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숙아에서 말초 혈량의 심박수에 대한 비선형적 연결 강도(Nonlinear Couple)의 감소

        박은영,김창렬,염명걸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4

        Purpose:We investigated the autonomic nervous and complex modulation of heart rate and peripheral blood volume, and linear and nonlinear coupling between heart rate and peripheral blood volume in full-term and preterm infants. Methods:In twenty healthy preterm infants and twenty full-term infants at postconceptional age of 30-37 and 38-41 weeks each, we recorded electrocardiogram and photoplethysmogram simultaneously during sleep in the supine position. To evaluate the autonomic and complex modulation, we performed power spectral analysis and analysis of the univariate nonlinear determinism. To quantify degree of linear and nonlinear couple between heart rates and peripheral blood volume, analyses of cross spectrum and bivariate nonlinear determinism were performed respectively. Results:In the analysis of heart rates, preterm infants had significantly lower normalized high- frequency power (20.3±7.7% vs 30.7±15.1%, P<0.05), higher low-to high-frequency power ratio (3.0±2.1 vs 1.9±1.6, P<0.05), and significantly lower univariate prediction error (2.9±1.3% vs 4.1± 2.8%, P<0.05) when compared to full-term infants. In the analysis of peripheral blood volume,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ross spectrum in all frequency rang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But preterm infa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bivariate nonlinear prediction error (4.8±3.8% vs 3.1±2.2%, P<0.05) and a lower statistical coupling index (16.6±10.4 vs 22.9±9.2, P<0.05) than full-term infants. Conclusion:Compared to full-term infants, the heart rates of preterm infants are less modulated by cardiac parasympathetic activity and less complex. Furthermore, their peripheral blood volume was less nonlinearly coupled to heart rate. 미숙아에서 말초 혈량의심박수에 대한 비선형적 연결 강도(Nonlinear Couple)의 감소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박은영*·김창렬·염명걸목 적 : 미숙아와 만삭아에서 심혈관계 신호의 선형 및 비선형적 특성의 차이와 심박수와 말초 혈량 사이의 선형 및 비선형적 연결 특성의 차이를 보고자 한다.방 법 : 20명의 건강한 미숙아(수태 후 연령 30-37주)와 20명의 만삭아(수태 후 연령 38-41주)에서 수면 시 1시간 동안 심전도와 혈량 측정기의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 기록하였다. 그 신생아의 움직임이 없었던 5분간 매 심박동시 RR 간격과 말초 혈량을 측정하였다. RR 간격과 말초 혈량 각각에 대해 파워 스펙트럼과 비선형 예측오차를 구하였다. 이 RR 간격의 말초 혈량에 대한 상호 관계는 선형법으로 교차일관(cross coherence)을 구하고 비선형적 연결을 정량화하기 위해 비선형 연결지수(coupling index)를 산출하였다. 결 과 : RR 간격의 파워 스펙트럼 분석에서 미숙아는 고주파 파워(백분율)가 만삭아보다 의의 있게 낮았고(20.3±7.7% 대 30.7±15.1%, P<0.05), 저주파/고주파 파워비는 만삭아보다 높았다(3.0±2.1 대 1.9±1.6, P<0.05). 복잡성 지표인 비선형 예측오차도 미숙아가 만삭아보다 낮았다 (2.9±1.3% 대 4.1±2.8%, P<0.05). 말초 혈량의 분석은 두 방법 모두 양군간에 의의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심박수와 말초 혈량의 상호 관계는 교차 스펙트럼의 선형 분석법으로는 모든 주파수에서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비선형 연결지수는 만삭아에서 22.9±9.2%, 미숙아에서 16.6%±10.4로 미숙아에서 의의 있게 더 낮았다(P< 0.05).

      • KCI등재

        PAI-A 증보판의 내재화 및 외현화 요인구조

        박은영,박은영,홍상황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6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that the Revised PAI-A scale reflected th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classification of adolescence problem behavior. For this purpo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PAI-A restandardization data. In addition, 31 Revised PAI-A sub-scales and SUI scale were used to identify the detailed factor structu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lassification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factors was similar to that of previous studies. In detail, the sub-scales of ANX․DEP and SUI were classified into internalization, the sub-scales of ANT and AGG were classified into externalization. It is noteworthy that each sub-scale of PAI-A was separated into internalization or externalization. For example, BOR-A, BOR-I, and BOR-N were loaded into internalization, but BOR-S into externalization. Next,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structure of the derived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factors can be applied to new samples, 350 samples were randomly extracted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ut exclusive of the samples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appropriate indices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classification was close to the good level. Therefore, the Revised PAI-A scales have theoretical relevance to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classification of problem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helpfully in the school settings in the futur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PAI-A 증보판 척도가 청소년기 문제행동에 대한 내재화, 외현화 분류를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AI-A 증보판 하위척도 31개 및 자살관념(Suicidal Ideation, SUI) 척도 점수를 가지고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선행연구와 공통적으로 불안(Anxiety, ANX)과 우울(Depression, DEP)의 하위척도 및 자살관념(SUI) 척도는 내재화에, 반사회적 특징(Antisocial Features, ANT)과 공격성(Aggressive, AGG)의 하위척도는 외현화에 분류되었다.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 경계선적 특징(Borderline Features, BOR)의 하위척도에서 정서적 불안정성(Affective Instability, BOR-A), 정체감 문제(Identity Problems, BOR-I), 부정적 관계(Negative Relationships, BOR-N)는 내재화에, 자기손상(Self-Harm, BOR-S)은 외현화에 분리되어 부하되었다. 이후 도출된 내재화 및 외현화 요인구조가 새로운 표본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에 사용된 표본을 제외한 350명의 표본을 무선추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내재화 및 외현화 분류의 적합도가 양호한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AI-A의 척도들이 문제행동에 대한 내재화 및 외현화 분류와 이론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해서 향후 학교 장면에서 청소년들의 문제행동 평가에 PAI-A 증보판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내산 납석기반 세라믹 멤브레인 수처리 적용 가능성 평가 및 파울링 현상관찰

        박은영,장호석,최낙철,이성재,김정환 한국막학회 2016 멤브레인 Vol.26 No.3

        Performance of pyrophyllite-based ceramic membranes newly developed were investigated. Membrane fouling caused by microbial suspensions taken from a full-scaled MBR system at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s observed at different airflow rate and distance between each membrane. For the pyrophyllite support, pore size was about 1.0 μm, but surface coating with Al2O3 solution decreased the pore size with the reduction of the pure water permeability. With the MLSS taken from the full-scaled MBR system (6 g/L), the fouling rate was decreased by increasing airflow rate under 20 L/m2.hr of setpoint flux.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airflow rate on the fouling control depends strongly upon the gap between each membrane. At fixed airflow rate, the fouling rate wa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gap between each pyrophyllite membrane. Nevertheless, further increasing the membrane distance from 3.5 to 5.4 cm resulted in higher fouling rate. Similar result was observed with the Al2O3 coated-pyrophyllite membrane. Nevertheless, the fouling rate was lower with the coated membrane than that observed with the uncoated pyrophyllite support. Regardless of surface coating, the suspended solids were removed almost completely and the surface coating on the pyrophyllite support improved organic rejection with PEG solution (MW : 8000 kDa) tested. 새롭게 제조된 납석기반 세라믹 멤브레인의 기본성능을 관찰하였다. 실규모 하수처리 membrane bioreactor (MBR) 미생물 고농도 현탁액을(MLSS : 약 6 g/L) 처리하는 납석기반 멤브레인 파울링 현상을 서로 다른 공기 폭기량과 막간격에 대해 관찰하였다. 공극크기가 약 1.0 μm인 비코팅 납석기반 세라믹 멤브레인 지지체의 순수투과도의 경우 약 1100 L/m2⋅hr⋅bar로 측정되었으나 알루미나로 코팅된 납석기반 세라믹 멤브레인은 공극크기의 감소로(0.3 μm) 순수 투과도는두 배가량 감소하였다. 실규모 MBR 미생물 현탁액을 적용한 침지식 여과실험에서 납석 기반 세라믹 멤브레인 지지체의 경우 투과플럭스 20 LMH에서 공기폭기량을 증가시켰을 때 파울링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공기폭기가 파울링에 미치는 영향은막간 간격에 상당히 의존하였다. 일정한 공기폭기 유량에서 막간간격의 증가는 파울링을 감소시켰으나 막간 간격을 3.5에서5.4 cm로 증가시켰을 때 파울링 속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알루미나 용액으로 표면코팅된 납석기반 지지체의 경우 유사한결과가 관찰되었으나 파울링 속도는 코팅층이 없는 지지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표면코팅에 상관없이 납석기반 지지체와 멤브레인의 경우 거의 완벽한 SS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납석 지지체 알루미나 표면코팅은 PEG (분자량 8,000 kDa)을 적용하였을 시 멤브레인의 유기물 배제율을 향상시켰다.

      • KCI등재

        Microstrip Square Open Loop Resonator를 이용한 저위상 잡음 발진기에 관한 연구

        박은영,서철헌,Park Eun-Young,Seo Chulhun 한국전자파학회 200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발진기의 위상 잡음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개방형 루프 구조를 공진기에 적용하였다. 개방형 루프 공진기는 크기 면에서 훨씬 소형화될 뿐만 아니라 협대역과 예리한 선택도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저 위상 잡음 발진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개방형 루프 구조를 이용한 공진기는 결합 계수를 증가시켜 Q값을 높여 주어 결과적으로 발진기의 위상 잡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발진기는 5.84 GHz에서 발진이 일어났으며, 출력은 -0.5 dBm, 하모닉 특성은 -15.83 dBc, 위상 잡음 특성은 100 kHz offset에서 -111.17 dBc/Hz이었다. 이를 통하여 개방형 루프공진기 구조를 이용한 발진기는 기존의 공진기를 이용한 발진기에 비해 100 kHz offset에서 15 dB 개선을 보였다. This paper has presented a low phase noise oscillator using a square open loop with microstrip structure. A square open loop resonator has a large coupling coefficient value, which makes a high Q value, and has reduced phase noise. This oscillator has presented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5.84 GHz, harmonics of -15.83 dBc and the phase noise of -111.17 dBc/Hz at the offset frequency of 100 kHz. In conclusion, the proposal structure has improved phase noise of 15 dB at the offset frequency of 100 kHz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oscillator.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