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숙아에서 말초 혈량의 심박수에 대한 비선형적 연결 강도(Nonlinear Couple)의 감소

        박은영,김창렬,염명걸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4

        Purpose:We investigated the autonomic nervous and complex modulation of heart rate and peripheral blood volume, and linear and nonlinear coupling between heart rate and peripheral blood volume in full-term and preterm infants. Methods:In twenty healthy preterm infants and twenty full-term infants at postconceptional age of 30-37 and 38-41 weeks each, we recorded electrocardiogram and photoplethysmogram simultaneously during sleep in the supine position. To evaluate the autonomic and complex modulation, we performed power spectral analysis and analysis of the univariate nonlinear determinism. To quantify degree of linear and nonlinear couple between heart rates and peripheral blood volume, analyses of cross spectrum and bivariate nonlinear determinism were performed respectively. Results:In the analysis of heart rates, preterm infants had significantly lower normalized high- frequency power (20.3±7.7% vs 30.7±15.1%, P<0.05), higher low-to high-frequency power ratio (3.0±2.1 vs 1.9±1.6, P<0.05), and significantly lower univariate prediction error (2.9±1.3% vs 4.1± 2.8%, P<0.05) when compared to full-term infants. In the analysis of peripheral blood volume,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ross spectrum in all frequency rang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But preterm infa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bivariate nonlinear prediction error (4.8±3.8% vs 3.1±2.2%, P<0.05) and a lower statistical coupling index (16.6±10.4 vs 22.9±9.2, P<0.05) than full-term infants. Conclusion:Compared to full-term infants, the heart rates of preterm infants are less modulated by cardiac parasympathetic activity and less complex. Furthermore, their peripheral blood volume was less nonlinearly coupled to heart rate. 미숙아에서 말초 혈량의심박수에 대한 비선형적 연결 강도(Nonlinear Couple)의 감소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박은영*·김창렬·염명걸목 적 : 미숙아와 만삭아에서 심혈관계 신호의 선형 및 비선형적 특성의 차이와 심박수와 말초 혈량 사이의 선형 및 비선형적 연결 특성의 차이를 보고자 한다.방 법 : 20명의 건강한 미숙아(수태 후 연령 30-37주)와 20명의 만삭아(수태 후 연령 38-41주)에서 수면 시 1시간 동안 심전도와 혈량 측정기의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 기록하였다. 그 신생아의 움직임이 없었던 5분간 매 심박동시 RR 간격과 말초 혈량을 측정하였다. RR 간격과 말초 혈량 각각에 대해 파워 스펙트럼과 비선형 예측오차를 구하였다. 이 RR 간격의 말초 혈량에 대한 상호 관계는 선형법으로 교차일관(cross coherence)을 구하고 비선형적 연결을 정량화하기 위해 비선형 연결지수(coupling index)를 산출하였다. 결 과 : RR 간격의 파워 스펙트럼 분석에서 미숙아는 고주파 파워(백분율)가 만삭아보다 의의 있게 낮았고(20.3±7.7% 대 30.7±15.1%, P<0.05), 저주파/고주파 파워비는 만삭아보다 높았다(3.0±2.1 대 1.9±1.6, P<0.05). 복잡성 지표인 비선형 예측오차도 미숙아가 만삭아보다 낮았다 (2.9±1.3% 대 4.1±2.8%, P<0.05). 말초 혈량의 분석은 두 방법 모두 양군간에 의의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심박수와 말초 혈량의 상호 관계는 교차 스펙트럼의 선형 분석법으로는 모든 주파수에서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비선형 연결지수는 만삭아에서 22.9±9.2%, 미숙아에서 16.6%±10.4로 미숙아에서 의의 있게 더 낮았다(P< 0.05).

      • KCI등재

        PAI-A 증보판의 내재화 및 외현화 요인구조

        박은영,박은영,홍상황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6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that the Revised PAI-A scale reflected th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classification of adolescence problem behavior. For this purpo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PAI-A restandardization data. In addition, 31 Revised PAI-A sub-scales and SUI scale were used to identify the detailed factor structu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lassification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factors was similar to that of previous studies. In detail, the sub-scales of ANX․DEP and SUI were classified into internalization, the sub-scales of ANT and AGG were classified into externalization. It is noteworthy that each sub-scale of PAI-A was separated into internalization or externalization. For example, BOR-A, BOR-I, and BOR-N were loaded into internalization, but BOR-S into externalization. Next,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structure of the derived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factors can be applied to new samples, 350 samples were randomly extracted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ut exclusive of the samples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appropriate indices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classification was close to the good level. Therefore, the Revised PAI-A scales have theoretical relevance to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classification of problem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helpfully in the school settings in the futur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PAI-A 증보판 척도가 청소년기 문제행동에 대한 내재화, 외현화 분류를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AI-A 증보판 하위척도 31개 및 자살관념(Suicidal Ideation, SUI) 척도 점수를 가지고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선행연구와 공통적으로 불안(Anxiety, ANX)과 우울(Depression, DEP)의 하위척도 및 자살관념(SUI) 척도는 내재화에, 반사회적 특징(Antisocial Features, ANT)과 공격성(Aggressive, AGG)의 하위척도는 외현화에 분류되었다.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 경계선적 특징(Borderline Features, BOR)의 하위척도에서 정서적 불안정성(Affective Instability, BOR-A), 정체감 문제(Identity Problems, BOR-I), 부정적 관계(Negative Relationships, BOR-N)는 내재화에, 자기손상(Self-Harm, BOR-S)은 외현화에 분리되어 부하되었다. 이후 도출된 내재화 및 외현화 요인구조가 새로운 표본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에 사용된 표본을 제외한 350명의 표본을 무선추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내재화 및 외현화 분류의 적합도가 양호한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AI-A의 척도들이 문제행동에 대한 내재화 및 외현화 분류와 이론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해서 향후 학교 장면에서 청소년들의 문제행동 평가에 PAI-A 증보판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교육과 종교의 충돌」 논쟁에 관한 일고찰 - 이노우에 테츠지로(井上哲次郎)와 요코이 도키오(横井時雄)의 논쟁을 중심으로 -

        박은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硏究 Vol.- No.73

        1890년 10월 30일 메이지 천황의 이름으로 공표된 『교육칙어 (教育勅語)』는 일본 국민이 지켜야 할 도덕적 규범을 제시한 것으로 천황제 국가 지배 이데올로기의 중핵으로서 기능하였다. 메이지 정부는 교육칙어를 통해 절대적 천황상을 창출하여 국가 권력에 의한 교화를 꾀하고자 하였고, 모든 국민들에게 교육칙어에 대한 예의와 복종을 강조했다. 이러한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화신인 교육칙어를 둘러싸고 일어난 사건 중에 ‘우치무라 간조(内村鑑三) 불경사건’은 유명한데, 이를 계기로 점화된 ‘교육과 종교의 충돌’ 논쟁은 기독교와 국가의 충돌 문제를 공식적으로 표면화시켰다. 이 논쟁을 이끌었던 이노우에 테츠지로(井上哲次郎)는 일본의 국체인 천황제가 기독교와 공존할 수 없다고 역설하였는데, 이에 대해 기독교계는 이노우에의 논의에 대한 변명이나 비판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려는 모습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노우에와 강한 국가주의 정신에 입각한 기독교라는 방향성을 견지했던 요코이 도키오(横井時雄)와의 논쟁의 양상을 검토하여 두 충돌 주체 사이의 논리적 구조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October 30, 1890,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as published in the name of the Emperor Meiji functioned as a core of the national ruling ideology of Imperial system. A Meiji government tried to create the absolute emperor image through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and emphasized courtesy and obedience to the idea of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to all the people. Among the events surrounding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as the embodiment of ideology of Imperial system, the most famous such incident was the incident of lese majesty by Uchimura Kanzo(内村鑑三). Taking this opportunity, the Controversy on “Reigion versus Education” was brought to conflict between nation and Christianity officially. Inoue Tetsujiro(井上哲次郎)) who led this controversy insisted the Imperial system as national polity(国体) was difficult for Christianity to coexist. In this regard, Japanese Christian leaders tried to take a positive attitude through excuse and criticism about Inoue’s argument.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aspects of the debate between Inoue and Yokoi Tokio(横井時雄) who sticked to the spirit of nationalism strongly, and lay out a logical basis for main agent of conlict.

      • KCI등재후보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의 타당도

        박은영,최유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K-PSI)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P. For this, it was measure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CP(age range=3~17) by using the K-PSI, and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firmed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PSI.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model fit indices similar to the standardized K-PSI. But, all path coefficients of distraction/hyperactivity sub-items of the child domain were found not significant, and mood and reward of the child domain, and attachment, competence, and health of the parents domain showed low reliability. This results reveal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PSI was not secured to measure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 of children with CP. In future research it will study to find out whether the K-PSI is a reasonable tool to measure parenting stress of mother of children with CP through Item Response Theory, etc.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데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Korean Parenting Stress Index K-PSI)가 타당한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3~17세 뇌성마비 아동 171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K-PSI를 측정한 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K-PSI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를 한 K-PSI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계수 확인 결과 아동영역 중 주의산만/과잉행동 영역의 모든 하위문항들의 경로계수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검사 결과 아동영역의 기분과 보상, 부모영역의 애착, 유능감, 건강 항목은 신뢰도가 낮았다.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에 K-PSI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문항반응이론 등을 적용하여 K-PSI가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측정에 타당한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금산군 녹색치유단지 조성을 위한 전략적 계획방법

        박은영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trategic planning methods readily applicable to building a green care complex in Geumsan County that will offer rests, activities, and healing experience based on care-farming as a source to revitalize the county’s industry and agriculture.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developing basic plans for the convergent care-farm that will deliver the values of healing, smart, care, and culture and presenting spatial concepts, programs, and space-specific plans. In the center of the complex is a plaza that also serves as a healing garden, recreation care farm and areas facing the road, hence frequent contact with visitors, are allocated for parking space, amenities, resting places, and an animal healing center. Housing a smart farm, an outdoor demo-farm, a convention center, and a recreational forest, the slant areas in the rear are intended for professional activities and tranquil experienc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n attempt to find new ways to facilitate regional development and revitalize farm villages by identifying a candidate site for care-farming and applying essential programs thereto. 본 연구는 지역의 산업과 농촌의 새로운 활력을 찾아낼 수 있는 치유농업을 기본으로 하여 녹색치유(green care)가 가능한 금산군을 대상으로 휴양, 체험, 치유의 기능을 융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실제 적용가능한 전략적인 계획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치유’, ‘스마트’, ‘돌봄’, ‘문화’ 등의 복합적인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융합형 케어팜으로 자리매김할 기본계획에 중점을 두어 공간구상과 프로그램, 공간별 계획을 제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전체적인 공간의 구성은 중앙부에 광장과 힐링정원을 공유하면서 도로와 인접한 전면부는 관람객이 이용할 수 있는 주차장, 편의시설과 휴게공간, 동물치유센터, 휴양형 케어팜 등으로 활발한 이용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구성하고, 경사를 이용한 후면부에 스마트팜과 야외데모팜, 컨벤션센터와 휴양 숲을 구성하여 전문가와 정적인 행태가 일어날 수 있도록 영역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치유농업의 적용가능한 대상지를 설정하고, 다루어야 할 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대상지에 적용해봄으로써 지역의 발전과 새로운 농촌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 KCI등재

        방과후학교 음악교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박은영,김지현,김현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음악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분석을 통해 그들의 문제점과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의 방과후학교 음악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방과후학교 음악교사는 인성, 교수・학습 방법, 학생과 학부모에 관한 이해 부족, 음악교육 지도 계획, 학생 수준에 따른 교재선정, 교사중심 교수 방법, 정체성과 교직 문화 이해 부족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드러났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방과후학교 음악교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다양한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Lethal Aspergillus Endocarditis After Heart Transplantation

        박은영,강석민,김찬호,김동현,남동혁,안철민,정보영,정남식 한국심초음파학회 2007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J Cardiovasc Im Vol.15 No.2

        We report a case of a 21-year-old male who died from lethal Aspergillus endocarditis 3 months after heart transplantation. He underwent heart transplantation in other country. He was treated with hemodialysis for acute renal failure due to cyclosporine and then transferred to our hospital. When he complained high fever, follow-up echocardiography showed a large mobile echogenic mass attached to posterior mitral valve leaflet. The result of serum Aspergillus galactomannan antigen assay was positive. He was empirically treated with intravenous amphotericin B and antibiotics. However, he was rapidly deteriorated and died on hospital day 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