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금흐름의 지속성 및 가치관련성

        홍영은(洪暎恩),한정희(韩,正姬),남화영(南花英) 한국회계정보학회 2013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3 No.1

        본 연구에서는 현금흐름의 발생원천에 따라서 발생액의 시장이상현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에서는 현금흐름을 동질적이라 가정하고 발생액의 시장이상현원인을 이익구성요소 중 발생에 주된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최근 발생을 이용한 이익조정 뿐만 아니라 실제활동이익조정과 관련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현금흐름과 관련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Roychowdhury(2006)에 따르면 영업현금흐름은 가격할인, 생산량 증대, 재량비용 삭감등을 통한 실제활동이익조정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부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이로 인해 장기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영업현금흐름을 실제활동이익조정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부분(비정상영업현금흐름)과 정상적인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금흐름을 정상현금흐름과 비정상현금흐름으로 구분하여 이들 구성요소와 차기 영업이익 및 차기 주식수익률과의 관계를 추정하여 주식시장참여자들이 현금흐름 구성요소가 차기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적절히 평가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상영업현금흐름이 비정상영업현금흐름과 비교하여 지속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투자자들은 정상영업현금흐름과 비정상영업현금흐름간의 차별적인 지속성효과수준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주장한 것처럼 투자자들이 영업이익에 기능적으로 고착화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익배당에 관심이 높아 보고이익에 기능적으로 고착화될 수 있는 투자자들과는 달리 신용평가기관의 경우 원리금상환여부에 관심이 높아 영업이익보다는 현금흐름정보를 보다 더 중요한 정보로 활용하고 있고, 실제 신용등급을 결정함에 있어 질적 재무정보를 활용함으로서 비정상영업현금흐름과 정상영업현금흐름이 차기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정상영업현금흐름이 차기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적절히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정상영업현금흐름의 경우엔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식시장참여자들과는 달리 신용평가기관에서는 정상영업현금흐름과 비정상영업현금흐름이 차기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차별적으로 적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components of operating cash flows affect differentially persistence on future earnings and whether market participants and credit rating agencies evaluate their implications properly. Prior research has treated the cash component as homogenous. However, Roychowdhury(2006) shows that real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affect operating cash flows. We decompose the cash component into two parts: abnormal operating cash flows related to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normal operating cash flows, based on the abnormal cash flows measures developed by Roychowdhury(2006). We find that normal cash flows is more persistent than the abnormal cash flows. We investigate whether investors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differential persistence of the two components of operating cash flows. We find that stock prices act as if investors fixate on earnings, failing to correctly distinguish between the different levels of persistence of the abnormal and normal cash flows, indicating that investors misunderstand potential real earnings management. Furthermore, we examine whether credit rating agencies fully incorporate the information in normal cash flows and abnormal cash flows about future performance into their ratings. We find that rating agencies underestimate the abnormal cash flows relative to their actual persistence. 本文以实证方法研究了盈余中现金流成分的持续性及其价值关联性。具体包括三个研究问题:问题一,采用真实活动盈余管理实证模型[Roychodhury(2006)模型]验证现金流成分(正常/异常经营现金流)之间的持续性是否存在差异;问题二,验证韩国证券市场的价格是否充分反应了正常与异常经营现金流之间的持续性差异;问题三,验证韩国公司债信用评价机关的信用等级是否充分反应了正常与异常经营现金流之间的持续性差异。研究结果发现,正常经营现金流的持续性要高于异常经营现金流的持续性,但,韩国证券市场的价格并没有对正常与异常经营现金流之间的持续性差异作出合理的反映。这说明投资者容易对会计利润进行“功能锁定”,即存在所谓的“应计异象”。而且,韩国公司债信用评价机关也低估了异常经营现金流的持续性,从而产生对异常经营现金流的定价过低的现象,但对正常经营现金流并不存在定价过高/过低的现象。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고려 궁궐내 景靈殿의 구조와 운용

        홍영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논총 Vol.37 No.-

        Gyeongryeongjeon, together with Taemyo, is the symbolic architecture of the Goreyo Dynasty. It enshrines portraits of King Taejo and direct lineally ancestors consisting of 5 rooms and was considered significantly in 『Goryeosa』Yeji as great shrine together with Taemyo and the royal tomb. When a king was enthroned, the king visited Gyeongryeongjeon and reported its enthronement and sometimes important incidents in the nation and royal family were used to be reported. It includes a dispatch a general to the warfare, an installation of queen, a celebration of first son of a king, an installation of a prince, a ceremony of title conferment to a prince, and a matrimonial celebration of a prince. As such, state and royal affairs were held at Gyeongryeongjeon, which enhanced its status more than that of Taemyo. In several records such as 『Goryeosa』, it was recorded in detail compared with other architectures. It was because many royal ceremonies were taken place to approve authenticity and the king himself executed special celebrations such as New Years ceremony, Dano, Chuseok and September 9thceremony. It consists of 3 buildings being its spatial axis surrounded as a form of corridor. Jipheejeon and Gyeongryeongjeon look to be deployed back and forth, and Jipheejeon seems to be the 1st preparation place for the ceremony at Gyeongryeongjeon by the King. The building left to Jipheejeon and Gyeongryeongjeon is not known of its name and use, but is conjectured to keep goods and equipments for the ceremony. In the record, Gyeongryeongjeon had only two stairs, but it seems actually three stairs in east, west and center. Accordingly, while a king entered from the eastern stair through 2ndgate(leftgate) and to Taemyo room for executing ceremony. And then, in turn, he took ceremonies in 2nd, 3rd, 4th and 5th rooms and left to the eastern stairs through the 2nd gate again. 景靈殿은 태묘와 더불어 고려 왕조를 상징하는 건물이었다. 경령전은 태조와현 국왕 직계 조상의 眞影을 모신 5실로 이루어진 곳으로,『고려사』예지에는 大祀로서 왕실조상의 제례 공간인 태묘, 諸陵 등과 함께 중요하게 취급되었다. 국왕이 즉위하면 경령전에 謁見하고 즉위 사실을 고하였으며, 나라와 왕실에서일어난 큰 일을 고하기도 했다. 즉, 장수를 전선으로 파견하는 의식, 왕비를 책봉하는 의식, 왕의 맏아들을 낳았을 때 축하하는 의식, 왕태자를 책봉하는 의식, 왕태자의 칭호와 府를 세우는 예식, 왕태자의 관례를 거행하는 의식 등이 경령전에서 이루어진 의례들이다. 이렇게 국가와 왕실에 관련된 모든 일들이 경령전에 고해짐으로 해서 경령전의 위상은 오히려 태묘보다 숭배의 정도가 더 강하기도 하였다. 경령전은 『고려사』와 같은 여러 기록에서 다른 시설물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이유는 존주권이나 정통성을 인정받기 위하여 국왕을 비롯한 왕실의 의식이 거행되었고, 특별한 행사인 정월 초하루, 단오, 추석, 9월 9일(重九)에왕이 친히 제향하는 의식이 거행되었기 때문이었다. 경령전은 3개의 건축물을 하나의 공간축으로 회랑 형식으로 둘러 쌓여 있다. 또한 집희전과 경령전은 나란히 앞 뒤로 배열된 것으로 보이며, 집희전은 국왕이경령전에 들어가 의식을 거행하기 전에 1차로 의식 준비 공간으로 보인다. 집희전과 경령전의 왼쪽 건축물은 이름과 용도는 알 수 없으나, 의식에 필요한 물품과기물을 보관하였던 장소로 추정된다. 경령전은 기록상 두개의 계단만 보이지만 실제로는 동, 서 중앙에 3개의 계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국왕이 동쪽계단을 통하여 삼문 가운데 하나인 2문(좌문)으로 들어가 태묘실로 입실하여 의식을 거행한 다음 다시 2,3,4,5실의 의식을 거행하고 다시 2문을 거쳐 동쪽 계단으로나오는 절차를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東濱 金庠基의 학문 성향과 『高麗時代史』의 史學史的 位置

        홍영의(Hong, Young-eui) 북악사학회 2021 북악사론 Vol.14 No.-

        김상기의 사관은 문헌고증적이면서 동시에 주체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학문에 대하여 화려한 사관이나 이론을 논하는 대신 비문헌자료를 포함한 연구자료의 광범위한 섭렵 위에서 오로지 실증적인 연구논문을 통하여 현재적 삶의 관심에서 촉발된 문제의식을 표출하였고, 각 나라와 민족의 주체적 능동성을 본연의 모습대로 확인하려는 입장이라고 평가되기도 하였고, 또는 그는 사료비판적이고 합리적인 고증사학의 방법을 일본의 관학 아카데미즘에서 배웠지만, 그 방법으로서 연구한바 성과는 그들의 식민사학의 체계를 거부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高麗時代史』는 개설서로서의 시대사인 고려왕조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의 구성은 총설・상편・하편의 3부 8장과 부표・지도・도판・부록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총설에서는 고려왕조의 역사적 위치, 고려시대의 사회적・문화적 특색, 10세기 이래 동북아시아 諸民族과의 관계 등을 서술하였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이 주목되는 점은, 이 저서가 출판된 1961년 이후 6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 책을 능가할만한 개설서가 편찬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高麗時代史』가 주목되는 까닭이기도 하다. 이 책의 특색은 말하자면, 『高麗史』의 世家・志・列傳의 방대한 서술체계를 오늘날 우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原典과 그에 대한 해석을 충실하게 정리하고, 풀이해준 점이라 하겠다. It can be said that Kim Sang-gi s cadet is both literature-based and self-reliant. Instead of discussing fancy historical views or theories about his studies, he expressed problem consciousness triggered by current interest in life solely through empirical research papers, or rejected historical methods.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deals with the Goryeo Dynasty, the history of the period as an opening book. The composition of this book was divided into three chapters: General Seol, upper part, and lower part, and buoy, map, drawing board, and appendix. The collection describes the historical location of the Goryeo Dynasty,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Dynasty, and its relationship with various ethnic groups in Northeast Asia since the 10th century. What draws attention in this regard is that more than 6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book was published in 1961, when it was not published. This is why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is drawing attention. The characteristic of this book is that it faithfully organizes and interprets nuclear power plants and their interpretations so that we can easily understand the vast narrative system of The History of Goryeo today.

      • KCI등재
      • KCI등재

        수용자 성별에 따른 제품유형별 모바일 배너광고의 유머소구 효과

        홍영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3

        광고에서 성별 차이는 가장 중요한 관심사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의 수용자 성별에 관한 연구들은 성별에 따른 정보처리, 성별과 구매의사 차이 등 일반적 가정에 의한 내용을 검증하는 한정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 구에서는 유머를 활용한 모바일 배너광고에서 제품유형에 따 른 수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독립변인은 4개의 제품유형별 모바일 배너광고로 이루어 졌으며, 종속변인은 성별과 연령별, 직업 별에 따른 차이를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구매의도로 나누 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제품유형별 수용자 성별에 따른 광 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고관여- 이성제품은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서 여자가 남 자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고관여-감성제품은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저관여- 감성제품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제품유형별 수용자 연령별에 따른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고관여-이성제품 은 대체로 연령이 높을수록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고관여-감성제품과 저관여-이성제 품은 대체로 연령이 높을수록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용자의 성별과 연령별, 직업별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의 외연 확장과 유머를 활용한 모바일 배 너광고의 실무적 지침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Gender difference in advertising is the most important interest. But domestic studies of consumers' gender have limited tendency to examine normal assumption like gend er and purchasing intention difference. This study exami ned the different effects by demographic feature, using h umor appeal in mobile banner advertising. In short, indep endent variable is composed of 4 product types of mobile banner advertising, and dependent variable is measured b y attitude toward advertising, brand, and purchasing inte ntion by gender, generation, and consumers' job. Examin ing attitude toward advertising, brand, and purchasing in tention in consumers' gender, rational products of high in volvement showed women's higher figure than those of men. Emotional products of high involvement showed me n's higher figure in purchasing intention than women an d emotional products of low involvement showed women' s higher figure i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 sing intention. Examining attitude toward advertising, br and, and purchasing intention in consumers' gender in pr oduct types, rational products of high involvement usuall y showed high figure in all three fields, and emotional pr oducts of high involvement and rational products of low involvement showed high figure of attitude toward brand and purchasing intention in high age. This study is expec ted to expand theory to explain difference of consumers' gender, generation and job, suggesting guideline in field work of mobile banner advertising using humor appeal.

      • 비대면 수업의 상상 세계

        홍영일 ( Hong Young Il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1 독서아카고라연구 Vol.3 No.-

        코로나 팬데믹 상황은 교육 환경의 디지털화를 앞당겼다. 특히 교실에서 일어나는 대면 수업처럼 쌍방향으로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화상수업은 교수실재감을 높여줌으로써 교실에서와 같은 소통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교실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장점들이 확인되면서 이제 새로운 모임 문화를 형성해가고 있다. 비대면 요가 수업에서는 참가자들이 옆 사람 눈치를 안봐도 되므로 자신의 자세에 더 몰입할 수 있다. 비대면 등산 수업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면서 따로 또 같이 등산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비대면 토론 수업에서는 화상과 채팅을 동시에 활용하며 모든 참가자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의견을 쏟아내면서 활발한 소통과 토론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비대면 수업의 경험들이 쌓이면서 서로 공유하는 모임도 활성화되면서 많은 교육자들이 자신감도 회복해나가고 있다. 향후 위드 코로나 시대에 전면 등교 수업이 진행되더라도 이미 경험하여 장점을 맛본 비대면 수업의 요소들은 그대로 활용되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has accelerated the digitaliz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video classes, which allow real-time communication in two directions, such as face-to-face classes in classrooms, are now forming a new gathering culture as they are not only capable of communicating in classrooms but also have advantages that are difficult to experience in classrooms by enhancing teaching presence. In non-face-to-face yoga class, participants don’t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person next to them, so they can be more immersed in their posture. In non-face-to-face hiking class, participants can enjoy the effect of hiking separately and together while keeping Social Distancing. In the non-face-to-face debate class, video and chat were used at the same time, and all participants poured out opinions simultaneously, showing that active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were possible. As the experiences of these non-face-to-face classes accumulate, meetings that share with each other are also being activated, and many educators are also recovering their confidence. In the future, even if face-to-face classes are held in the With Corona era, the elements of non-face-to-face instructions that have already experienced and tasted advantag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y are.

      • KCI등재

        고려시대 금속제 기물 및 기와의 ‘연호’명 검토-대중국 ‘연호’의 시행과 고려의 다원적 국제관계-

        홍영 한국중세사학회 2017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0

        Goryeo has established a Tributary and Investiture Relationship with several Chinese dynasties for over 500 years. In this process, Goryeo dynasty used the era names of various dynasties, which was due to the change of power of the Chinese dynasties of the day. The era names used by the Goryeo dynasty in consideration of time are as follows:in general, Post-Ryang(後粱, 918~923), Post-Dang(後唐, 924~936), Post-Jin(後晋, 937~946), Gwangdeock(光德, 949~950), Post-Ju(後周, 952 ~959), Jungpung(峻豊, 960~963) and Song(宋, 964~994). The Goryeo dynasty used Liao(遼) as the era name from 995, which was judged by the influence of the first Goryeo-Liao war in October, 993. The era name of Song appeared around 1017~1021, and the era name of Liao appeared from 1022 again. This may be related to the fact that Goryeo cut off diplomatic relations with Liao in 1013, and resumed intercourse with Song later the following year. It can also be related to the historical events in which Goryeo won in the 3rd Goryeo-Liao war, which began in 1018, and exchanged again with Liao as a condition of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Until 1076, only the era name of Liao appears. From era between 1078 and 1118, both era names of Liao and Song appear, and only era name of Song appears until 1125, when Liao collapsed. After that, until the year 1234 when Jin(金) collapsed, Song(Namsong) and Jin’s era name appeared mixed. The era name of Yuan(元) first appeared in 1237 and continues to appear until 1368 when Yuan was destroyed. Thereafter, the era of Ming(明) was used until 1392, when Chosun established, except for the era name Sungwang(宣光) of Yuan, which was used in 1375 for a while. In this process, metal objects and roof tiles with era names show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1) specific use of Wu and Song’s era name, 2) using the era name of the already destroyed dynasty, 3) using the old era name,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era name has changed and 4) using multiple era names mixed at one time. These features are different from the records of Goryeo-Sa. Among the metal artifacts and the inscriptions on roof tiles, there are 22 exampl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era name of the time. Among these, Jin’s era name is 12, which is the largest number.

      • KCI등재

        주가연계증권이 감사노력 및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홍영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회계정보연구 Vol.34 No.1

        Since the issue of Equity linked security was legally allowed in 2004, Korean ELS market has been rapidly growing due to relatively low interest rate financial circumstance. If the firm's stock price-linked ELS is issued, the range of the interested parties is extended including the investors and the issuer of ELS and the new comers of the interested parties will help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information of the ELS linked firms. Auditor will get more pressure on auditing the firms with ELS than the firms without ELS because if the auditor fails to pronounce appropriate opinion on the financial statements, the auditor will get possible loss. Auditor will make greater efforts on auditing the firms with ELS to prevent the potential risk of litigation against the auditor and the risk of reputation deterioration. The auditor will allocate more audit hours to reduce the detection risk which auditor can control in the short term and put the higher audit fee to the clients with ELS to compensate for the increased audit hours and the potential loss from the failure of the appropriate opinion on the financial statem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estion over whether the auditor's audit hour and audit fee are affected if the firms' stock linked ELS was issued and the question over whether the auditor's audit hour and audit fee also increase when the issued time of the firm linked ELS increase. For the empirical analyses, I hand-collected the data of firms with ELS issued and the time of issue from Korean Securities Depository from 2006 when the firms' stock linked ELS was initially issued to 2014.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uditors put more audit time on the firms with ELS issued than on the firms without ELS issued. Second, auditors charge more audit fee to the clients with ELS issued than on the clients without ELS issued. Third, auditors increase the audit time along with the issued time of the firms' lELS linkage. And finally auditors charge their clients for the audit fee along with the increased issue time of the ELS. The findings suggest that auditors reflect the extended range of the interested parties like ELS issuer and investors in their audit planning and in the contract with clients and that new financial circumstance like firms with derivatives could be considered in studying audit efforts and audit fee. This is the first study on the relations of Korean equity linked derivative and audit efforts and fee.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보편화가 되어 있는 파생상품인 ELS(Equity linked security; 주가연계증권)와 감사인의 감사노력 및 감사보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파생상품이 발달하면 투자자들의 범위가 확대되어 기업이 공시하는 정보의 비대칭성이 낮아지는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이 보고하는 재무제표에 대하여 보다 높은 정확성을 요구한다. 따라서 감사인은 해당기업의 주식이 파생상품의 기초자산으로 연계된 기업의 재무제표에 대하여 보다 더 많은 감사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또한 더 증가한 감사노력과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소송비용과 명성하락에 대한 부담을 감사보수에 포함하여 요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파생상품인 ELS에 해당기업의 주식이 기초자산으로 연계된 경우 감사인의 감사시간과 감사보수가 증가할 것으로 가정하여, 개별증권을 연계한 ELS를 발행하기 시작한 2006년부터 2014년까지의 표본기업을 대상으로 피감사기업의 주식이 ELS에 연계되었는지 여부 및 연계횟수와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피감사기업의 주식이 기초자산으로 ELS에 연계된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들보다 감사인의 감사투입시간과 감사보수가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피감사기업의 주식이 ELS에 연계되는 경우 해당기업의 이해관계자가 늘어남에 따라 감사인이 감사위험을 줄이려 더 많은 감사시간을 투입하고 이에 상응하는 감사보수를 요구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둘째, 주식이 ELS증권에 연계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ELS에 연계된 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사인의 감사투입시간과 감사보수가 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해당 기업의 주식이 ELS에 연계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해관계자들이 늘어나기 때문에 증가된 감사시간에 대한 보상과 잠재적 위험증가요인에 대한 보상을 감사보수에 포함시켜 감사보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파생상품인 ELS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재무제표의 이해관계자 폭이 늘어나 감사인의 책임이 커짐으로 인하여 감사인의 감사노력과 감사보수가 변하는지에 대한 첫 번째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로 인하여 파생상품에 해당하는 ELS증권에 연계 여부 및 연계된 횟수가 앞으로의 감사노력 및 감사보수의 연구에 반영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배당소득증대세제와 기업소득환류세제 도입과 주가수익률

        홍영,김갑순 한국세무학회 2015 세무와 회계저널 Vol.16 No.2

        In August 2014,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tax policy to cut dividend income tax for high dividend firms and to impose additional tax against the firms failing to meet the guideline of wage increase, investment and dividend based on firms' earning. We tested the market's reaction over the new dividend encouraging policy. First, we found the relation between the firms' cumulative abnormal returns(CAR) and dividend yields is significantly positive, which means the market expects that the shareholders of high dividend firms will get more after-tax dividend cash flow. Second, we could not fi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AR and the firms which had increased dividend propensity in last two years, which means the investors do not expect the dividend propensity increasing firms will not be influenced by new tax policy. Third, we found that th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 CAR and the firms which could be imposed additional tax by new tax policy, which means the market expects these firms will increase dividend to avoid the additional tax. It' first time to study how the 2014 new tax policy affect stock prices and the study shows that investors expect the new dividend boosting policy will work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정부는 2014년 8월 6일에 발표한 2015년 세법개정안에 기업소득이 가계로 원활하게 이전되어 내수와 소비를 진작하고 경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고배당기업의 배당소득세를 경감시켜주는 배당소득증대세제와 기업소득을 투자, 배당 그리고 임금증대에 사용을 촉진시키는 기업소득환류세제를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가 도입한 배당소득증대세제와 기업소득환류세제에 대하여 각각의 사건 기간에 따라 투자자들이 어떻게 반응을 보였는지를 사건 연구의 형태로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배당소득증대세제와 기업소득환류세제의 도입이라는 사건의 영향으로 전년도인 2013년 기준으로 배당수익률이 높은 기업일수록 누적비정상수익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당수익률이 높을수록 배당소득세가 감소할 가능성이 커지고 이에 따라 배당 후 세후현금흐름이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어 투자자 관점에서 기업가치가 상승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2003년에 미국이 배당소득세를 인하한 경우(Amromin et al., 2008)와 같은 시장의 반응으로서 투자자들의 배상선호현상이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세제개편으로 인한 배당증가예상기업을 과거 2년 동안 배당성향을 늘여온 기업과 2013년 소득기준으로 기업소득환류세제 대상기업으로 구분하여 시장의 반응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배당성향을 늘여온 기업은 사건기간 동안 누적비정상수익률의 증가가 미미한 반면, 기업소득환류세제 대상기업은 누적비정상수익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기업소득환류세제 대상기업들이 환류세 부담을 피하기 위하여 배당을 늘릴 것으로 시장에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정부가 내수와 소비를 진작시키려 기업의 배당을 확대하고자 2014년 세제개편에서 도입한 배당소득증대세제와 기업소득환류세제가 국내기업들의 배당성향을 높이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세제의 도입은 세계적으로 배당수준이 낮은 국내기업들의 배당수준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 주가에서 나타난 투자자들의 배당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기업으로 하여금 배당을 확대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세제개편으로 배당의 증가가 예상되는 기업의 주가수익률이 양(+)으로 나타남에 따라 자발적 배당의 증가가 아닌 세법에 의한 배당의 증가인 경우에도 기업가치가 상승할 수 있음을 사건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실증하였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