 실험을 하기 전에 동물세포를 이용하여 발암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을 거치고 그 후에 동물 실험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