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국어정책

        강창석 국립국어연구원 1999 국어학 연감 Vol.1999 No.-

        말과글은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아주 중요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국가와 사회가 말과 글에 큰 관심을 가지고 그것을 좀더 효율덕으로 이용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다시 말해,말과 글이 제멋대로 쓰이고 변화되도록 내버려두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목표와 방향을 정하고 적극적으로 그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현제의 말과 글에 관한 여러가지 정책을 시행하거나 혹은 추진하고 있다. 맞춤법, 표준어, 한자 정책 등 그종류와 내용도 제법다양하다.

      • 사과酒 製造過程中 Fusel Oil 含量 變化에 關한 硏究-第2報

        韓榮求,洪鍾旭,鄭基澤,姜昌錫 慶北大學校 1987 農業科學技術硏究所報 Vol.4 No.-

        사과주 製造過程中 fusel oil 含量 變化를 調査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醱酵過程中 n-PrOH 含量 變化는 品種間의 差異만 顯著하게 나타났고, 동일 品種에 있어서 溫度, 菌株間에는 거의 變化가 없었다. 醱酵過程中 n-BuOH 含量 變化는 品種, 溫度, 菌株間에 있어 變化가 거의 없었다. 醱酵過程中 iso-BuOH 含量 變化는 菌株217에 있어서 醱酵初期 66時間까지는 急激한 增加가 있었고, OC-2에 있어서는 漸進的인 增加가 있었다. 그 以後부터는 두 菌株에 있어서 거의 變化가 없었으며, 菌株間에 있어서는 217이 OC-2보다 2倍程度 많은 量이 生成되었다. 醱酵過程中 iso-AmOH 含量 變化는 菌株 217은 66時間, OC-2는 90時間까지 急激한 增加를 하였고, 그以後부터는 變化가 거의 없었으며, 菌株간에 있어서 217은 OC-2보다 2倍 程度 많은 量이 生成되었다. Apple wine 製造에 있어서 fusel oil 生成은 醱酵溫度, 品種보다는 使用한 菌株에 依해서 많은 影響을 받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usel oil contents during apple wine mak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 n-BuOH was not changed during fermentation but n-PrOH was remarkably different by varieties of apple and was somewhat increased to 18 hrs fermentation. iso-BuOH was rapidly increased to 66 hrs fermentation by S. cerevisiae 217 and gradually increased by S. cerevisiae OC-2. After those times both S. cerevisiae 217 and OC-2 were gradually increased. The amounts of iso-BuOH produced by S. cerevisiae 217 were twice than those of OC-2. iso-AmOH was rapidly increased to 66 hrs fermentation by S. cerevisiae 217 and 90 hrs by OC-2. After those times iso-AmOH was gradually increased. The amounts of iso-AmOH produced by S. cerevisiae 217 were twice than those of OC-2. During apple wine making the production of fusel oil was more effected by the yeast stains than by the temperatures of fermentation and by the varieties of apple.

      • 음성학·음운론

        姜昶錫 국립국어연구원 1993 국어학 연감 Vol.1993 No.-

        1. 1992년에도 음운론 분야의 논저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다루어진 주제도 여러 가지였고, 논의들의 이론적 성향과 바탕도 다앙하였다. 그러나 예년의 경우와 비교하여 아주 달라졌다고 규정지을 만한 특징은 별로 두드러지지 않은 것 같다. 즉 새로운 주제가 많이 발굴되었다거나 아니면 새로운 이론이 제기되어 뚜렷이 쟁점으로 부각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그러나 외와 같은 판단이 지난 한 해 동안의 연구 업적이나 동향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연구들이 이론이나 주제면에서 특정한 부문에 편중되지 않고 다양했다고 하는 점은 오히려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며, 연구의 외면적인 열기 정도도 반드시 연구 성과와 비례하는 것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 국어 표기법 연구의 몇 가지 과제

        강창석 울산대학교 2001 울산어문논집 Vol.15 No.-

        컴퓨터와 인터넷의 등장은 문자생활에 여러 가지 큰 변화를 가져왔다. 자판이 필기도구 역할을 하고 종이 대신 모니터가 작업공간이 되고 있다. 글을 쓰고 읽는 데 걸리는 시간도 매우 빨라졌다. 이처럼 문자생활의 환경이 달라지다보니 글의 내용에도 예전과는 다른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요즘의 전자문서(컴퓨터 화면을 통해 읽는 글)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 중에서 국어학도인 필자의 관심을 특히 끄는 것은 표기규범의 일탈' 현상이다. 모두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인터넷을 통해 접하게 되는 글에는 어법이나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가 아주 많다. 규범을 중시하는 쪽에서 보자면 그 정도가 아주 우려할 만한 상황이다. 그러나 필자는 이런 현상을 비판과 교정의 대상으로 삼기 이전에 먼저 연구 자료로서 주목한다.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나고, 그런 현상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어법이나 맞춤법에 어긋난 예들이 전자문서에 특히 더 많이 나타나는 까닭을 짐작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기존의 글(출판문서)은 대개 소수의 사람이 쓰고, 전문가의 교정 과정을 거쳐 독자에게 제공되었다. 그러므로 어문 규범에 어긋나는 예들이 많지 않다. 그러나 전자문서는 필자가 훨씬 다양하다. 게다가 그 특성상 철저한 교정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글을 쓰는 사람의 수준에 따라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차이가 그대로 노출되거나 유지되는 것이다. 국어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비표준어나 표기가 미처 교정되지 않은 채 그대로 노추로디는 전자문서들은, 교정이 잘 된 출판문서보다 오히려 가치가 더 높은 연구 자료가 될 수 있다. 당대의 언어 실상을 더 정확하게 반영하는 측면도 있고, 여러 가지 과제도 감추지 않고 드러내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자료를 제대로 분석하면 국어 연구에 필요한 여러 가지 중요한 정보나 결론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들이 현대의 생생한 자료이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과 판단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이들 자료의 정밀한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문면 이외의 정보를 거의 얻기 어려운 중세나 근대의 문헌자료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