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플루언서의 ‘뒷광고’ 논란 전,후에 대한 댓글 비교 분석:LDA와 Word2vec을 중심으로

        영란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0

        Recently, as famous YouTubers produce and broadcast videos that receive sponsorship and advertising such as indirect advertising (PPL), a so-called 'back advertising' controversy continues, and not only famous YouTubers but also entertainers are caught up in the issue. It is causing confusion among the public in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public's reaction before and after the controversy of 'back advertising' by YouTubers through comment analysis. Specifically, among text analysis using R programs, we intend to analyze the issue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word cloud, qgraph analysis, LDA, and word2vec analysis, a deep learning technique. The target of the analysis was to analyze the channels of three YouTubers who belonged to the controversy of the 'back advertising' YouTuber and uploaded the 'Apology video'. The 5 most recent videos of Muk-bang YouTuber Moon Bok-hee, who has a similar content disposition to SussTV's Han Hye-yeon stylist, which was controversial, and Yang Pang, a YouTuber who showed various contents (August 09, 2020) Criterion and her first 5 videos uploaded were reviewed.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of the comments that showed positive reactions before the controversy ,but after the controversy, it was found that negative reactions accounted for most of the comm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egree of change of the public about influencers through comments after the controversy over 'back advertising' through various analysis using R program. This research also devises various measure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ack advertising of influencers in the future. 최근 유명 유튜버들이 간접광고(PPL)등 협찬, 광고를 받은 영상을 제작, 방영하면서 유료광고라고 밝히지 않은 일명 ‘뒷광고’ 논란이 이어지며 유명 유튜버뿐만 아니라 연예인들까지 논란 속에 속해 있어 진실성에 대한 대중들의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유튜버들의 ‘뒷광고’ 논란의 전과 후의 대중들의 반응을 댓글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R 프로그램을 활용한 텍스트 분석 중 워드 클라우드, LDA, 딥러닝 기법 word2vec 분석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뒷광고’ 유튜버 논란에 속해 있고 ‘사과 영상’을 업로드한 3명의 유튜버 채널을 분석해 보기로 했다. 가장 먼저 논란되었던 슈스스 TV의 한혜연 스타일리스트와 콘텐츠 성향이 비슷하면서 100만 명이 넘는 구독자 수를 보유한 먹방 유튜버 문복희와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인 유튜버 양팡의 가장 최신 영상 5개(2020년 08월 09일 기준)와 처음에 올린 영상 5개를 기준으로 댓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논란 전에는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댓글들이 대부분이었으나, 논란 후에는 부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예전의 논란까지 같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R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뒷광고’ 논란 이후에 인플루언서에 대한 대중들의 변화 정도를 댓글을 통해 알아봄과 동시에 앞으로는 인플루언서들의 뒷광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정부의 청년지원 정책을 위한 홍보전략과 정책 방안에 관한 연구

        영란 水原大學校 2016 論文集 Vol.30 No.-

        This study appraises the government's policies of expanding supporting for the youth and searches for Public Relations Strategy and Policy plan according to the polici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government manages five different programs such as employment information, job and career support, vocational experience, overseas employment, and ability-centered recruiting culture for tackling the problem of youth unemployment. In addition, for the public relation strategies targeted at the youth, mobile and online media are turned out more effective tools as the youth are familiar to them. Accordingly,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s expanding supporting for the youth should be to stabilize the mandatory employment system, to invigorate the youth start-up, to open up the opportunity of overseas employment, and to enlarge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대학생활 만족도가 졸업 후 모교 기부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영란(Young Ran Cha)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도와 졸업 후 모교 기부의사 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생 120명과 수도권 소재 대학생 137명 등 총 257명(남학생 126명, 여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학교당국에 대한 기부 의사는 서울 소재 대학생 집단이 수도권 소재 대학생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교 만족도 차이에서 교수님에 대한 만족도는 수도권 소재 대학생 집단이 서울 소재 대학생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일체감 만족도와 학교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서울 소재 대학생 집단이 수도권 소재 대학생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 간 차이분석을 살펴보면 일체감 만족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학년 간 차이를 보면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교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교만족에 따른 기부의사는 교수님에 대한 만족도와 일체감 만족도, 학과적성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요인을 충족시키는 방안과 졸업 후 기부를 통해 학교 재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써 대학기부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a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college life and alumnus` intention to donate funds to their alma mater. The survey conducted 257 students(126 men and 131 women), 120 students of them from universities in Seoul and 137 students of them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capital area. The research generally shows students who attend colleges in Seoul have more intention to donate funds to their alma mater, compared to students who attend colleges in capital area. In survey results the study has found students at colleges in capital area hav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professors than others. But, students who go to colleges in Seoul have higher sense of identity with their college and a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facilities more likely than other students. Next, In an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female students have higher sense of identity with school than male students. Moreover, Looking at differences between college grades, the upper-grade students have better satisfaction with college professors than the lower-grade students in college.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ind plans to complet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to suggest plans for more developed school environment from alumni donations that can raise school finance.

      • KCI등재

        모바일 광고의 속성과 그에 의한 신뢰 및 태도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

        영란 한국광고PR실학회 2015 광고PR실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가 최근 뉴미디어로 각광을 받는 반면 부정적인 효과에 대한 논란도 많은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광고 효과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전통적 매체에서 신뢰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모바일 광고에서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ucoffe(1995)의 웹광고 효과 모델을 근간으로 하여, 모바일 광고에 대한 신뢰 및 태도가 효과에 미치는 모델을 연구하였다. 또한 광고효과인 회상과 구매의도가 수용자의 모바일 광고에 대한 신뢰 및 광고태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분석하여 신뢰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광고 효과 모델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데 비해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최종 회수된 표본 407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바일 광고의 정보성은 광고신뢰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광고태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락성은 광고신뢰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광고효과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가심은 광고신뢰와 광고태도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편재성은 광고신뢰와 광고태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화는 광고신뢰와 광고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수들의 영향력을 볼 때 광고신뢰의 경우 정보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며, 광고태도와 광고효과, 광고회상의 경우에는 개인화와 오락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절변수로서 성별, 소득, 나이를 선택하였는데, 연구결과 소득의 경우에만 정보성과 오락성이 미치는 효과가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n the one hand Mobile advertising is getting highly favored as new media recently, but on the other there has been some controversy over its negative effe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specific advertising effect process. While there has been a lot of studies on the credibility of the existing traditional media, there has not been as many on the credibility of the mobile advertis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model of the effects influenced by trust and attitude of mobile Advertising based on Ducoffe (1995) web advertising’s effect model. Furthermore, the study seeks to establish mobile advertising’s effect model based on trust by exploring how consumers’ trust on mobile advertising and Advertising attitude make a difference to the Advertising Effect, advertising recall and purchase intend. While earlier studies targeted at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targeted at the general public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alyzes the finally retrieved 407 samples. According to the study, information of mobile advertising has an influence on advertising trust but not on advertising attitude. The result also shows that pleasure does not have an influence on advertising trust but it does have an influence on advertising effect. It is revealed that irritation has a negative influence both on advertising trust and advertising attitude. Ubiquity does not have an influence on advertising trust and attitude at all, and personaliz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both on advertising trust and attitude. These variables considered show that information is the biggest influence to advertising trust, and personalization and pleasure are the biggest influences to advertising attitude, advertising effect, and advertising recall. Inaddition, moderating variable s include gender ,income, and ages, and the study result shows that influence of information and pleasure may some what differ in income.

      • KCI등재

        국내,외 가상광고 현황 및 국내 가상광고 활성화 방안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영란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7

        Virtual Advertising, which was introduced exclusively in sports casting programs in 2010, has enlarged its scope to terrestrial TV networks’ sports news, entertainment shows, and dramas by 2015. Such advertising deregulation allows broadcasting business operators to insert more various virtual advertising methods into TV programs. Despite recent evaluation that virtual advertising was deregulated to a large degree, it is still inadequate compared to foreign state of affairs and has a lot of room for growth. Therefore, this research explores a literature review of virtual advertising in other countries and considers possible ways for virtual advertising in Korea to move forward. Additionally,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seven virtual advertising experts, the research unravels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f virtual advertising as well as its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struggles. This research also analyses the regulation of virtual advertising and finally explores possible revitaliz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first improve the viewers’ favorable concerning virtual advertising in order to revitalize virtual advertising. Revitalization will also require a clarification of regulation as well as a more unified and consistent content review and rating system. Furthermore, it is imperative that data of advertising impact will be accessible to advertisers and that advertising regulation will loosen. Revitalization will also require a clarification of regulation as well as a more unified and consistent content review and rating system. Furthermore, it is imperative that data of advertising impact will be accessible to advertisers and that advertising regulation will loosen.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new techniques and creators of virtual advertising. The research suggests strategies and alternative paths for the growth and revitalization of the virtual advertising market in light of recently revised law. 2010년 운동경기 중계방송에 한해 도입되었던 가상광고는 2015년 지상파 방송사의 스포츠 뉴스와 예능, 드라마 프로그램에까지 확대 허용되었다. 이러한 광고 규제 완화조치로 방송사업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가상광고를 프로그램에 삽입시키고 있다. 가상광고에 대한 규제가 많이 완화되었다고는 하지만 외국에 비해서는 아직 부족하고, 앞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외국의 가상광고의 현황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가상광고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또한 가상광고 전문가 7명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가상광고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살펴보았으며, 가상광고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가상광고의 규제 및 심의에 대해서 분석했으며, 마지막으로 가상광고 활성화에 대한 전략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가상광고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시청자들의 가상광고 관련 호감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가상광고 규정의 명확화가 필요하며, 심의기관을 일원화하는 것이 급선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광고주에게 광고효과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광고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더불어 새로운 기법이나 크리에이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 개정된 법에 따른 가상광고 시장의 확대를 위한 방법론과 대안과 함께 가상광고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 및 해외국가의 PPL규제현황과 활성화 방안

        영란(Young Ran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2010년 1월부터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 발의로 PPL의 간접광고가 가능해지면 PPL의 양적 증가는 물론 PPL의 방법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PPL이 가진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넘어야 할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측면의 문제점들이 존재하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및 해외국가의 PPL규제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내의 PPL 활성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PPL의 시장 상황을 살펴보고, 한국의 PPL시장이 외국과 비교했을 대 어떤 상황에 있는가를 알아 보았다. 이를 위해 미국, 일본 및 중국과 유럽의 주요 국가의 PPL규제방식이 한국과 어떻게 다른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PPL 규제와 관련된 문제점과 쟁점들을 살펴보고, 현실적인 PPL 규제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에 따라 PPL 규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 하였고, 기업과 정부 차원에서 PPL 활성화를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해 보았다. As PPL has become available since the proposal of the revised enforcement ordinances of the Broadcast Law in January 2010, not only PPL has become increased in its quantity but its method has also become diversified gradually. However, there are problems in institutional and policy aspects in order to realize its potentials, and it needs to be reviewed more concretely. Consequently, the study aims to provide domestic PPL activation plans by the research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PL regulations PPL market situation was examined preferentially, and then Korean PPL market situation was compared to foreign countries’ counterpart. In order that, PPL regulation plan of US, Japan, China, and other major Europe countries were compared to Korean’s one. The problems and issues related to PPL regulation was also looked into, and practical PPL regulation plan was researched. According to that, improvement plan of PPL regulation and methodology to revitalize PPL in respect of business and government were suggested

      • KCI등재

        6.2 지방선거를 통해 본 유권자들의 정보채널 이용 행태

        영란(Young-Ran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6.2지방선거를 대상으로 선거에서 드러난 투표행위를 분석하고 후보자 인지 및 선택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 비교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번 선거에서 투표를 한 유권자들을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자신의 정치이념 성향을 중도로 보고 있으며, 투표할 후보자 결정은 투표 2-3일전에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보자 투표 결정 동기는 소속정당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표행위는 대체로 소신투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론조사 결과는 후보자 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론조사가 실제 투표 결과와 차이가 많이 난 것은 여론조사 방법이 잘못되었고, 자신의 의견을 숨기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후보자의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것은 언론매체이지만 후보자의 정책을 인지한 채널은 선거홍보물로 나타났다. 아울러 투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경제 및 정치쟁점이었고, 특별히 이번 6.2 지방선거에서는 4대강 쟁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권자들의 투표행위를 구체적으로 심도 있게 파악한 것으로 앞으로의 선거에서 여러 가지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study is to analyze voting behaviors revealed through the June 2 local elections, and to learn their implications by exploring and comparing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how to recognize and select a candidate.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 those who voted in the last election. The analysis shows that most respondents regard their political tendencies as moderate and make decisions on whom to vote for 2 to 3 days prior to election. It also indicates that what party candidates belong to is the highest motivation in deciding for whom to vote and they generally vote as they believe. According to the study, not only do the poll's results hardly affect their choice of candidates, but also the polls turn ou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ctual results. The great gap between the polls and the actual outcome signifies that how to conduct a poll is wrong and people intend to conceal their opinions. While the media has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image of candidates, it is through promotional materials for political campaigns that the candidates' policy is recognized. The study also says that the Four-River is the most influential political issue in election. The study identifies voters' behavior specifically and in depth, and suggests some lessons to make use of for the future el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