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완부 및 수부에 발생한 연부조직종양

        권영호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8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3 No.3

        목 적 : 전완부 및 수부에 발생한 연부조직 종양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후향성 조사로 예후와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17년간 본원 정형외과에서 전완부 및 수부의 연부조직종양으로 확진되어 수술적 치료를 받은 91명, 9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연부조직종양을 양성과 악성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발생 빈도, 발생 부위, 치료방법, 결과 및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은 각각 74례, 17례였다. 양성 종양은 결절종이 29례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혈관종이 12례, 사구종이 11례였다. 악성 종양은 악성 흑색종이 8례로 가장 많았고, 두 번째로는 편평 상피암종이 5례였다. 그 외 포상 횡문근육종 1례, 상피양 육종 1례, 피부섬유육종 1례, 혈관육종 1례였다. 증상 발현까지의 시간은 평균 6.1 개월이었고 6개월 이하는 10례였다. 초진시 주증상으로 단순 종물 발현이 65례로 가장 많았고 16례에서 통증을 주 증상으로 하였다. 악성 종양은 광범위절제술 및 재건술 9례, 이단술 5례, 절단술 3례로 치료하였고 부가적인 항암 치료 및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악성종양은 5년 생존율은 67%였고 종양학적 결과는 No evidenc of disease(NED) 10례, Died of disease(DOD) 5례, Alive with disease(AWD) 2례였다. 결 론 : 전완부 및 수부에 발생하는 악성 연부조직 종양은 발생 빈도가 낮아 정확한 진단 및 치료 방침을 결정하기 힘들지만 초기 임상 증상이 모호할 시 반드시 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여햐 한다. 상지에 발생하는 양성 연부 조직 종양은 병소 내 절제술이나 경계부 절제술로 치료가 가능하였으나 악성 연부조직 종양은 근치적 절제술 및 재건술이 필요하며 절단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Purpose : To analyze the prognosis and clinical results through retrospective survey with classification of soft tissue tumors in the forearm.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undergoing surgical treatment with diagnosis of forearm and hand tumors from March 1990 to February 2006 were reviewed. The incidences of occurrence, the location of tumors, treatment methods, clinical results, and prognosi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 The subjects consisted of 74 cases of benign tumors and 17 cases of malignant tumors. Benign tumors were 74 cases consisted of 29 cases of ganglion that took the largest share and 12cases of hemangioma that took the second and 11 cases of glomus tumor . In case of malignant tumors, 8 cases of malignant melanoma took the largest share and 5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took the second. In terms of main symptoms at first the examinations, manifestation of palpable mass were most frequent with 65 cases. In case of malignant tumors, 9 cases received wide excision and reconstructions, 5 cases received disarticulation, and 3 cases received amputations; they also received chemotherapies and radiotherapies additionally. The 5-year survival proportion of malignant tumor patients was 67%, and no evidence of disease was 10 cases, and died of disease was 5 cases, and alive with disease was 2 cases. Conclusion : Malignant tumor in forearm was uncommon case so it was difficult to make guide lin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The benign tumors occurred in the forearm may be treated with intra-lesion excision or marginal excision and malignant tumors require wide resection or amputation also consider.

      • KCI등재

        지방의회 선거구 획정에 관한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권영호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5 法과 政策 Vol.21 No.2

        Electoral districting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election system to support fair and equal elections. In other words, it is not just legislative discretion dependent upon the political decision making of Congress, but it should be considered an essential element to secure equality in vote value under the equal elections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ensure exact population equality within each electoral district in reality, so reasonable deviation has been allowed in accordance with administrative divisions, geographical conditions and transportation. The South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onsidered when providing the criteria, this should be reduced to a 33.3% population deviation, or 2:1 ratio, to guarantee equality of vote value. The single non-transferable vote rul in election did not increase electoral victories of minority parties and It also did not reduce wasted votes and increase representativeness at all. With those a sort of negative findings, this paper proposes the mixed member proportional representaion system used in German, U.S.A. as an alternative. Jeju Island, Udo- and Chusa- do are the defining electoral districts of the Senate problem availability, an isolated district in the most important issue and to dance plane a problem. Obtaining independent district residents in two Island depends on the formation of consensus jeju resident’s. There is no basic autonomy of the group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us, strict in defining electoral districts in Jeju island unlike other local government is difficult to appl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local council, therefore defining electoral districts in the area and Historicity of district should focus on. 다음 지방선거에서 제주특별자치도 의회의원 선거구획정에 있어 가장 논란 이 될 부분은 추자면과 우도면의 독립적인 선거구 획정의 문제일 것이다. 왜냐하면 의회의원의 총수나 교육의원의 선출제도는 중앙정부와 협의하여 처리할 것이고, 다른 지역 선거구 획정에 있어서는 인구비례로 결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제가 시행된 후,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과거 기초자치단체 의회의원을 선출하던 추자면과 우도면에서 의회의원의 선출기회가 사라져 주민들의 불만이 계속되는 점을 감안하여 지방의회 의원 선거제도의 내용 중 추자도와 우도면에 대한 독자적인 선거구획정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려 한다. 이 논문의 연구의 중심이 되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과 추자면은 제주특별자치도가 성립되기 이전 2005년까지는 당시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제23조에 따라 ‘인구 1천 이상의 면(面)’에 해당되어 기초지방의회 의원을 각 1명씩 선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06년 7월 1일 이후 시행된, 제주특별자치도 체제에서는 우도면과 추자면이 각각 구좌읍과 한경면 선거구에 소속됨으로서 지역의 현안문제에 대한 지역의 의사가 지방의회에 반영될 수 있는 기회가 사라지게 되었다. 따라서 제주특별자치도의 선거구획정에 있어서의 추자면과 우도면의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위 두 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표의 결과가치 등가성에서 나오는 대의제의 불균형성을 보완하고, 도서(島嶼) 지역 소수 주민의 대표성이 확보될 수 있는 합리적인 선거구 정착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두 지역 선거구 독립에 대한 제주도민들의 공감대 형성에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외국의 사례를 참작하여 주민자치의 근본정신을 시행하기 위한 선거제도의 다양성을 주장하여야 한다. 특수한 사정에 의한 예외사례를 인정함으로서 획일적인 제도구성에서 벗어난 개방된 제도를 완성할 수 있는 계기임을 홍보하여 공감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 KCI우수등재

        피부 질환의 확인: 전이학습을 이용한 백반증 심각도 측정

        권영호 한국정보과학회 2023 정보과학회논문지 Vol.50 No.1

        백반증은 표피에서 멜라닌 색소가 소실되어 발생하는 흔한 후천성 피부 질환이며 임상적으로 몸에 창백하거나 흰색 반점이 나타난다. 백반증은 조기 치료가 중요하지만 백반증은 통증이나 건강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백반증 환자는 피부 병변이 외부로 보일 때 치료한다. 백반증은 피부과 전문의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치료되며, 의료 영상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영상을 통한 정량적, 객관적인 분석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고, 소수의 의료 데이터 영상을 통해 많은 진단 방법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백반증 의료 데이터 수집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이 학습을 이용하여 영상 분할을 통해 백반증 부위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전이학습 모델은 U-net, FCN, Deeplab 등의 딥러닝 모델에 적용 가능성을 실험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백반증 중증도를 측정하고자 RGB 피부 영상으로 변환하여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는 VASI 점수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불균형 백반증 이미지 데이터로 훈련했을 때 Deeplab에서의 f1-score와 IoU 점수가 기존 이미지 처리 방법 뿐만 아니라 U-net보다 우수했다. 또한, 이 논문에서 제안된 백반증 이미지에서 VASI 점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백반증의 진단에 적용될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 KCI등재
      • 최소 절개술을 이용한 수근관 감압술의 유용성

        권영호,곽재만 고신대학교(의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2013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8 No.1

        Objective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carpal tunnel release with a mini-open incision by analyzing symptom improvemen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64 carpal tunnel syndrome patients who underwent carpal tunnel release with mini-open incisions between January 2001 and December 2010. The 22 males and 42 females had a mean age of 49 years and a mean follow-up of 12 months. We analyzed postoperative symptoms using The Michigan Hand Outcome Questionnaire. Results: Patients reported complete resolution of their symptoms, and some patients who had presented with residual symptoms improved gradually. No complications or scar hypersensitivity were observed. MHQ(Michigan Hand outcomes Questionnaire)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6 months and 12 months. Conclusions: Carpal tunnel release with mini-open incision provides a clinically effective, reliable and safe procedure.

      • KCI등재

        고환곁 배아횡문근육종의 초음파 소견: 증례 보고

        권영호,문성경,임주원,박성진,이동호,고영태,박용구 대한초음파의학회 2012 ULTRASONOGRAPHY Vol.31 No.2

        횡문근육종은 몸의 어느 부위에나 발생가능 하며 소아에서 가장 많은 형태의 고형 암으로 윌름 종양과 신경아세포종과 비슷한 빈도를 보인다. 하지만 그 중 고환 주위를 침범하는 것은 매우 드물어 횡문근육종의 초음파 소견에 대한 보고가 제한적이다. 저자들은 15세 남자와 19세 남자에서 발생한 횡문근육종 2예의 초음파 소견을 보고 하고자한다.

      •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 특별법의 개선과제

        권영호 韓國土地公法學會 2014 土地公法硏究 Vol.64 No.-

        제주특별자치도제가 실시된 지 7년째에 접어들었으나, 비판적인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주민들의 입장에서는 기초자치단체의 폐지로 인한 주민자치권 축소와 이를 대신한 행정시의 책임소재의 부재 등 여러 가지 바뀐 환경 때문에 주민행정의 대부분이 도청으로 집중되는 현상과 특별자치제실시 이후에도 제주지역의 사회·경제적 여건이 별반 달라진바가 없는 등 가시적이 효과가 없이 사회·경제적인 역량이 제주시에 집중되는 현상이 별반 반가울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현상은 제주도청에 자치권한이 집중되었다는 이유로 책임을 회피하는 제주행정시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과 제주특별자치도 도의회의원 선거구 책정에 대한 추자도 및 우도 주민의 도의회 선거구획정에 대한 의의제기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에 이루어지고 있는 중앙정부의 권한이양 방식 즉 사안마다 개별적·열거적으로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권한을 도지사의 권한으로 이양하거나, 도 조례에 위임하는 방식에서 제기되고 있는 정책적 사안들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권한 이양방식때문에 제주특별법은 400여개 조문을 가진 방대한 법률이 되었고, 한 부분의 권한이양을 위해 관련 법률들을 하나하나 살펴보고, 개별적으로 모두 개정해야 하는 형편이다. 앞으로도 제주특별법의 개정이 계속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정될 조문 수는 증가할 것이고, 제주특별자치도에 적용되는 제주특별법의 체제는 더욱 복잡해질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도시행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특별자치제의 활성화를 위해 장애가 되는 제도들과 법적인 문제들은 많으나, 자치권확대를 위한 헌법적, 법률적 권한확대와 자치경찰 문제는 매우 중요한 개선과제로 볼 수 있다. 또한 법조문의 형식도 예외를 인정하고자 하는 법률의 조문들을 일일이 열거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제주특별법은 주민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같은 성격을 가진 조문끼리 모아 분법하고, 알기 쉽도록 법률체제정비와 더불어 용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이름에 걸맞은 자치권의 확보를 위하여 헌법적 근거를 마련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제주특별법의 효력을 다른 법률보다 우선시하는 법적근거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지방자치제의 입법권을 제한하는 지방자치법상의 ‘법령의 범위 안에서’라는 조항의 특례를 제주특별법에 규정하여 자치입법권의 확대에 기여해볼 수 있다. 또한 자치경찰제도도 개선하여 자치경찰관이 경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Remodelling issues in the Special Ac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issues in the Special Ac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even years after introduction of special self-governing system to Jeju Island is going on, critical issues have been raised. From Jeju residents' perspective, reduced autonomy of residents due to the aboli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administration, such as the absence of several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make most of the population concentrated in a special municipality of Jeju Island. After the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system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are still not changed without visible effect.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political issues is discussed. In other words, the regulations or mandate is chosen to be the way separately for each issue by way of transfer of central government's authority to the Jeju. To do that, the Jeju Special Act is huge with over 400 provisions. To revise a part of the rights, it need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individual circumstances one by one. In the future Jeju Special Act will be amended because it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the number of revision. The applicable law and the system will be more complex. In this sense, the problems of enforcement are also raising. For the system improvements, it is challenged to resolve legal issues for expanding constitutional and legal rights and improvement of municipal police, especially now between the government authority and a special municipality. Consequently, it is recommending that Jeju Special Act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each other, such as collection of sympathy with legal system maintenance and improving the term of regulation. It must be in place the constitutional grounds to secure autonomy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effects of Jeju Special Act is necessary to provide a legal basis to take precedence over other legislation. In addition, we can suggest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legislative power, by including regulatory authorities 'within the scope of the statute" of self-governing Local Government Act to limit the Municipal Local Government on legislative power, to the provisions of the Special Act on Jeju. In addition, it is to be improved the self-governing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can be established function as a police offic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