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사, 了, 그리고 把字句 ― ‘把-NPV了’를 중심으로

        조경환 중국어문연구회 2012 中國語文論叢 Vol.0 No.52

        Although The Ba-construction is probably the best-known syntactic construction in Mandarin Chinese, bu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we can’t solve. In this article, We reviewed four types of Ba-NPVle Construction, and realized that each construction has own aspectual feature and different processes of aspectual composition. Therefore we have to focus on interaction of the new aspectual feature of verb, animacy of the participants, phase complement ‘le’, and Ba-construction itself.

      • 차체 핵심모듈(프론트/사이드) 다종소재 부품 이종접합 공법 실험적 평가

        조경환,강상훈,이소정,강민정,김준기,이정흠,이병룡,감동혁 대한용접·접합학회 2021 대한용접학회 특별강연 및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Vol.2021 No.11

        자동차 산업에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는 각각 연비기준을 만족하고 주행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차량 경량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차량 경량화를 위하여 고강도 경량 다종소재가 복합적으로 적용되므로 이들 소재간 이종소재 접합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7000계 알루미늄, 알루미늄 주조재, 초고강도강, CFRP 등의 다종소재로 이루어진 차체 프런트와 사이드 모듈의 부품 간 이종소재 접합에 대해 실험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소재 조합에 대해 다양한 이종접합 공법이 검토되었으며 그 공법은 SPR(Self-Piercing Rivet), FDS(Flow Drill Screw), FEW(Friction Element Welding), REW(Resistance Element Welding), blind rivet, adhesive bonding, laser welding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하이브리드 이종소재 접합 공법을 검토하였다. 즉, 각 소재 조합에 대하여 상기 이종접합 중 적용 가능한 공법들을 비교하여 최적의 이종접합 공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서양 선교사 중국어 문법서들의 把자문 연구

        조경환 중국어문연구회 2015 中國語文論叢 Vol.0 No.67

        Ba-construction is the most unique construction in Chine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how western missionaries treated this construction several hundred years ago.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estern missionaries such as Martino Martini and Francisco Varo simply mentioned classifier of ‘Ba’ and didn’t mention Ba-construction. In the 19th centuries, Robert Morrison and William Lobscheid also didn’t mention Ba-construction. In contrast, Karl Friedrich Gützlaff, Josheph Henry Premare, Joseph Edkins analyzed Ba-construction from various angles including prototype of Ba construction, instrumental function, non-disposal use etc. Their view about Ba-construction is still available today, therefore we must reappraise these grammar books written by western missionaries in modern times.

      • KCI등재

        중국어의 통사 구조와 의미 구조 -특수구문을 중심으로

        조경환 중국어문연구회 2011 中國語文論叢 Vol.0 No.48

        句法結構(syntatic structure)和語義結構(semantic structure)之間的聯係規則(lingking rules)在語言學界是一個備受촉目的話題, 但我們發現這種聯係規則存在一些問題。因爲聯係規則不能把握句子裏的歪曲(screwing)因素, 而且一個句子除了句子裏面的動詞和論元以外, 還具有自己本身的意義。所以我們主張要把握漢語的句法結構和語義結構, 不能根據聯係規則, 而是要以句子爲依據。本篇文章主要考察了表處置的代表句型‘把’字句, 表被動的代表句型‘被’字句, 以及表致使的代表句型‘使’字句, 幷且觀察到各句型都具有自己本身的語義。由此可知, 雖然兩個句型可以互相變換, 但這幷不意味著兩個句型表示同樣的意義。

      • 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에 대한 전향적 조사연구

        정희진,김우주,김민자,박승철,조경환 대한감염학회 1995 감염 Vol.27 No.2

        저자들은 1993년 1월부터 4월까지 고대 구로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1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병원감염의 발생률 및 사망률, 위험요인을 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 발생률은 총 146명의 환자중 58예로서 39.7였다. 각 부위별 병원감염은 폐렴 23예(39.7%), 기관지염 12예(20.7%), 요로 감염 8예(13.8%), 패혈증 6예(10.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원인균은 MRSA 13예(27%), Klebsiella species 14예(24%)의 순으로 나타났다. 2)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는, 신경외과에 입원한 경우, 두부외상이 있는 환자인 경우, 쇽이나 혼수등의 심각한 상태로 내원한 경우, 항균제 사용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혈중 알부민의 감소, 백혈구수의 증가, 크레아티닌의 증가, 각종 침습적 조작을 사용한 경우이었다. 3)중환자실에서 병원감염에 이환된 환자들중 사망한 환자는 총 58예중 23예로서 40%에 달하는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었다. 4)중환자실에서 병원감염에 이환된 환자들에서의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으로는 내원 당시 쇼크나 혼수가 있었던 경우, 각종 침습적 조작을 사용한 경우, 중환자실 재원 기간이 길수록,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 진단 당시 백혈구증다증이 있었거나 혈중 크레아티닌이 증가한 경우등이었다. 5)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볼때 기관내 삽관이나 기관절개등의 각종 침습적 조작의사용이나 혈중 알부민 농도의 감소 및 크레아티닌 농도의 증가등이 중환자실 병원감염에의 이환률이나 사망률증가와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위의 관찰을 토대로 하여 볼 때, 중환자실 환자들은 39.7%의 높은 병원감염에의 이환률을 보이고, 일단 병원감염이 발생하면 40%가 사망하는 등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병원감염의 현황 및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경험적 항균제 치료 및 예방의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병원감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대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Intensive care units(ICUs) probably represent the single largest identifiable source of nosocomial infection. Although nosocomial infection has become a maor health problem because of excessive morbidity, personal distress, and cost, no previous studies have clearly demonstrated the incidence of nosocomial infection and the case-attributable mortality in Korea. methods: In order to evaluate the incidence, the attributable mortality and risk factors of nosocomial infection in patients receiving intensive care, we have peformed a prospective stud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all patients who developed nosocomial infections in the ICU of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during a 4-month period(from January 1993 to April 1993). Result: 1)The incidence of nosocomial infections in ICU was 39.7(58 infections/146 admissions), and the percentage distribution by site was as follows: Pneumonia consitituted 39.7% of all nosocomial infecitons, tracheobronchitis 20.7%, urinary tract infection 13.8%, bacteremia 10.3%, phlebitis 6.9%,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 5.2%, and others 3.4%. 2)Frequently isolated causative microorganisms of nosocomial infection were Methicllin-resistent Staphylococcus aureus(27%), Klebsiella species(24%), and Pseudomonas aeruginosa(17%). 3)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nosocomial infection were long duration of ICU stay, admission to neurosurgery, thepresence of shock or coma on admission, previous use of antibiotics, use of invasive procedures, peripheral leukocytosis, low serum albumin level, and high serum creatinine level. 4)The mortality rate in patients with nosocomial infection was 40%(20 deaths/58 infections) compared with 11%(10 deaths/88 non-infected patients) in patients without nosocomial infection: attributable mortality was 22%. The risk factors that attributed to the increment in the mortality rate were the presence of shock or coma on admission, long duration of ICU stay, use of invasive procedures, and steroid, peripheral leukocytosis, and high serum creatinine level. Conclusion: Nosocomial infections are frequent problems in critical care patients and associated with considerable morbidity, mortality, and cost. In addition, use of invasive procedures, previous use of antibiotics, low serum albumin level, and high serum creatinine level are closely related risk factors of nosocomial infection in the ICU and nosocomial infection-related dea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