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국어 표기법 연구의 몇 가지 과제

        강창석 울산대학교 2001 울산어문논집 Vol.15 No.-

        컴퓨터와 인터넷의 등장은 문자생활에 여러 가지 큰 변화를 가져왔다. 자판이 필기도구 역할을 하고 종이 대신 모니터가 작업공간이 되고 있다. 글을 쓰고 읽는 데 걸리는 시간도 매우 빨라졌다. 이처럼 문자생활의 환경이 달라지다보니 글의 내용에도 예전과는 다른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요즘의 전자문서(컴퓨터 화면을 통해 읽는 글)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 중에서 국어학도인 필자의 관심을 특히 끄는 것은 표기규범의 일탈' 현상이다. 모두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인터넷을 통해 접하게 되는 글에는 어법이나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가 아주 많다. 규범을 중시하는 쪽에서 보자면 그 정도가 아주 우려할 만한 상황이다. 그러나 필자는 이런 현상을 비판과 교정의 대상으로 삼기 이전에 먼저 연구 자료로서 주목한다.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나고, 그런 현상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어법이나 맞춤법에 어긋난 예들이 전자문서에 특히 더 많이 나타나는 까닭을 짐작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기존의 글(출판문서)은 대개 소수의 사람이 쓰고, 전문가의 교정 과정을 거쳐 독자에게 제공되었다. 그러므로 어문 규범에 어긋나는 예들이 많지 않다. 그러나 전자문서는 필자가 훨씬 다양하다. 게다가 그 특성상 철저한 교정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글을 쓰는 사람의 수준에 따라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차이가 그대로 노출되거나 유지되는 것이다. 국어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비표준어나 표기가 미처 교정되지 않은 채 그대로 노추로디는 전자문서들은, 교정이 잘 된 출판문서보다 오히려 가치가 더 높은 연구 자료가 될 수 있다. 당대의 언어 실상을 더 정확하게 반영하는 측면도 있고, 여러 가지 과제도 감추지 않고 드러내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자료를 제대로 분석하면 국어 연구에 필요한 여러 가지 중요한 정보나 결론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들이 현대의 생생한 자료이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과 판단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이들 자료의 정밀한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문면 이외의 정보를 거의 얻기 어려운 중세나 근대의 문헌자료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훈민정음 頒布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강창석 개신어문학회 2012 개신어문연구 Vol.0 No.35

        Hunminjeongeum has been known to be promulgated on September in the year of Sejong 28. It is on the basis of this judgment that Hangeul's day has been commemorated every year on the 9th of October. However, this previous thought is highly likely to be a misjudgment that would be derived from a misinterpretation of related contents of Sejongsillok. In the reports of October, Sejongsillok 28, the following writing is found: “是月訓民正音成”. The thing is that many scholars have interpreted this as meaning ‘publication of Hunminjeongeum’, identifying the latter as its promulgation. At that time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documents is major means of their promulgation. However, the recording of “是月訓民正音成” should be read as meaning ‘completion of compilation’ rather than ‘publi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other documents such as 東國正韻. Existence of the preface written by Jeong, In Ji supports this opinion. Therefore, Hunminjeongeum cannot be said to be promulgated on September, Sejong 28, if it were not published and distributed on this day. It is likely to be the case that in the fifteenth century hand-written books were more circulated than published books. The former has not been transmitted up to now, so that due attention has not been paid to it, but more attention and discussion should be necessary.

      • KCI등재

        Ni-TZP 복합재료의 점탄성특성

        강창석,안병국,약건도사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2000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8 No.1

        A mechanical spectroscopy study has been made on fine-grained Ni-TZP(ZrO₂-3 ㏖.%Y₂O₃) composite in an attempt to assess the following micromechanical prediction. A dual-phase material with fine-grained constituents deforming by Coble-type boundary-diffusion creep exhibits viscoelastic (anelastic plus viscous) behavior. A composite with 10 vol.%TZP, fabricated by powder processing is examined. Dynamic Young's modules, E_ω and internal friction, tan Φ, are measured over a temperature range of 25 to 800℃ at frequencies of 0.01, 0,05 and 0.1 Hz using a specially designed tension-compression apparatus. The data obtained are analyzed in terms of loss compliance, J₂◎ tanΦ/E_ω. Two relaxation peaks are observed in the composite. An exponential involved in the peak and background components are determined and, by making a further analysis based on the micromechanical formulation and also taking the well-known relaxation due to viscous grain-boundary sliding into account, the implications of these quantities are discussed in terms of constituent material parameters(boundary diffusivity, grain size. etc.).

      • KCI등재
      • KCI등재

        국어 경어법의 본질과 체계

        강창석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0 언어와 정보 사회 Vol.39 No.-

        The honorific system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grammatical phenomena in Korean, and numerous scholars have paid attention to the system. Nonetheless, the nature and system of the honorific expressions cannot be said to have been clarified. The honorific system is the usage of honorific expressions referring to those expressions which are used only for ones of higher rank. They exist mostly with the noun and the verb, but also partly with the chosa and adverb. The nominal honorifics express lowering of the speaker or recognizing the counterpart as one of higher rank. The verbal honorifics express beneficence and politeness of the activity and politeness in the speech act of statement. The honorific system is derived from the dichotomy between a higher rank and a non-higher rank, and between honorifics and non-honorifics. It is for this reason that honorific expressions are used much in a conversational situation where both the speaker and the addressee are present, while they are seldom used in the written context where the addressee is not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