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하대 서남해 지역 禪僧과 후백제

        張日圭(Chang, Il-gyu)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4

        신라 하대에 선승들은 진성왕 이전까지 지방호족과 친밀한 관계를 맺었지만, 한편으로는 왕실이나 중앙 귀족의 후원도 받았다. 선종 사찰은 대체로 서남해 지역에 주로 자리하였는데, 그곳에서는 후원 불사를 통해서 석탑과 불상 등이 조성되었다. 서남해 지역의 불교계가 다양한 세력과 관계하였기에, 이 지역 선승은 선종 사상을 내세우면서 교학 불교에 소홀할 수 없었다. 신라 하대 서남해 지역은 선종 불교의 중심지이자 교종 불교를 함께 이해하는 교섭과 융합의 장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후백제 견훤의 불교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이 글은 서남해 지역 선승의 활동과 사상을 시기별?지역별로 나누어 살피고, 후백제와의 관련성을 고찰한 것이다. 신라 하대에 무주와 전주 등 서남해 지역은 물론 강주와 웅주 등 주변 지역에는 여러 사찰이 자리하였다. 화엄사, 금산사, 해인사, 보원사 등은 820년대 말~890년대 말에 교학 불교계를 통제하였는데, 대체로 화엄종과 연결된 데 반해, 전주 지역만 특별히 법상종 교단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한편 820년대 말~920년대 중반에 실상산문, 동리산문, 가지산문 사찰과 승려들은 선종 불교의 성행을 이끌었다. 전주 지역은 처음부터 가장 늦게까지 선승의 활동처로 주목되었다. 다만 이 지역 선종 사찰의 분포와 선승의 활동에는 무주 지역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 무주 지역의 선종 사찰은 다른 지역보다 많이 분포하였고 선승의 활동도 활발하였다. 이 지역의 선승들은 선종 불교는 교종 불교도 함께 이해하여 ‘성상동일’, ‘교선동일’의 사상 경향을 내세웠다. 898년 전후에 무주 지역은 혼란 속에서 여생을 보내기에 알맞은 곳으로 인식되었으나 903년 이후 왕건이 궁예의 명령을 받아 나주를 공격하면서, 이러한 분위기는 갑자기 바뀌었다. 서남해 지역과 연고되지 않은 선승은 무주 지역에 귀국한 뒤 바로 다른 지역으로 이거하였지만, 서남해 지역과 연고된 선승은 무주 지역으로 귀국한 다음에도 여전히 머물면서 이 지역 선종 불교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혜철과 도윤의 법손이자 도선과 절중의 제자였던 경보가 그러한 역할을 맡았다. 912년에 견훤은 덕진포 전투에서 왕건에게 패배하였다. 선승의 귀국처는 전주 지역으로 변경되었고, 견훤의 불교 정책도 이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견훤은 921년에 전주 임피현으로 귀국한 동리산문의 경보에게 전주 남복선원에 주석하도록 요청하면서 무주 지역 선문과의 관계를 복구하려고 하였다. 아울러 미륵사 개탑 불사를 설행하고, 해인사 관혜와 관계를 맺으면서 교종 불교에 대한 통제도 강화하였다. 그는 선사상은물론 화엄사상과 유식사상을 아울렀던 서남해 지역 불교계의 ‘성상동일’, ‘교선동일’ 기조를 계승하면서 왕실의 위상을 강조하고 후백제 영역 지배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i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r Baekje(後百濟) and Zen Monks(禪僧) who were active in the southwest region in the Late Period of Silla through analyzing their activities and thought per period and by regional groups. There were a lot of typical temples of Textual Buddhism such as Hwaeomsa Temple, Geumsansa Temple, Haeinsa Temple and bowonsa temple in the southwest region. These temples had controled Textual Buddhism from the end of 830th to 890th. Most of them were connected with the Hwaeom-jong(華嚴宗) but Geumsansa Temple located in Jeonju region was associated with the Beobsang-jong(法相宗). Generally, ZenMonks of the Silsangsanmun, Donglisanmun, Gajisanmun had led Silla’s Zen Buddhism from the end of 820th to the mid-920th in the Southwest Region. By the way the interesting things is that Jeonju region was influenced byMuju region strongly even though Jeonju region received attention with the Zen monk’s activity sheets from the beginning of the Late Period of Silla. Muju region was not only the center of Zen Buddhism but also exchange place understanding Textual Buddhism. Zen Monks in this region emphasized that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al truth is same(性相同一)’ and ‘Textual Buddhism and Zen Buddhism is same(敎禪同一)’. Muju region was a stable place around 898. However, since Wang-geon(王建) attacked Naju region in 903, the situation has changed. Most of the Zen monks left Muju region but the monks based in Muju still stayed. For example, Monk GyeongBo(慶甫) was one of those people. He was a disciple of Monk DoSeon(道詵) and Monk JeolJung(折中). He was in succession to the tradition of the southwest region Buddhism. Gyeon-hwon(甄萱) was defeated by Wang-geon in the Deokjinpo(德津浦) battle in 912. After this battle, the place where Zen Monks return home from China was changed to Jeonju region and naturally Gyeon-hwon had no choice but to manage the policy of Buddhism centering around Jeonju region. In 921, Gyeon-hwon called for Monk Gyeongbo to stay at Nambokseonwon Temple in Jeonju in order to resume relations with Donglisanmun Zen Sect in Muju region. In addition, he tried to control Textual Buddhism through having a close relations with Mireuksa Temple and Haeinsa Temple. Eventually by these efforts Gyeon-hwon intended to emphasize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and strengthen his control over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 KCI등재

        최치원 관련 유적의 분포와 숭모

        張日圭(Chang, Il-Gyu)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3

        이 글은 전국에 분포하는 최치원 관련 석각, 사우 서원, 유적 등을 시기별 지역별로 정리하고, 그 특징과 의미를 살핀 것이다. 최치원은 존왕적 정치이념을 내세우면서 신라 사회의 개혁을 꾀하였다. 신라가 쇠퇴하면서 그 이념은 구현되지 못하였지만, 고려의 유학지식인에 의해서 전승되어 국가 운영에 도움이 되었다. 때문에 고려는 물론 조선시대에도 그에 대한 평가와 함께 추모 경향이 꾸준히 유지되었다. 자연히 그의 자취는 전국 곳곳에 분포하였다. 최치원의 자취는 석각, 사우나 서원, 관련 유적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주로 지금의 경남, 경북, 전북에 분포하고 있다. 사우 사원과 유적은 대체로 적게는 4곳에서 많게는 8곳에 이를 정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석각은 32곳에 남아 있다. 다만 전북에는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반면, 경남과 경북에 대부분 분포하고 있다. 석각이나 관련 유적은 귀국 후 그의 활동과 관련되어 전승되고 있다. 최치원의 사후에 그를 모시거나 기리기 위해서 건립한 사우와 서원도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모두 24곳의 사우와 서원 가운데 정읍 무성서원, 경주 서악서원, 군산 염의서원ㆍ현충단ㆍ옥산서원, 진주 남악서원, 김제 벽성서원, 함양 백연서원 등은 최치원 외에 김유신, 설총, 신잠, 고경, 고용현, 이건명, 조태채, 임병찬, 김종직, 김일손, 옥구 先賢14位 등의 위패를 함께 모시고 있다. 이들 사우와 서원은 전형적인 先賢奉祀의 모습을 띠고 있으므로, 유림들이 건립이나 향사에 적극 관여한 셈이다. 반면에 서산 부성사, 광주 지산재, 울진 아산영당, 서천 도충사, 순창 지산사 등은 최청, 최운한, 최형한, 최익현, 최몽량 등의 후손을 배향하고 있다. 광주 지산재, 대구 문창후영당, 포천청성사, 하동 운암영당, 청도 학남서원, 울진 아산영당 등은 처음부터 최치원의 영정을 모신 사우로 건립되었다. 안동 용강서원, 군산 문창서원, 대구 문창후영당, 포천 청성사, 하동 운암영당, 창원 두곡서원, 청도 학남서원, 합천 가야서당, 익산 단동사, 영덕 모운사, 대구 대곡영각 등도 최치원만 모시고 있다. 후손을 배향하거나 처음부터, 또는 최치원만 모신 사우 서원의 건립과 향사에는 경주최씨 문중의 영향력이 제법 미쳤다. 최치원의 영정은 현재 19곳에 봉안되어 있다. 그것은 대체로 문인풍의 영정과 신선풍의 영정으로 나뉜다. 문인풍의 영정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관복과 관모를 갖추어 입은 모습이 대부분이지만, 深衣에 복건을 쓴 유학자의 모습이나 옷과 요대, 관모가 서로 어울리지 않는 문인의 모습으로도 표현되었다. 신선풍의 영정은 모두 계곡이 있는 깊은 산 속에 앉은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최치원의 영정은 대체로 문인풍이지만, 하동 운암영당의 영정처럼 원래 산신풍의 영정을 문인풍으로 바꾸어 덧칠한 것도 있고, 광주 지산재의 영정처럼 문인풍의 영정에 신선풍이 混淆되기도 하였다. 최치원의 영정은 애초에 신선풍으로 제작되었다가 점차 문인풍으로 변화하였다. 최치원을 모시는 사우와 서원은 고려 말에 정읍 무성서원이 건립된 뒤, 1483년에 재건되었고, 1561년부터 숙종 때까지 경주 서악서원, 함양 백연서원, 안동 용강서원, 군산 염의서원과 문창서원 등이 연이어 건립되었다. 1623년에 서악서원이 사액된 다음, 무성서원과 염의서원이 사액되었다. 성종 때 일어난 최치원에 대한 숭모 분위기는 선조 때 부성사가 위패를 모신 문중 사우로 처음 건립되는 데 영향을 미쳤고, 1737년에 광주 지산재가 건립되면서 영정을 모신 문중 사우와 서원이 점차 전국에 건립되었다. 영정을 모신 문중 사우와 서원은 경기, 경남, 경북, 광주, 대구, 전북, 충남 등 거의 전국에 건립된 반면에 유림이 관여한 서원은 대체로 경남, 경북, 전북에만 분포하며, 전북에만 무성서원, 염의서원, 현충단, 옥산서원, 벽성서원 등 5곳이 자리하고 있다. 전북 일대에 자리한 서원은 무성서원을 중심으로 최치원에 대한 유림의 숭모와 관련되었는데, 이것은 문인풍의 영정이 대체로 호남과 호서 일대의 사우와 서원에 주로 봉안된 것과도 관련된다. 다만 경남, 경북의 경주최씨 문중에서는 경주 서악서원의 사액을 기점으로, 문중 공동체의 발전과 유지를 위해서 영당의 건립을 확대해 나갔다. 이것은 영남 일대의 사우와 서원에서 대체로 신선풍의 영정을 모신 것과도 연관되었다. 특히 영남 일대는 최치원이 자연을 벗삼아 노닐었던 말년의 삶과 연고되었으므로, 다른 지역보다도 신선풍의 영정이나 석각의 전승이 특별히 강조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to organize the data about letters carved on a stone, shrines(祠宇), Seowon(書院), and archaeological ruins related to Choi Chi-won(崔致遠),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Choi Chi-won’s footprints could be divided into letters on a stone, shrines and Seowon, and other ruins related to this issue; the most number of them could be found in Gyeongsangnam-do, Gyeongsangbuk-do and Jeollabuk-do Province. Stone carvings and ruins, 32 sites in total, are only located i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a phenomenon which the stories about his activities were passed down in this region after his return to his homeland. Shrines and Seowon enshrined Choi Chi-won are dispersed all over the nation. Among 24 of the shrines and Seowon, there are some enshrined only Choi Chi-Won, or him with his descendents, but others occasionally enshrined him with other ancestral sages such as Kim Yu-Sin(金庾信), Seol Chong(薛聰), or Kim Jong-Jik(金宗直). Although the tradition of the reverence for Choi Chi-Won were developed by the Confucian scholars(儒林), it was influenced by the Choi Family in Gyeongju(慶州) to a certain degree. Choi Chi-won’s portraits were currently enshrined at 19 places. His portraits were drawn in images of the scholars(文人) or hermits(神仙; Sinseon), and the most of them were generally painted as scholars. Yet, some of these portraits as hermits were painted over and changed into portraits of scholars, and some of the portraits of the scholar were mixed with the style for portraits of the hermits. From the beginning, his portraits had been drawn in the image of the hermits, and the style of painting his portraits was gradually turned into the drawing him as scholars. Shrines and Seowon enshrines Choi Chi-Won started to spread all over the nation after Museong Seowon(武城書院), a shrine built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was re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of the Joseon dynasty. They were continuously constructed during the reigns of Kong Myeongjong(明宗) and Sukjong(肅宗) and the trend of the reverence for Choi Chi-won was fueled by the event that the king presented the title(賜額) to Seoak Seowon(西岳書院) during the reign of Injo(仁祖). Seowon that the Confucian scholars were involved with were usually located in Jeollabuk-do Province. This fact is connected to the phenomenon that the portraits in the image of the scholar were mainly enshrined in shrines and Seowons in this region. On the other hand, while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constructions of shrines promoted by the king’s presentation of the title, Choi Family in Gyeongju mostly enshrined the portraits with the image of the hermits i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This region particularly emphasized on the tradition of his portraits and letters carved on stones with the image of the mountain hermits, since the Yeongnam region was strongly related to Choi Chi-Won in his last days living with the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사천 다솔사의 역사와 사격(寺格)

        장일규 ( Chang Il-gyu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1 No.-

        사천 다솔사에는 통일신라시대나 고려 전기에 조성되었다는 석굴과 불상이 자리하고 있다. 한편 16세기 초반 이후에 작성된 다솔사 관련 문헌 자료도 전한다. 다솔사는 지영이 창건한 뒤 자장, 의상, 도선, 나옹에 의해서 네 차례 중창되었다고 전한다. 다만 ‘타솔사’, ‘영봉사’, ‘영악사’ 등으로 절 이름이 바뀌었다. 혜근 이후에 계속 香火를 이었지만, 1592년에 경내 건물의 반 이상이 불탄 뒤에는 1696년의 중건불사로 옛 모습을 회복하였고, 1758년의 중건 불사로 10년 전 소실된 전각의 일부를 회복하였으며, 1777년과 1785년에는 팔상전 중수를 계기로 일부를 복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1758년에 절 이름을 ‘다솔사’로 변경하였다. 다솔사 주변에는 서봉사가 위치하였다. 서봉사의 기록에서 의명, 도선 이야기는 다솔사와 관련되었다. 의상과 동일인으로 여겨지는 의명과 함께 도선은 서봉사는 물론 다솔사와도 인연을 맺었다. 다솔사의 보안암 석굴이 경주 석굴암과 비슷한 구조를 갖추었고, 석굴에 봉안된 불상이 고려 전기에 조성되었으므로, 다솔사는 의상과 도선이나 그 문도의 영향을 받았다. 고려 말에는 정오가 서봉사에서 법화사상이나 천태사상관련 불서를 꾸준히 간행하였다. 서봉사에는 고려 말까지 법화신앙을 강조하는 경향이 유지되었는데, 다솔사도 그 영향에서 벗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한편 다솔사는 18세기 중반-후반에 서봉사와 함께 造紙 및 納紙의 寺役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서봉사의 역사나 불교사상 및 신앙은 다솔사의 그것과 긴밀히 연결되었다. 의상의화엄사상은 신라 왕실과 밀접히 관계하였고, 정오의 불서 간행은 불교사상이나 불교신앙의 홍포에 기여하였으므로, 다솔사는 신라나 고려 왕실의 관심을 받았다. 또한 조선개국 이래에는 불서를 간행하면서 종이를 납품하는 보급처로 기능하였으므로, 다솔사는 조선 왕실의 관심도 줄곧 받았다. 다솔사는 서봉사와 함께 사천 일대는 물론 지리산 동부 및 남해안 연안 일대의 사찰 가운데 고대 이래 주요 사찰로 자리한 古刹의 하나였다. The data related to the Dasolsa Temple are conveyed. It is a cave, Buddhist statue, and documentary material. Dasolsa Temple has been re-built four times since its founding. However, before the end of Goryeo dynasty, Dasolsa Temple was not maintained steadily. Dasolsa Temple remained steadily since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but more than half of it was burnt down in 1592. After that, Dasolsa Temple was built again in 1696, 1758, 1777, and 1785. In 1758, the name of the temple was changed to 'Dasolsa'. Seobongsa temple is located near Dasolsa Temple. Seobongsa temple and Dasolsa Temple were close to the Uisang Monk and Doseon Monk.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Seobongsa temple published a book. In the mid-to late 18th century, Dasolsa Temple made paper with Seobongsa temple. Therefore, the history and Buddhist thought of Seobongsa temple are connected with that of Dasolsa Temple. Dasolsa Temple received the attention of Silla, Goryeo, and the Joseon royal family. Therefore, Dasolsa Temple was one of the old temples among the temples around Jiri Mountain.

      • KCI등재
      • KCI등재

        崔致遠의 新羅傳統 認識과 『帝王年代曆』의 찬술

        張日圭(Chang, Il-gyu) 한국사학사학회 200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6

        Choi, Chi-Won had regarded Silla, which was his fatherland, as a Confucian ideal land. The reason is that Silla got throughness to doctrine of Confucianism, so called, ‘Ren(temperance of a man of virtue; 仁)' and took furtherance of it. He laid claim to Silla's self-conceit that Silla could have reformed chaotic China, why she have magnificent cultural capability in Chinese tributary nations. That is to say, Silla got a virtue which is a Confucian ideal, for that ground he could have performed his assertion. He had in his possession of Chinese-centered conception, and that is an his outlook on the world. And yet, He gave accentuation to the Silla's in born convention which was to the foundation of Chinese civilization. Consequently, he paid attention to the Silla's indigenous regime and her language that became to the subject of a comparison to Chinese scholarly attainments. Being based on his learning, he took a serious view of Silla's native words, it was contained of Buddhist significance extraordinary. On that account, he emphasized that the Silla's time honored tradition formed the basis of her Buddhist and Confucian advance in civilization. Choi, Chi-Won had commended, he thought of Silla as a vassal country, also the royal family of king Kyungmun's veneration to the Buddhism and Confucianism which progressed sovereign power of Silla. King Kyungmun had an ardent desire to promote to more higher rank of regal authority as arousing principal of string music(Keum Do;琴道), which was in Confucian ideology metaphorically. Buddhist priest Dae-Gu(大矩和尙), he made relation to Hwa-Rang(花郞), had a musical composition, it involved Confucianism, to hightide of king Kyungmun's prestige as a state-leading sovereign with an intention. Accordingly, monk Dae-Gu, in company with Wee-Hong(魏弘), got a presentation Samdaemok(三代目;gathering of traditional song of Silla), to the king Kyungmun that satisfied king's objective of upgrading royal influence. He made an emphatic point of Silla's predominant Confucian achievement in the Chinese vassal state, for that, compiling Jewangyeondaeryeok(帝王年代曆) which mentioned royal relationship with China's. Choi, Chi-won was well acquainted with Chinese civilization of Confucianism. And yet, he had identified Buddhism with Confucianism in a stand point of scholarly attainment of Silla's convention. He could not establish his moral-rational view of history, it concerned with Confucianism, but acceded to historical standing point of typical Silla.

      • KCI등재후보

        최치원의 귀국 후 활동과 은둔

        장일규(Chang Il-Gyu) 한국사학회 2004 史學硏究 Vol.- No.76

        So far, Choi Chi Won's life after home-coming has been understood centering around his seclusion. While in Tang, he always thought of entering a government position. Therefore, Choi's life after returning to Silla needs to be understood in company with the politic situation of the King Gyeongmun's Royal family,<br/> Choi left for Silla because GaoPian(高騈) lost his politic power and misguidedly believed in Taoism, King Heongang failed to get strong his regal power. After that, he was treated a literary man around king proffering an ideology for state affairs. He kept company with bureaucracies, who were people of the Royal family birth, taking charge of a government position for writing and tried to bring the authority of the King Gyeongmuo's lineage into relief throughout the writing activity,<br/> In 889, there were many uprisings of the peasants in localities of Silla from place to place, Choi had wide experience in confusion of local society while in Tang, Since 890, he had held various posts, the vice-minister of Military division and the governor of DaisanㆍBuseong-Gun, in succession, During the time, he played two roles that were the protection of the capital and the pacification of local society.<br/> He was charge of a government position for writing once again in 893, presented to the king a plan for the requirements of the time which was to bring the authority of King and the Royal family into relief in the next year, However, Choi had to roam about the provinces by reason of restraining influence which was in a position to criticize Queen Jinseong after proposal of his plan, He entered Haein-Sa with his family after Januaty of 898, Since then, Choi had stayed there all the time, And, in the end, he died in 908.<br/> Choi was closely related to the Royal family of King Gyeongmun but not the others after King Hyogong. As a Confucian in the Head rank Six, it is a characteristic of his activity d1at he was a literary man connected with a special Royal family or the True bone aristocracy.

      • KCI등재
      • KCI등재

        『구당서』의 王言과 신라의 문예

        張日圭(Chang, Il-gyu)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9

        이 글은 『구당서』 본기의 조서나 제서 등 당 황제의 왕언을 신라 국왕의 외교문서와 비교해 당 문예를 수용한 신라 문예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당의 왕언은 821년 이전 조서와 제서가 혼용되었던 반면, 821년 전후 조서와 제서는 칙서와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 특히 805년~846년, 888년~908년에는 활발하게 작성되어 반포되었다. 왕언은 황실 권위 신장과 국가 안정 염원을 담았다. 신라는 당과 외교 관계를 맺은 뒤 당의 제도 정비와 정책 시행을 꾸준히 주목했다. 신문왕 때 당시 전하는 시문을 모은 1천권 문관사림 중 규범에 해당하는 글을 모은 50권을 받았고, 성덕왕 때는 상문사를 통문박사로 개칭하고 서표의 임무를 전담시켰다. 또한 851년 편찬된 개벽~수나라 때까지 제왕의 美政과 詔令, 制置, 銅鹽錢穀 損益, 用兵, 僧道 등을 연대별로 수록한 300권 『통사』도 참고했다. 신라 왕실은 당과의 교류에서 당의 문물과 제도를 수용하고 당의 문예에 민감했다. 신라 문한관은 신라에 있거나 당의 국자감에 머물면서 여러 양식의 글이 담긴 『백씨장경집』 등 당 문인의 문집을 열람했고, 당 문인의 글이나 신라에 파견된 당 사절단, 또는 당 연회에 참석한 문무관과 교유하면서 유교 경전에 대한 이해는 물론 문장의 형식과 내용을 익혔다. 현재 전하는 당의 왕언과 신라의 표문을 비교하면, 형식의 통일성은 비슷하지만, 신라가 중화의 의관과 제도를 수용해 유풍을 품고 예악의 성행을 이룬 번국으로 조공의 임무를 다했음이 特記되었다. 당이나 신라는 당시 동아시아 문서의 보편적 구성, 보편적 문체를 염두에 두어 3단락 구성과 변려문체로 외교문서를 작성했다. 신라 말에 이르러서 신라의 문한관은 중국의 제후국 중에 신라가 가장 유사한 나라라고 자부하는 소중화적 자존의식을 가지고 신라 고유정서를 문예에 담고자 했다.

      • KCI등재

        최치원 학술대회의 성과와 과제

        張日圭(Chang, Il-gyu)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3

        이 글은 한국 고대의 대표적인 인물인 최치원을 주제로 개최한 학술대회의 현황과 성과, 한계와 과제를 정리한 것이다. 최치원 학술대회는 20여 년동안 총 44회 개최되었는데, 한 인물을 주제로 삼은 학술대회로는 가장 빈번히 열린 셈이다. 특히 최치원을 전론을 연구하는 학회는 물론 단체나 기관이 학술대회 개최를 기획・주관하였고, 관련 연구자의 참여도 꾸준히 이루어졌다. 따라서 향후 최치원 연구의 방향이나 관련 문화유산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비판적인 안목에서 현재까지 개최된 학술대회에 대한 종합적 검토와 정리가 필요하다. 최치원 학술대회의 성과는 분명 적지 않다. 그러나 새로운 연구자를 중심으로 발표자의 폭을 확대하여야 하고, 관련 단체나 기관의 유기적 관계 위에서 학술대회 주제의 연속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학술대회 성과의 비대면 공유는 물론 결과물의 정리도 꾸준히 진행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문중이나 관련 지자체의 학술 이외 목적 달성을 위한 단발성 개최는 철저히 자제되어야 한다. 나아가 동아시아 역사문화에서 최치원의 위상을 강조하면서, 자료의 충분한 정리와 제시를 실제로 행하면서, 한국 인문관광의 주요 주제로 최치원을 다룰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he academic conference covered with the theme of Choi Chi-won. I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achievements, limitations, and tasks of the Choi Chi-won"s academic conference. Choi Chi-won"s academic conference has been held 44 times over 20 years. There are many academic conferences with the theme of one person. This conference was held by an academic society specializing in Choi Chi-won, and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honoring Choi Chi-won. Therefore, there are many achievements. However, there is also a task. The scope of the presenter should be expanded. Host organizations should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Duplicate or meaningless topics should be excluded. The conference results should be faithfully informed. The conference results should be carefully organized and made into reference materials. Most importantly, one-time hosting for purposes other than academic purposes should be excluded. Choi Chi-won was a world-class figure. Therefore, Choi Chi-won"s academic conference should b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examining Choi Chi-won"s status in world history. And the achievements must be announced at home and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