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Generalized Plane Xanthoma Associated with Monoclonal Gammopathy of Unknown Significance

        홍승현,김동준,오칠환,양재승,성해준 대한피부과학회 1997 Annals of Dermatology Vol.9 No.1

        Generalized plane xanthoma is less common and usually involves the eyelids, lateral side of the neck, upper trunk, and extremities. Lesions, however, may appear on any portion of the body. Cutaneous xanthomas may occur in hyperlipidemic and in normolipidemic states. Generalized normolipidemic plane xanthoma is often associated with multiple myeloma, other reticulo-endothelial malignancies and monoclonal gammopathy with unknown significance(MGUS). We wish to report two cases of generalized plane xanthoma associated with IgG monoclonal gammopathy of unknown significance.

      • 중국 고대 재이설(災異說)의 기원과 성립

        홍승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1 사총 Vol.102 No.-

        이글은 災異를 하늘[天]이 不德한 君主에게 내리는 譴責으로 이해하는 災異說의 근저 및 형성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董仲舒에 의해 완성된 재이설은 독창적인 것이기보다는 기존에 존재하던 다양한 재이설을 근간으로 종합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그리고 그 근저에 흐르는 天에 대한 敬畏와 敬德的 태도는 흔히 儒家의 天命思想과 道德政治에 기반하고 있다고 이해되었다. 하지만 천명을 내리는 人格的 至上神의 존재는 우리의 예상과는 달리 유가 문헌이 아닌 『墨子』에서 최초로 확인된다. 물론 유가의 초기 문헌인 『詩』와 『書』에는 군주의 정치적 成敗에 따라 福祿과 재앙을 내리는 강력한 지상신인 天이 등장한다. 그러나 이들 문헌이 후대 유가의 정치적 이상이 투영된 작품이라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西周 및 春秋 시기 제작된 靑銅器 銘文에 따르면 천이 전쟁과 같은 재앙을 내려준다는 내용은 서주 중기 이후에나 등장하는데, 그나마 그것은 통치자의 도덕적 행위와 관련을 맺지 못한 상태다. 요컨대 商周시기 인간에게 재해를 내리는 인격신은 존재하였지만 통치자의 도덕적 행위 여부에 하늘이 반응하여 복록과 재앙을 내린다는 관념은 출현하지 않았던 것이다. 군주가 행하는 통치 행위의 성패에 따라 상과 벌을 내리는 하늘은 『묵자』에서 출현한다. 하늘은 천자의 善惡에 대해 상과 벌을 내리는데, 그 벌은 질병과 재난, 절기에 맞지 않는 이상 현상 등이다. 그러나 『묵자』에는 여전히 재이설의 또 다른 요소인 敬德的 태도가 보이지 않는다. 『묵자』에서 하늘의 복을 받을 수 있는 전제는 도덕이 아닌 公利였으며, 재해를 없애는 방법은 하늘과 귀신에 대한 경건한 제사로 묘사될 뿐이다. 사실 초자연적인 존재를 의심했던 孔子를 始祖로 하는 유가에게서 하늘을 절대적인 힘을 가진 주재자로, 또 그 하늘이 인간의 활동에 대한 감시와 징벌을 담당한다는 이론이 나오는 것은 힘들었다. 그러나 인간의 도덕에 의해 선한 사회의 달성이 가능하다고 믿었던 孟子는 그 가능성을 절대의 능력을 가진 主宰神으로부터 받은 선한 본성에서 찾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군주들을 도덕에 의해 교화하기 위해 ‘도덕에 의한 天命의 수령’이라는 관계 공식을 만들어 내게 된다. 군주의 자격을 세습이 아닌 도덕적 功績에 의해 인정받게 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군주들은 천명을 받고 유지하기 위해 경덕적 태도를 취해야만 했다. 비로소 재이설의 기본 요소가 마련된 것이다. 本文旨为掌握将灾异理解为上天谴责无德君主的灾异说的本源与形成过程而编写。由董仲舒完成的灾异说与其说是具有独创性,应该说的以此前存在的多种灾异说为基本核心来进行综合的产物。但在其基底存在的对上天的敬畏与敬德的态度,一般被理解为基于儒家的天命思想与道德政治。而放下天命的人格上的至上神的存在却并非与我们所预期的在儒家文献中,而是自《墨子》中最初得到确认。 当然儒家初期的文献《詩》与《书》出现了根据君主在政治上的成败而赐其福祿与灾难的强有力的至上神即上天。但应注意的是,这些文献为体现后代儒家政治性理想的作品。根据西周与春秋时期制作的青铜器铭文记载,有关上天赐下战争等灾难的内容是在西周中期以后才开始登场,而这些并未与统治者的道德行为有何相关关系的状态。简而言之,商周时期虽有给人类降下灾难的神存在,但并未出现上天是否对统治者的道德行为做出反应并降下福禄与灾难的观念。 有关根据君主所做出的统治行为成败降下赏与罚的上天的内容出现在《墨子》中。上天就天子的善恶降下赏罚,而其罚则为疾病、灾难及与节气不符的异常现象等。这可称为典型性灾异说,而这一灾异观念贯穿于此后历代正史《五行志》。但《墨子》中并未体现出灾异说的另一个因素及敬德的态度。《墨子》中就消除灾难的方法,只做出对上天与鬼神的虔诚祭祀的描写。 其实以对超自然的存在存疑的孔子作为始祖的儒家来说,将上天理解为拥有绝对性力量的主宰者,并提出有关其对人类活动的监督与惩罚理论是相当艰难的事情。但相信根据人类的道德可实现善意社会的的孟子欲从拥有绝对能力的主宰神获得的善良的本性来寻求其可能性。此外,他还建立了为通过道德来进行教化君主的“通过道德带来的天命的受领”这个关系公式。也就是说,希望君主的资格并非来着世袭,而是通过其道德上的功绩来获得认可。因此,君主们为维持接受天命的资格,应具有敬德的态度。从而具备了灾异说的基本要素。

      • KCI등재
      • KCI등재

        Activin A와 고농도 포도당에 의한 인간 췌관세포의 인슐린분비세포로의 분화

        홍승현,김광원,이문규,이명식,정재훈,민용기,박미경,한철,김효섭,이영진 대한당뇨병학회 2007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1 No.1

        연구배경: 췌도세포 이식에 의한 세포치료는 당뇨병의 개선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식원을 확보하기 위한 기여자의 장기는 한정되어 있다. 췌관세포는 췌도세포를 대신할 새로운 이식원으로서의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췌관세포가 포도당 자극에 반응하는 인슐린 생성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방법: 단층 배양에서 성장한 잔여 베타세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STZ를 처리한 후 인슐린 생성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activin A와 포도당을 처리하였다. 그 후에 베타세포의 분화표지인자, 인슐린의 생성 및 포도당 자극에 반응하는 인슐린 분비를 관찰하였다.결과: STZ를 5일 동안 처리한 결과 포도당 자극에 반응하는 베타세포는 완전히 제거되었고 전체 세포 중 80% 이상이 췌관세포였다. activin A와 포도당을 이용한 분화 유도 후, 췌관세포는 고농도의 포도당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인슐린을 분비하였다. -Background: Cellular replacement therapy holds promise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but donor tissue is severely limited. Human postnatal pancreatic ductal cells are a potential source of new beta cell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human pancreatic ductal cells could be differentiated into endocrine cells that would be capable of secreting insulin in response to glucose. Methods: Cell fractions enriched with pancreatic ductal cells after human islet isolation were treated with streptozotocin to remove residual beta cells, grown in monolayer culture, changed the media for differentiation in the presence of activin A and glucose, supplemented with 10% FCS. The differentiation markers, insulin secretion and cell proliferation were examined. Result: No insulin was detectable in cell preparations after 5 days of treatment with streptozotocin. In monolayer culture, 80% of the streptozotocin-treated pancreatic ductal cells expressed cytokeratin-19. Cell cultures with a high proportion of cytokeratin-19 cells had greater plasticity for differentiation into cells with phenotypic and functional markers of beta cells. This property were significantly enhanced by treatment of activin A and glucose. The differentiated human pancreatic ductal cells secreted insulin sensitively responded with high glucose. Conclusion: Human pancreatic ductal cells are a potential source of new glucose -induced insulin producing cells that may be developed further for clinical use. Therefore, the present data support a possible role for human adult pancreatic ductal cells, following expansion and differentiation, as a source of insulin by transplantation cells to type I diabetes patients. (J Kor Diabetes Assoc 31:44~50, 2007)

      • KCI등재

        譯註 : 中國 古中世 石刻資料 解題 및 譯註 1

        홍승현,박선희,양진성 중국사학회 2015 中國史硏究 Vol.96 No.-

        동아시아 고대사 역사학 연구자에게 한정된 자료는 역사적 상상력을 자극하기도 하였지만, 대부분 연구의 어려움으로 작용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근래 고고학의 발전과 그에 따른 발굴의 진행으로 연구에 새로운 활기가 더해지고 있다. 특히 先秦·秦漢史 분야에서 최근 몇 년 간 이뤄진 문자 자료의 지속적인 출토와 발굴은 그간 문헌 사료가 제공하지 못했던 생생한 통치의 현장감을 제공해 주었다. 그 결과 전면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심각했던 자료 부족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발굴 자료가 주로 법률 문서였기 때문에 다양한 역사상, 특히 그 시대의 사상과 문화적 측면을 들여다보기에는 자료의 한계가 여전히 존재한다. 게다가 발굴된 법률 문서가 주로 漢初까지에 집중되어 있는 점도 아쉽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동아시아 역사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는 석각 자료가 주목된다. 墓碑를 비롯하여 墓表, 墓闕, 賣地券, 墓誌, 造像記 등 다양한 석각 자료는 다양한 형태만큼이나 다양한 계층이 목적을 달리 하며 조성하였기에 그것이 제작된 당시의 사회상과 문화, 그리고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역사학 연구에 있어 석각 자료의 적극적인 이용은 사료 부족이란 문제를 해결함은 물론이고 보다 다채롭고 입체적인 역사상의 구축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석각 자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것과는 달리 여전히 문헌 사료의 오류를 수정하거나 부족을 메우는 보조적인 자료로 한정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석각 자료가 역사 연구 자료로 사용될 수 있게 가공되어 있지 않은 것도 원인이 될 것이다. 자료의 보고라고는 하나 표점도 되어 있지 않고 진위마저 알 수 없는 것들도 있으며, 결락과 파손으로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것들도 많다. 또한 그 분량의 방대함과 내용의 다양함으로 연구자 개개인이 다루기가 어렵고, 독특한 형식과 문체로 인해 느끼는 생소함도 석각 자료를 여전히 ‘자료의 보고’로만 남겨두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동아시아 고대사 연구를 위해서는 석각 자료에 대한 본격적이면서 종합적인 연구가 시급하다. 특히 최근 중국과 일본학계에서 석각 자료에 대한 자료 집성과 釋讀 작업이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 등장하고, 석각 자료를 통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을 염두에 두면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석각 자료에 대한 총합적인 대응이 하루 빨리 이뤄져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이 <中國 古中世 石刻資料 解題 및 譯註>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한 각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동아시아 석각자료 연구회’를 결성하여 작업한 결과의 일부다. 석각 자료의 특성상 다양한 전공자들의 지식과 상상력이 결합될 때 총합적 이해가 가능하다는 판단에 중국 고중세사 연구자들과 한국 고대사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중국불교사, 동양철학, 동양서예사 전공자들이 독회를 결성하였고 정기적인 독회를 통해 미흡하지만 의미 있는 성과를 낼 수 있었다. 중국과 일본에서 출간된 釋文들을 상호 대조하고 사진 자료의 판독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인 해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완전하지 못한 자료들과 생소한 용어들 사이에서 석각 자료의 패턴을 찾으려고 각 석각 자료 마다 해제를 작성하였다. 가능한 독자들에게 석각 자료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가독성 높은 역문을 제시하는 것이 독회 참여자들의 바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제와 역주 안에는 여전히 미비한 점투성이다. 앞으로 지속적인 보완이 있을 예정이다. 많은 지적을 바란다.

      • KCI등재

        청각장애 여성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 미술활동과 글쓰기병행

        홍승현,장세보,박규남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2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2 No.1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self-expression experience of hearing-impaired woman undergoing art therapy. The research subject is a 38-year-old woman with hearing impairment. Starting with a preliminary interview on June 2020, the art therapy continued for six months until December 2020, consisted of fifteen sessions of hour-long regular meetings. This study includes all of the subject’s artworks, writings, observation log, researcher’s log, and conversation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therapist, which revealed various aspects of the sub-ject’s life. The result represented various aspects of the subject’s experience including frustration, feeling small, loneliness, and depression and later showed the subject accepting her state and situation. The subject was directed to experience herself through art therapy, and to recognize her true self again. She realized the preciousness of one’s life. 본 연구는 청각장애 여성을 대상으로 미술활동과 글쓰기를 병행하는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사례연구로 청각장애여성이 회기과정에서 자기표현 관련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자기표현을 촉진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증진하는 과정에서 청각장애여성이 겪는 심리적인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한 쪽 귀가 들리지 않고, 수화와 구화를 사용하는 38세의 청각장애여성으로 음성적 언어를 통한 표현의 제한으로 인해 심리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2020년 6월 사전면담을 시작으로 하여 2020년 12월까지 6개월간 60분씩 15회기로 상담실에서 미술치료 활동이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주제에 대한 미술작품, 글쓰기 자료, 대화 내용의 기초자료와 함께 연구자일지, 현장관찰을 참고하여 연구 참여자의 삶이 드러날 수 있도록 탐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5가지 주제로 <답답함-나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위축감-눈치가 보인다>, <외로움-혼자가 편해요>, <우울함-세상이 싫다>와 마지막으로 <받아들임-그래도 잘 살 수 있다>로 탐구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언어의 제한이 있는 청각장애여성의 특성에 맞추어 미술치료에 글쓰기를 병행하였고, 연구 참여자가 충분하고 깊이 있게 자기표현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였으며,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자기 이해를 증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전 회기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참여자의 심리적인 변화를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고, 이들이 삶에서 경험하는 심리적인 어려움 대한 이해를 증진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또한, 추후에 청각장애인의 특성에 부합하는 적절한 미술치료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멜빌의 『모비 딕』과 산업자본주의의 여명

        홍승현,(Hong Seung 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6 영미연구 Vol.36 No.-

        허먼 멜빌은 한 편지에서 말하길, 그가 문학작품을 집필하는 데에는 두 가지 종류의 노동이 있다. 하나는 주머니에서 온 것이고, 또 다른 것은 마음에서 온 것이라고 밝혔다. 그가 노동을 두 가지로 나눌 때 고전적인 마르크스주의에서 논한 노동의 분업과 상품 페티시즘의 소외 개념을 상기시킨다. 멜빌이 그의 대표작인 『모비 딕』을 집필할 당시는 산업자본주의가 동틀 무렵이었다. 따라서『모비 딕』을 당대 산업자본주의 혼란스러운 태동기의 산물이라는 분석은 그리 근거 없는 억측은 아닐 것이다. 이 작품은 일면 그 당시 새롭게 펼쳐지는 산업자본주의 시장의 주도적인 역할이 초래하는 당대까지 경험해 보지 못했던 문 제들을 반영한다. 여기서 고래잡이 배인 피쿼드호는 하나의 주식회사로서 전 세계의 여러 연안에 산업자본주의를 퍼트리는 첨병 역할은 한다. 따라서 주식회사 를 운영하는 독선적인 경영자인 에이허브는 천연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선원들을 체계적인 노동 분업으로 착취한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주식회사 피쿼드호의 사업은 재앙으로 끝나게 된다. 그 비극의 씨앗은 에이허브의 광기어린 집념의 대상인 모비 딕에 있다. 마치 스페인 금화가 선원들에게 그랬던 것처럼, 그리고 마르크스가 주장한 상품 페티시즘에서 상품이 노동자에게 그런 것처럼, 모비 딕은 에이허브에게 신비로운 존재가 된다. 에이허브는 산업자본주의 덕분에 피쿼드호를 자신의 사적인 소유로 이용했지만, 끝내 그는 산업자본주의의 비인간적인 모순으로 인해 파멸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Herman Melville says, in a letter, that there are two kinds of labor wielded to produce his literary works: one from the “pocket” and the other from the “heart.” When he divides his labor into the two categories, he reminds us of the classical Marxist argument about the capitalist division of labor and the alienation of commodity fetishism. It was at the dawning of industrial capitalism that Melville created his major work Moby-Dick. That is why it may not be baseless to argue that this masterpiece should be a product of contradiction arising from the disturbing early stage of industrial capitalism. In a way, the novel reflects, into its textual entity, the uncharted dilemma of living under the dominant influences of the newly established market-economy of industrial capitalism. The whaling ship Pequod as a joint‐stock company is also a pioneering outpost to spread industrial capitalism to many coasts around the world. Thus, as an authoritarian manager of the Joint‐stock company, Ahab orchestrates the work of the crew into the systematic division of labor, which unwittingly amounts to the exploitation of natural resource. Unfortunately, the business of the joint‐stock company Pequod ends in a devastating failure. The seed of tragedy lies in the object of Ahab’s quest, Moby Dick. Like what “the doubloon” does to the crew of the Pequod, and then like what a commodity becomes to its producer in Marx’s theory of commodity fetishism, so does Moby Dick become “a mysterious thing” to Ahab. While Ahab turns the Pequod into his own private property in the spirit of industrial capitalism, he is also another victim to its inhumane contra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